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CJ대한통운이 경기도 안성에 소형 상품 자동 분류 시스템을 도입한 ‘MP허브터미널’을 가동한다. 이커머스의 성장 등으로 가로x세로x높이의 합이 100㎝ 이하인 소형 상품이 전체 물량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서비스 품질과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12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이 터미널의 총면적은 1만2000㎡(약 3600평) 규모로, 일일 200만개의 소형 상품을 처리할 수 있다.‘멀티포인트(MP)’는 전국에서 모인 상품을 지역별로 분류하는 자동화 설비로, CJ대한통운이 2019년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서브터미널에 설치된 MP를 통해 목적지가 같은 지역의 소형 상품을 행낭 단위(20~25개)로 묶어 MP허브터미널에 보낸 뒤 최종 배송 지역의 서브터미널에 다시 보내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으로, 소형 상품 20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상차한 뒤 허브터미널로 발송하고 재분류하는 작업을 20번 반복하던 이전 대비 효율성을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크기 구분 없이 이동하는 택배 상자들을 육안으로 식별하던 것에서 벗어나 소형 상품 외 나머지 규격의 상품들만 직접 상하차하게 된 것도 특징이다. CJ대한통운은 기존에 중·대형 상품을 자동 분류하던 ‘휠소터’와 MP를 함께 운영하는 등 작업 시간 단축과 분류 정확도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성이 경부·중부·평택-제천 고속도로 인근에 위치한 것도 강조했다. 이천 MP허브터미널은 비수도권, 안성 MP허브터미널은 수도권을 맡는다. 최우석 CJ대한통운 O-NE본부장은 "MP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소형 상품의 작업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시스템"이라며 "선제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초격차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장 선도 기업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spero1225@ekn.krCJ대한통운 안성 MP허브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