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온열 질환도 문제지만 눈 질환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외출 때마다 맞닥뜨려야 하는 불청객인 자외선과 근적외선 때문이다. 이들 태양광에 오래 노출되면 피부가 벗겨지듯 눈도 화상을 입는다. 자외선은 각막 상피에 손상을 입혀 눈 통증을 유발하는 '광각막염'을 일으킨다. 각막 화상이 발생하면 눈이 따갑고 충혈되며 이물감·눈물 등의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올 여름처럼 자외선 지수가 연일 매우 높음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광각막염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가 고위험 시간대로 가급적 외출을 삼가거나 부득이한 경우 보호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적외선은 자외선보다 눈에 더 위험한 광선이다. 강한 태양광이 내려쬐면 몸이 뜨겁거나 심하면 피부가 벌개지고 화상을 입는 수가 있는데 열선(熱線)으로도 불리는 근적외선 때문이다. 근적외선은 눈에 더 깊이 침투해 각막, 수정체, 망막 등에 악영향을 끼쳐 '노화 광선'으로도 불린다. 유해광선 노출에 더 취약하기 쉬운 휴가지에서는 눈 보호를 위해 각별히 주의를 해야한다. 해변에서 마른 모래는 유해광선을 약 15~25%, 바닷물은 30%까지 반사할 수 있어 직사광뿐 아니라 반사광에도 이중으로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름철 야외에서 눈 보호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해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보호장비 착용이 중요하다. 눈 보호 분야에서 전문가인 안경사에 따르면 창이 긴 모자나 양산 등을 쓰는 것도 좋지만 자외선과 근적외선 등 유해 빛을 차단하는 기능성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더 지속적이고 효과적이다. 일례로 안경렌즈 종합브랜드사 케미렌즈는 야외에서는 자외선과 근적외선을 막고 실내에서는 블루라이트까지 차단하는 '케미 IR 렌즈'를 선보이고 있다. '케미 IR 렌즈'는 자외선을 99% 이상 차단하는 '퍼펙트 UV' 기능에 더해 근적외선은 약 45%, 블루라이트는 34% 가량 차단하는 프리미엄급 제품이다. 야외와 실내에서 전천후로 자외선과 근적외선, 블루라이트를 모두 차단해 눈 보호 기능이 뛰어나다. 케미렌즈의 '케미 IR 렌즈'는 시력교정뿐 아니라 눈을 보호·관리하는 아이케어 기능까지 갖췄다는 점에서 여름철 유해광선으로 인한 눈 질환과 눈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안경렌즈로 평가된다. 김철훈 기자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