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한전 적자 해소 위해 李 정부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 제기](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16.18b93a6614db4a80ba4843be85c43736_T1.png)
한국전력의 200조원 부채 해결을 위해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한전의 부채를 해소하지 못하면 에너지 전환과 송전망 건설이 어려울 것이라 지적이 야당을 중심으로 나왔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는 16일 기후에너지환경부로부터 에너지 분야 업무보고를 받았다. 기후부 출범 직후 국정감사에서 에너지 분야 업무보고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번 보고가 열렸다.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은 “한전이 큰 손실을 본 이유가 판매요금을 적절히 인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8~12배 이상 오르는 상황에서 원가 이하로 전기를 판매한 것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고 답했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한전 적자에 대해 “러-우 전쟁 때 에너지 수급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곧바로 국민 전기요금으로 전가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전이 스폰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부채가 과도하게 쌓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기위원회가 독립적으로 판단하고 전기요금 인상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면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주택용 전기요금을 어떻게 정상화할지 장관이 주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력망의 적기 건설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는 2022~2024년 동안 산업용 전기요금을 7차례 연속 인상했지만, 주택용 전기요금은 한 차례도 올리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 때보다 전기요금 인상에 더 적극적이었지만, 한전의 적자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이재명 정부에서도 전기요금 인상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우려도 제기됐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에너지전환에 따른 비용 증가를 우려하며 “앞으로 5~10년간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려면 국민이 얼마나 더 부담해야 하는지 보고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장관은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도 전기요금 인상은 제한적이라 설명했다. 그는 “재생에너지가 늘어난다고 반드시 전력요금이 오르는 것은 아니다. LNG 가격 폭등 때문에 전기요금이 오른 것"이라며 “한국은 재생에너지 가격이 (화석발전보다) 더 비싸긴 하나 태양광 가격이 많이 낮아졌고 육상풍력도 낮아졌다"고 말했다. 안호영 환노위 위원장은 “한전 적자 문제가 너무 커서 전기요금 인상을 검토해야 할 텐데 국민들이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오는 23일 열릴 환노위의 에너지 공기업 국정감사에서 전기요금과 관련된 논란이 더 자세히 논의될 전망이다. 한편 기후부는 이날 업무보고에서 지역별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요금을 달리 부과하는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의 도입 시점을 미루겠다고 밝혔다. 당초 올해 상반기 시행 예정이었으나, 내년에 연구용역을 마친 뒤 도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원희 기자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