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한국지엠(GM)이 부평2공장 생산 종료를 앞두고 기존 직원 중 창원공장으로 보낸 인력 모집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5일 한국GM·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를 인용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사측은 부평2공장에서 생산 중인 말리부와 트랙스가 단종되는 상황을 고려해 부평2공장 근무 인력을 창원공장과 부평1공장으로 보낼 예정이다. 부평2공장 소속 1200여명을 창원공장 700여명·부평1공장 500여명으로 나눈다는 계획이다. 애초 부평2공장은 지난 8월 이후 생산이 종료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노사가 협의를 거쳐 근무 체계를 2교대에서 1교대로 전환하고 11월까지 생산 계획을 연장한 상황이다. 한국GM 노사는 부평2공장 가동 중단과 함께 내년 상반기부터 창원공장에서 신형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CUV) 생산이 예정된 만큼 인력 재배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최근 창원공장 전환 근무 지원율이 목표치보다 매우 저조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부평2공장뿐만 아니라 부평1공장 근무 인력도 창원공장 근무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지난달 1일 기준 지원자는 130여명에 불과해 약 570명을 추가 선발해야 한다. 사측이 제시한 보상 대책도 뚜렷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창원공장 전환 근무자는 정착 비용으로 1인당 2000만원을 받고 1박 2일 유급 휴가를 1차례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숙사와 임대 아파트(가족 동반) 관련 지원을 받는다. 그러나 부평2공장 직원들은 근무지와 주거지를 인천에서 창원으로 옮기는 데 부담을 느껴 전환 근무 신청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전환 근무 희망자가 적을 경우 가장 최근에 입사한 직원부터 우선 배치한다는 조항을 놓고도 반발 조짐이 보인다. 노사 단체협약 상에는 근무지 조정이 안 될 경우 개인 면담을 진행한 뒤 희망자가 기준 인원보다 많을 경우 입사순으로, 적으면 입사 역순으로 배치한다는 조항이 있다. 노조 측은 "주거지를 옮기는 것에 반감이 큰 상황에서 단체협약 조항 때문에 비교적 연차가 낮은 직원들 사이에서 강제 발령과 다를 바 없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며 "일단 부서별로 2차 모집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회사 측은 "내년 창원공장 신차 생산에 맞춰 직원 교육 일정을 소화하려면 연말까지 모집을 마쳐야 한다"며 "노사가 큰 틀에서 합의한 내용을 따르면서 필요하면 추가로 협의하겠다"고 했다. hg3to8@ekn.kr차세대모델 양산준비 마친 GM 창원공장…"시간당 60대 목표" 한국GM 글로벌 차세대 모델이 생산될 창원공장이 양산 준비를 마친 모습.한국GM/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