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오세영

claudia@ekn.kr

오세영기자 기사모음




문체부 2차관에 메달리스트 잇단 발탁…장미란, 박종길·최윤희 이어 세번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9 15:04

윤 대통령, '역도 장미란' 임명…올림픽 3회 출전, 금은동 메달 획득



문재인정부서 아시안게임 금메달 5관왕 '아시아 인어' 수영 최윤희



박근혜정부선 아시안게임 금메달 2관왕 '피스톨 전설' 사격 박종길

clip20230629090115

▲장미란 용인대 체육학과 교수. tvN ‘유퀴즈’ 갈무리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역도 국가대표 출신인 장미란(40) 용인대 체육학과 교수가 29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으로 깜짝 발탁됐다.

문체부 2차관은 체육, 국민소통, 관광 등 업무를 담당한다.

장 교수는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한국 여자 역도 사상 첫 금메달을 따낸 ‘역도 스타’다.

당시 함께 시상식에 올랐던 은메달, 동메달 선수가 이후 금지 약물 양성반응이 확인돼 자격이 박탈되면서 유일하게 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메달리스트가 문체부 차관에 기용된 건 박근혜 정부 때 박종길·문재인 정부 때 최윤희에 이어 세번째다.

박종길 전 차관은 아시안게임 사격 금메달 2관왕, 최윤희 전 차관은 아시안게임 수영 금메달 5관왕이다.

장 교수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선 동메달을 따냈다. 아테네·서울·런던 등 3개 올림픽에 출천, 올림픽에서만 금·은·동 등 총 3개 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2013년 공식 은퇴한 뒤 박사과정을 거쳐 현재는 용인대 체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수영선수 출신인 최윤희 전 차관은 선수 시절 두 차례 아시안게임에 출전, 금메달 만 총 5개를 따 ‘아시아의 인어’로 불렸다. 특히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에선 3관왕에 오르기도 했다.

최 전 차관은 1986년 은퇴 후 가수 유현상과 결혼하면서 화제를 모았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와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해설자로 활약했다. 2007년 최윤희스포츠단 창단, 2017년 한국여성스포츠회 회장, 한국체육산업개발 대표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문재인 정부 때 문체부 제2차관에 임명돼 약 1년간 재임했다.

박종길 전 차관은 1970∼1980년대 아시안게임과 세계선수권대회 등에서 한국 사격의 간판스타로 활약한 ‘피스톨의 전설’로 불린다.

박 전 차관은 최 전 차관이 전성기였던 1982년 뉴델리아시안게임과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에서 각각 금메달을 따낸 아시안 게임 2관왕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호원으로도 일했으며 대한체육회 이사, 태릉선수촌장 등 체육행정 분야에서도 경력을 쌓았다.

박근혜 정부 때 발탁돼 사상 첫 체육 국가대표 출신 차관이라는 타이틀을 얻었지만 목동사격장 명의 이전과 관련해 ‘공문서 변조 의혹’ 등이 불거지면서 취임 6개월 만에 사임했다.

메달리스트 선수 출신의 잇단 문체부 2차관 임명에 대한 반응 및 평가는 엇갈린다. 스타 기용이라는 점에서 임명 당시 큰 관심을 모았지만 지난 두 차례 사례에서 불명예로 퇴진했거나 리더십 문제 등 논란을 겪다가 물러났기 때문이다.


claudia@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