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더불어민주당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까지 갈 수 있었던 동력으로 꼽히는 검찰총장 시절 행보에 대한 맹폭이 이어졌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윤 대통령 지지율이 주춤한 가운데 사실상 민주당 패배로 끝난 검찰 대전을 재정립함으로서 정부 ‘근간’부터 흔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지낸 윤영찬 의원은 지난달 30일 SBS 라디오에 나와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에서 사실상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이 됐다"고 주장했다.앞서 윤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 대북 정책 등을 꼬집고 ‘반국가세력’을 언급한 배경에 대한 지적이었다.윤 의원은 "쿠데타를 일으킨 장본인들은 항상 체제 정당성이 굉장히 중요하고 그걸 이데올로기화하는 습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도) 본인의 정당성을 주장하려다 보니 이런 극단적인 발언이 나오고, 이전 정부를 부인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또 "문 전 대통령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임명하자 윤 대통령은 거기에 반발해 인사청문회도 하기 전 수사에 들어갔다"며 "사실상 검찰개혁을 거부하기 위한 일종의 쿠데타"라고 강조했다.윤 의원은 이후 ‘쿠데타’ 발언으로 인한 논란이 불거진 이후에도 "군사적 쿠데타를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비유적인 표현을 쓴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으로) 임명받고 누릴 것 다 누리고 검찰 개혁을 한다니까 그것을 때려잡는다고 수사하고 국민적 영웅으로 부상한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추미애 법무부 전 장관도 유튜브 채널 ‘오마이TV’에 출연해 자신과 검찰총장 시절 갈등했던 윤 대통령에 ‘역모’라는 표현을 썼다.그는 "(법무부 장관 사퇴 뒤) 검찰총장은 ‘내가 가는 길에 쾌도난마처럼 달리는 것만 남았지 어떤 장애물도 없다’고 생각할 것 아니겠나"라며 "검찰 국가의 탄생을 아무도 못 막는다. 촛불 국민에 대한 역모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그는 특히 자신이 이를 막기 위해 노력했다며,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에 의해 이런 노력이 좌절됐다고까지 설명했다. 추 전 장관은 "저도 진실을 말할 수 없는 것이 답답했다"며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제게 물러나달라고 했다"고 밝혔다.그는 청와대 사퇴 요구에 "(당시 노영민 청와대)비서실장을 통해 연락받았다. 중간에 농간이 있다고 생각했다"며 "날 자르려면 국무총리를 통해 해임 건의를 해주면 좋겠다, 자의로 물러나지 않겠다고 했다"고 말했다.꼬 사퇴 권고를 받은 날 검찰총장 징계 관련 보고 차 대통령을 만났다며 "절 유임시켜야 수습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서 갔다"면서 "결론은 똑같았다. 허무한 결론"이라고 토로했다.그는 청와대 측이 밝힌 사퇴 권고 사유에는 ‘당에서 요구한다’, ‘재보궐 선거를 치러야 하니 검찰 이슈가 퇴장해야 한다’ 등을 언급했다.앞서 추 전 장관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 2020년 1월 2일 법무부 장관에 취임한 뒤 재직 기간 동안 이른바 ‘추·윤 갈등’을 빚어왔다.그러다 취임 1년 만인 같은 해 12월 16일 문 대통령에게 검찰총장 징계 제청을 한 뒤 사의를 표했다. 이미 당시 청와대 및 여권에선 추 전 장관 교체 기류가 있던 터라 ‘권고 사의’ 분석이 제기됐다.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왼쪽)과 추미애 법무부 전 장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