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스마트폰으로 기존 신용대출을 더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액이 5000억원을 넘어섰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출시한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21일 오전 11시 10분까지 총 1만9778건, 5005억원의 대출 자산 이동이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이 기간 낮은 금리로 갈아탄 소비자들이 줄인 총 연간 이자 규모는 1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금융위는 "이용 금액은 그동안 상환된 소비자의 기존 대출 기준이며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측정하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소비자에 따라 대환대출을 통해 금리를 낮추는 경우뿐 아니라 대출 한도를 늘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대출 이동의 양상은 은행 고객이 다른 은행으로 이동한 경우가 전체 건수의 82.5%, 전체 금액의 92.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회사로 고객이 대출을 이동한 경우도 늘어 출시 첫날인 지난달 31일 전체 건수의 0.8%에서 지난 20일 16.2%로 증가했다.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효과는 소비자가 낮은 금리로 갈아탄 것 외에도 각 금융회사가 새로운 고객 유치를 위해 낮은 금리를 제시하는 등 금융회사 간 경쟁을 벌이며 소비자 편익이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A은행은 직장인대출 금리를 최대 0.4% 포인트(p) 인하했다. B은행은 대환대출 상품을 대상으로 0.5%포인트 우대금리를 신설했다. 지난달 31일 이후 신한은행과 핀크가 가세하면서 현재 금융소비자는 총 9개의 대출 비교 플랫폼과 35개 금융회사 앱을 통해 유리한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단 대환대출 인프라 홍보 효과에 편승해 저금리 대환대출 서비스를 사칭하는 불법 광고 등이 늘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다는 안내와 함께 문자나 전화로 타인 계좌에 대한 입금, 특정 앱 설치 등을 요구하는 경우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dsk@ekn.kr대환대출 인프라 금융권의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플랫폼이 시행된 지난달 31일 서울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