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주요 식자재인 육류 가격마저 올라 장바구니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모임과 외식 수요로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뛴 한편, 닭고기값도 농가의 생산원가 부담과 병아리 생산 저하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비교적 안정된 흐름을 보이던 소고기 값마저도 최근 구제역 확산 우려에 따른 방역 조치로 가격 상승이 예고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14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당 평균 6380원으로, 한 달 전(5356원)보다 19.1% 증가했다. 이달 1일(5697원)과 비교하면 열흘 만에 12% 올랐다. 이는 모임과 나들이 등 수요가 증가하며 돼지고기 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돼지고기값은 매년 봄철부터 여름철까지 올랐다가 추석 이후 내려가는 특성을 보인다는 업계 설명이다. 지난해 5월 1~11일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되며 외식·모임이 급증하자 돼지고기 도매가격도 ㎏당 7000원대로 크게 뛴 바 있다. 돼지고기뿐 아니라 닭고기 도매가격도 오르는 추세다. 병아리 공급 감소와 닭고기 생산원가 상승 등으로 닭 도축 마릿수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올 1월 닭고기 도매가격은 ㎏당 3363원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3월에는 4000원 안팎까지 올랐다. 이달 도매가격을 보면 지난 2일 ㎏당 3786원에서 12일 4061원으로 열흘 만에 7.3% 상승했다. 소고기(한우) 가격은 지난 12일 기준 ㎏당 1만6000원으로 전년(1만9000원)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다만, 최근 구제역 확산 우려로 전국 소 사육 농장과 축산 시설에 방역 조치가 강화된 만큼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inahohc@ekn.kr연합_마트 축산코너 서울 중구 봉래동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