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이달 들어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2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계속된 우려에도 50년 만기 상품에 신규 대출 수요가 집중된 것이다. 당국은 5대 은행을 상대로 다음달까지 긴급 가계대출 현황 점검에 착수해 대출 규제나 심사 등의 적정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24일 현재 679조4612억원으로 집계됐다. 7월 말(679조2208억원)과 비교해 이달 들어 2400억원 증가했다.특히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는 주택담보대출은 이 기간 512조8875억원에서 513조3716억원으로 4800억원 넘게 늘었다. 이러한 추세로 미뤘을 때 전체 은행권과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4월 이후 8월까지 5개월 연속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은행권과 금융권 가계대출은 각각 6조원, 5조4000억원 늘었다. 이달 가계대출 증가는 주로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이 견인했다. 5대 은행의 50년 만기 주담대 잔액은 이달 24일 현재 2조8867억원으로 7월 말(8657억원)과 비교해 이달 들어 2조원 넘게 늘었다. 당국이 50년 만기 주담대를 가계대출 증가세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연령 제한 가능성을 거론하기 시작한 13일 이후에만 1조원 넘게 늘었다. 은행들이 50년 만기 주담대 판매를 중단하기 전에 서둘러 대출을 받아야 한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해석된다.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은 원리금을 50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는 대출 상품이다. 만기가 길어질수록 대출자가 갚아야 할 전체 원리금은 늘어나지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년 단위로 소득 대비 원리금 감당 능력을 보기 때문에 대출자 입장에서는 전체 대출 한도를 늘릴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당국이 50년 만기 주담대가 DSR 우회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계속되자 당국은 은행들을 상대로 가계대출 취급실태 종합점검에 나섰다. 금감원은 은행감독국 2명, 은행검사국 1명 등 총 3명의 감사인원을 파견해 대출 규제 준수 여부, 담보 가치 평가 및 소득심사 등 여신심사 적정성, 가계대출 영업전략 및 관리체계, 가계대출 관련 IT 시스템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이달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다음달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순으로 점검을 진행한다. 당국은 이러한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의 원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침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당국의 점검 자체로도 은행들에는 가계대출을 자제하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가운데 은행들은 최근 50년 만기 주담대 판매를 중단하거나 연령 제한을 두는 식으로 몸을 사리고 있다. 수협은행은 이달 24일부터 만 34세 이하 대출자에만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내주고 있다. 대구은행도 이달 중 같은 기준의 연령 제한을 도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뱅크도 25일부터 50년 만기 상품에 만 34세 이하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이달 31일까지만 50년 만기 상품을 판매하기로 했고, 경남은행도 28일부터 같은 상품의 판매를 중단할 예정이다.ys106@ekn.kr5대 은행의 50년 만기 주담대 잔액이 8월에만 2조원 넘게 늘었다. 사진은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