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인증제 도입 및 인센티브 지원 필요성 등 청정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각계의 다양한 의견 수렴의 장이 열려 주목된다. 15일 노용호 국민의힘 의원,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IKEP)은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청정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인증제도 도입방안’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전봉걸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이번 토론회는 송한호 서울대 교수, 조홍종 단국대 교수가 청정수소 인증제 수립현황 및 청정수소 중심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주제 발표해 큰 관심을 끌었다. 송한호 교수는 이날 우리나라 청정수소 인증제 수립 현황 점검을 통해 청정수소 경제로의 조기 전환 유도 필요성과 글로벌 수소산업 선도 촉진 방향 등을 제시했다. 조홍종 교수는 신산업 측면에서 청정수소의 중요성, 가치, 인식 변화 및 청정수소 산업 육성 방향 등을 제시해 큰 관심을 받았다. 주제발표에 이어 펼쳐진 토론에서는 이옥헌 산업통상자원부 과장, 강상규 서울대 교수, 백철우 덕성여대 교수, 전경문 SK E&S 수소전략그룹장(부사장), 방기정 코오롱글로벌 상무 등이 패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토론에서 전경문 SK E&S 부사장은 "SK E&S는 전세계 수소산업의 랜드마크가 될 보령 청정수소 클러스터 구축에 5조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집행을 앞두고 있다"면서 "2025년 국내 1호 청정수소 생산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 부사장은 "기업이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도입하기 위해서는 투자 및 건설 기간을 고려해 제도적 기반인 청정수소인증제가 내년 상반기에는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한편, "자국 청정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미국 IRA법안과 같이 정부의 과감하고 대담한 청정수소 인센티브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에 대한 정부 지원을 거듭 호소했다. 이에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내년까지 청정수소 인증기준을 마련하고, 전문가와 기업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청정수소인증제가 합리적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약속했다. 축사에 나선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수소경제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마련에 국회가 적극적으로 나서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에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또한 "지속 가능한 수소경제 전주기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정책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노용호 의원은 "국내 수소시장은 약 200만 톤 규모로 철강, 화학 등의 기간산업에서 연료로 활용되며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청정수소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youns@ekn.kr국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