[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전일까지 중간선거 랠리 기대로 오른 3거래일 연속 상승을 마치고 일제히 반락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6.89p(1.95%) 내린 3만 2513.9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보다 79.54p(2.08%) 급락한 3748.57을, 나스닥지수는 263.02p(2.48%) 내려 앉은 1만 353.18에 마쳤다. 이날은 중간선거 결과에 따른 일부 차익실현 매물 유입에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경계심도 지속됐다. 선거 개표 결과 공화당은 하원 다수당, 상원 박빙 성적표를 받았다. 이는 시장에서 기대한 공화당 압도적인 우위는 아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 입법에 일부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점에 주식시장은 안도하는 모습이다. 시선은 오는 10일에 나오는 10월 CPI 지표로 옮겨 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집계에 따르면, 10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 오르고, 전월 대비 0.6% 올랐을 것으로 예상된다.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5% 오르고, 전월 대비 0.5%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 대비 수치는 모두 9월보다 하락한 것이다. 특히 물가 상승세가 8%선을 밑돌지 주목을 받고 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설에서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증가했지만,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목표치와 일치하는 수준에서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종목 별로는 기술 기업 주가가 눈길을 끌었다. 최근 실적 부진과 주가 하락으로 고전하던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 주가는 대량 감원 소식에 5%대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2017년 이후 5년 만에 여러 사업 부문에 걸쳐 전체 직원 1% 미만을 내보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주가는 1%대 하락했다. 특히 비디오 게임 개발 회사인 로블록스 주가는 분기 손실을 기록하면서 21% 정도 폭락했다. 아마존 역시 4%대 하락했고, 넷플릭스도 3%대 하락했다. 전기차 관련주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테슬라는 이날 7% 이상 떨어져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고급 전기차 생산기업인 루시드그룹 주가도 예약 물량이 감소했다는 소식에 16% 이상 내렸다. 비트코인 가격 하락도 위험 투자 심리에 타격을 줬다.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1만 6000달러를 밑돌며 약 2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했다. 코인베이스 주가도 9% 정도 급락했다. 업종 지수는 모두 내렸다. 에너지 관련 지수는 4%대 하락했고, 임의소비재도 3%대, 기술 지수도 2.6%대 하락했다. 헬스, 산업, 소재, 부동산 관련 지수도 모두 1%대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중간선거 결과를 살피면서 경기 둔화와 연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따른 시장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 리서치 회사인 22V 리서치의 설립자인 데니스 드부세르는 "선거 결과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투자자와 베팅 시장이 예상했던 공화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레드 웨이브(Red wave)는 나타나지 않았다"며 "단기적으로는 이는 변동성을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버딘의 제임스 애티 투자 이사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역사적으로 중간선거는 위험 자산에 유리하다"라며 "그것이 여전히 사실일 수는 있지만, 그 사이에도 주가는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계속되는 경기 둔화세와 주가 밸류에이션 부담이 계속 시장을 짓누를 것이라며 "지금, 진짜 게임은 연준과 인플레이션, 고용이다"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0.75%p가 43.2%, 0.5%p가 56.8%로 나타났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5p(2.15%) 상승한 26.09였다. hg3to8@ekn.krUS-POLITICS-BIDEN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AF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