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 사장은 국내 1위 건설사인 삼성물산 건설부문을 5년째 이끌고 있다. 오세철 사장은 1962년 부산에서 출생해 1981년 부산 해동고등학교를 거쳐 1985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했다. 대학을 마친 그해 곧바로 삼성물산에 입사한 오 사장은 올해로 삼성물산 한 회사에서만 40년의 커리어를 유지하고 있다. 오 사장은 해외 플랜트 현장 전문가로 통한다. 1994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시티센터(KLCC)의 랜드마크인 페트로나스 트윈타워 프로젝트 현장소장으로 일한 데 이어 1998년 싱가포르의 산업단지 개발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인 JTC 현장소장을 역임했다. 2001년엔 상무로 승진하면서 임원이 됐다. 오 사장의 임원 첫 해 근무처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수도 아부다비였다. UAE 정부의 주권투자기금을 관리하는 기관인 UAE ADIA에서 현장소장 겸 프로젝트매니저(PM)로 일하면서 삼성물산의 중동 텃발을 일궜다. 2008년엔 UAE 최대 도시인 두바이로 터를 옮겨 현지 국제행사장이자 비즈니스 허브인 엑시비션월드 현장소장과 PM을 겸직하면서 UAE의 주요 컨벤션센터 건설을 담당했다. 중동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은 오 사장은 2009년 중동지원팀장을 맡았고 2013년 전무로 승진하면서 글로벌조달센터장이 됐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삼성물산 해외 사업장에 들어갈 자재와 장비를 최적의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이끌어 내는 중책을 맡았다. 해외 현장 공로를 인정받은 그는 2015년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플랜트사업부장으로 삼성물산 플랜트 현장을 총괄했다. 부사장 당시 바레인 해상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 계약을 체결하고, 울산 새울 3·4호기 주설비 시공 사업을 수주하는 등 국내외 굵직한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사장으로 가는 길을 닦았다. 2020년 말 정기 임원 인사에서 건설부문 대표이사로 선임되며 35년전 신입 엔지니어로 입사했던 회사의 수장 자리에 올랐다. 특히 오 사장은 2024년 1차 임기 만료 후, 삼성 사장단 정기 인사에서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장 유임에 이례적으로 성공했다. 한때 세대 교체를 명분으로 교체설이 돌았지만 1차 임기 동안 매출엑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4배가 넘게 성장하는 등 뛰어난 실적으로 연임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실제 오 시장 1기 시절엔 코로나19 여파와 건설비 폭등 등 외부 악재에도 불구하고 삼성물산 건설부문 매출이 2021년 10조9890억원→2022년 14조5980억원→2023년 19조3100억원으로 지속 성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2510억원→8750억원→1조340억원으로 상승했다. 2023년에 창사 이래 최초로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면서 안정적 성장 기조 원칙에서 오 사장은 연임에 성공해 2027년 3월까지 삼성물산 건설부문을 이끌게 됐다. 본인의 실력으로 삼성의 전통을 극복한 오 사장이지만 2기 임기 첫 해인 2024년 한 해는 만만치 않았다. 더욱 거세진 외부 여파에 고전하면서 만족하지 못할 성적표를 받은 것이다. 1기 임기 3년 동안 큰 폭의 상승세를 그리던 실적이 2024년엔 하락세로 전환했다.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등 계열사 간 일감 수준이 예전같지 않았고, 2024년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연 매출 18조 655억원, 영업이익 1조1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자 오 시장은 도시정비사업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삼성물산은 2015년 서초 무지개 아파트 재건축 사업(현 서초그랑자이)에서 GS건설에 시공권을 내준 이후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었다. 일각에선 '래미안'이 주택 사업을 접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돌았다. 실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에 분양된 래미안 아파트는 단 5곳에 그쳤고, 2021년엔 도정사업 수주액이 1조원에 미치지 못해 10위에 겨우 턱걸이했다. 그러나 삼성물산은 지난해부터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반포와 한남 등 주요 도정사업지에서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DL이앤씨 등 경쟁사를 차례로 제치고 수주에 성공햇다. 지난해 현대건설과 포스코이앤씨에 이어 도정사업 수주액 3위를 기록하더니 올해 상반기엔 5조원 이상을 수주해 단숨에 1위에 등극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상반기에 올해 목표로 한 도정사업 수주 5조원을 돌파한만큼 '래미안' 브랜드를 대표로 한 안정적인 브랜드 파워 1위를 배경으로 선별과 집중 전략을 통해 국내외 주요 프로젝트 수주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임진영 기자 ijy@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