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26일 코로나19 방역 조치인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가 1주일을 채 남겨 놓지 않은 가운데 마스크 폐기 과정에서 폐 손상을 유발하는 성분이 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무 해제 뒤에도 코로나19와 미세먼지, 자외선 등을 이유로 마스크를 찾는 이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일회용 마스크 폐기 및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안전성평가연구소(KIT)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은 김범석 전북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일회용 마스크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성분 나노플라스틱이 폐 손상을 유발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나노플라스틱은 1㎚(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 입자로 관찰·검출이 어렵다. 폐기된 플라스틱이 광산화·풍화·자외선 등과 같은 물리적인 힘에 따라 미세한 입자로 변화한 결과다. 나노플라스틱은 대기 중 떠다니기 때문에 흡입을 통해 사람의 폐에 축적되거나 폐포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천식·폐 섬유화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PP의 경우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일상화된 일회용 마스크 주원료로 꼽힌다. 전기 절연 특성이 뛰어난데다 가볍고 용접 가능해 일상생활에서도 일회용품으로 흔히 활용된다. 연구팀은 PP 성분으로 된 나노플라스틱을 실험동물 기도에 서서히 떨어뜨려 폐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 폐에서 염증성 손상이 유발되고 호중구성(백혈구 일종) 염증 반응도 관찰됐다. 호중구는 선천 면역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다. 신체를 이루는 혈액에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와 같은 외부 인자들이 침입했을 때 이를 막아내는 첫 번째 방어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A549)에 PP 나노플라스틱을 노출했을 때는 A549 세포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됐다. 연구팀 측은 "PP 나노플라스틱을 호흡기에 노출했을 때 폐 손상이 유발되는 구조를 실험동물과 세포주를 통해 입증했다"며 "PP가 주원료인 일회용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이 됐을 때 인체 건강과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사용 후 폐기·관리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hg3to8@ekn.kr드디어 마스크 해방…내주부터 실내마스크 해제 인천공항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벗은 채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