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尹정부, 엉덩이에 ‘리모델링 사업’ 깔고 앉았다](http://www.ekn.kr/mnt/thum/202212/2022120101000057400001751.jpg)
연말이 되니 새삼 지난 1년을 돌아보게 됐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1년 사이에 부동산 시장이 참 많이 변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도시정비사업지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음을 체감한다. 지난 정부는 임기 내내 강력한 재건축 규제를 실시했다. 그래서인지 상대적으로 규제 허들이 낮은 리모델링 사업이 각광을 받았다. 재건축에서 리모델링으로 선회하는 사업지가 쏟아져 나왔고 사업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수직 증축 관련 이슈도 시장 분위기에 힘입어 추진에 속도를 냈다. 서울 송파구 성지아파트(잠실 더샵루벤)는 국내 첫 수직증축 허용 단지로 지난 4월 분양에서 252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중소건설사만 리모델링 수주를 따내던 과거와 달리 대형건설사들도 너도나도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1년 만에 시장 분위기가 급변했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재건축 활성화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리모델링을 향한 따가운 시선이 살아나고 있어서다. 시장에서는 "작년까진 분위기가 좋았는데 올해 리모델링 시장은 작년만 못하다"는 반응이다. 주민들 입장에서는 금리 인상에 공사비 상승으로 이자 부담은 커졌는데 집값이 하락하면서 분양가는 떨어지니 리모델링으로 새 아파트로 탈바꿈해도 이득이 없다고 판단하기 시작한 것. 조합 설립 인가를 위해서는 주민 3분의 2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동의서 제출을 망설이거나 아예 방관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리모델링 추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사업을 몇 개월만 빨리 시작했으면 좋았을 걸"하는 푸념도 나온다. 정부는 다음 주 중으로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 방안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재건축 안전진단 문턱이 낮아지는 것은 주택 공급 활성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당시 공약한 ‘리모델링 추진법’ 제정은 재건축 규제 완화에 밀려 기약조차 없다. 정부가 리모델링 시장을 위축시킨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지난 9월 기준 전국에서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단지는 132곳이 넘는다. 가구 수로 따지면 10만5000여가구에 달한다. 리모델링 사업은 재건축에 밀려 지체되기에는 이미 너무 많은 사람들의 삶이 달려 있다는 점을 정부가 유념해주길 바란다.증명사진_김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