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3일 중국 베이징서 '전승절' 80주년 기념 행사 참석
조우 가능성, '수인사'만 나눌 전망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직속 특수작전 훈련기지를 방문하고 저격수구분대와 특수작전구분대 훈련실태를 요해(파악)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내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전(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한다. 같은 행사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두 사람 간 조우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8일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에 따라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는 당초 중국 측으로부터 이재명 대통령 참석 요청을 받았으나, 한미 관계에 대한 파장 등을 고려해 국가 의전 서열 2위인 우 의장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로써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남북 최고위급 인사가 같은 무대에 서는 첫 사례가 될 가능성이 열렸다. 성사 여부에 따라 남북 대화의 물꼬가 트일 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온다.
대통령실 우상호 정무수석은 같은 날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 워크숍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이) 모르는 척은 안 할 것"이라며 조우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그는 “우 의장과 김 위원장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 때 같이 술 한 잔도 하고, 서로 잘 아는 사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우 의장 가족이 아직 북한에 살고,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도 했던 특수 관계"라며 “만나면 좋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우 수석은 “회담이나 공식적 스탠딩 미팅은 불가능할 것"이라며 “북한은 그런 프로토콜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다만 리셉션 같은 자리에서 잠깐 수인사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우 의장은 민주당 원내대표 시절이던 2018년 남북정상회담 환영 만찬에서 김 위원장을 만난 적이 있다. 그는 당시 페이스북 글을 통해 “제 아버지 고향은 황해도이고, 그곳에 누님이 두 분 계신다. 어머니는 102세인데 누님들을 보고자 기다리고 계신다"며 “제 아내도 함경도 단천 출신으로 이산가족의 아픔이 있다"고 말한 사실을 전한 바 있다.
다만 북한이 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하고 공식 접촉을 차단해온 만큼, 실제 만남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신중론도 적지 않다.
이번 행사에서 김 위원장과 우 의장이 실제로 마주칠지 여부도 아직 불투명하다. 북한 측이 행사 동선과 좌석 배치를 엄격히 관리할 경우 조우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전례상 국가수반급 인사는 주석단 앞줄에 서는 반면, 국회의장은 의전 서열상 뒤쪽에 배치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2015년 전승절 70주년 행사에서도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최룡해 북한 노동당 비서가 같은 행사에 참석했지만 끝내 만나지 않았다.
국회의장실은 김 위원장의 방중이 공식화된 뒤 만남 여부를 포함해 행사 대응 계획을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