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글로벌경제를 제조와 금융 중심의 ‘골리앗기업’이 이끌었다면, 21세기 경제는 혁신창업기업 스타트업(start-up) ‘다윗기업’이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실제로 최근 20여년 간 글로벌 경제와 시장의 변화의 주인공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타트업이었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테슬라, 알리바바, 틱톡은 물론 국내의 네이버, 카카오, 넥슨, 쿠팡 등도 시작은 개인창업에서 출발했다. 이들 스타트업들이 역외와 역내 경제에서 새로운 부가가치, 새로운 직종(일자리) 창출을 선도하고 있다.한낱 ‘목동’에서 당당한 ‘장군’로 성장한 ‘스타’ 스타트업을 꿈꾸며 벤치마킹하는 국내외 창업 열기가 어느 때보다 뜨겁다. 그러나 성공의 열매를 맛보기 위한 과정은 매우 험난하다. 스타트업(창업)은 했지만 점프업(성장)하기까지 성공보다 좌절이 더 많은 ‘정글 게임’에서 살아남기 위해 오늘도 부단히 돌팔매질을 연마하는 ‘다윗 후예’ 스타트업들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에너지경제신문 김유승 기자] 국내 전기차(EV) 운전자 10명 중 9명꼴에 이르는 92%가 이용하는 ‘필수 앱(어플리케이션)’이 있다.전기차 플랫폼 ‘EV인프라’가 바로 주인공으로, 전기차 충전소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기 다른 충전소 사업자들과 제휴를 맺어 충전 시스템을 통일해 전기차 이용자들이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다. 사용자들이 전기차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통을 확장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2016년부터 EV인프라를 개발·운영하고 있는 스타트업 ‘소프트베리’의 박용희 대표는 "EV인프라가 충전 오프라인 서비스부터 세차 거점, 이동형 충전기까지 확장한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전기차 비즈니스의 모든 솔루션을 담을 계획이다"고 포부를 밝혔다.과거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보조 역할에 불과했으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가 떠오르며 최근에는 자동차시장의 핵심 제품으로 부상했다. 지난해 국내 전기차 시장의 신규 보급 대수는 약 39만 대 정도로, 전년 동기대비 68.4%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박 대표는 "2015년 전기차를 직접 사용하게 됐을 때는 차를 전라도 광주에서 서울까지 운전하는 데 12시간이 걸렸다"며, 그 이유로 전기차 충전소 관련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충전 계획을 꼼꼼히 짜더라도 직접 마주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가 너무 달라 충전이 쉽지 않았다는 설명이었다.이런 불편함을 체험한 박 대표는 앞으로 전기차 이용자가 늘어나면 이런 문제가 더욱 빈발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전기차 사업을 돕는 플랫폼 구축이라는 신사업에 뛰어들었다. 창업 초기에는 전국의 충전소를 모니터링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만 했으나, 사업이 점차 확장되자 직접 충전소를 운영하고 전기차 충전 결제를 모아 데이터 컨설팅을 하는 B2B(기업과 기업간의 거래)까지 수행하게 됐다. 즉, 전기차 운행 정보와 충전 패턴 등 데이터를 활용해 전력 소비를 예측하고 운영에 적용해 어떻게 하면 충전소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지 함께 검토하는 설치운영 모니터링 ‘EVI’ 사업이다. 소프트베리는 충전환경을 편리하게 개선하기 위해 환경부와 한국전력공사, GS칼텍스·SK에너지 등과 제휴를 맺었다. 전기차 시장 확대와 사업 확장이 맞물리면서 소프트베리의 연매출도 2021년 기준으로 2020년 대비 747% 폭발적인 증가했고, 충전사업 매출도 2021년 2억 7000만원에서 지난해 11억원으로 324% 상승해 지난해 연매출 23억원 달성에 기여했다.박 대표는 전기차 충전의 특수한 점으로, 전기차는 집에서도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사업 형태가 두 가지로 갈린다는 점을 꼽았다. 내연기관 자동차 충전은 주유소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전기차는 택시나 택배 상하차 등 주유소 중심의 급속충전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와 완속 충전에도 불편을 느끼지 않아 집에서 충전하는 형태로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함께 공존한다.택시 등 사업에 충전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들은 대량으로 충전을 하는 만큼 정량으로 충전을 하면 그에 맞게 가격을 제시하는 구독상품에 매력을 느낀다. 반면에 주유소를 가지 않아도 집에서 충전이 가능한 일반 이용자들을 주유소로 끌어오기 위해서는 세차 서비스 등 충전 거점을 통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대할 필요가 커졌다. 박 대표는 "전기차 사업에서 충전 부분에만 집중해 보는 경향이 있으나, 고객이 원하는 측면에서 비즈니스를 만들고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게 더 중요하다"며 "향후 이 부분에 집중해 EV 인프라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사업 목표를 제시했다.글로벌 전기차 시장도 성장하고 있어 박 대표는 해외진출도 꾀하고 있다. 이미 중남미의 도미니카 공화국에는 스페인어로 "어디서 충전하지?"라는 뜻의 ‘돈데깔고’ 앱을 출시했다. 박 대표는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해외 충전기 관리 플랫폼 솔루션은 해외에도 바로 선보일 수 있는 만큼, 현재 동남아와 뉴질랜드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박용희 소프트베리 대표. 사진=김유승 기자소프트베리의 전기차 플랫폼 ‘EV 인프라’ 홍보 포스터. 사진=소프트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