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결국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을 파기했다. 단식으로 대여 투쟁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리고 자신을 중심으로 한 내부 결속을 꾀했으나, 당내 체포동의안 가결 촉구 목소리가 끊이지 않자 결국 직접 발언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20일 페이스북에서 "정치검찰에게 이재명은 무엇을 하든 범죄자"라며 "정치의 최 일선에 선 검찰이 자신들이 조작한 상상의 세계에 꿰맞춰 저를 감옥에 가두겠다고 한다"고 억울해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불체포특권 포기 선언과 관련해 "저는 이미 "저를 보호하기 위한 국회는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말씀드렸다"며 "민주당도 표결이 필요 없는 비회기 중 영장청구가 가능하도록 여러 차례 기회를 줬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검찰은 끝내 이를 거부하고 굳이 정기국회에 영장을 청구해 표결을 강요했다"며 "저를 감옥에 보낼 정도로 범죄의 증거가 분명하다면 표결이 필요 없는 비회기 중에 청구해야 맞다"고 덧붙였다. 검찰이 체포동의안을 보내 이 대표 구속영장 실질심사 여부를 사실상 민주당이 결정할 수 있게 한 것이 ‘증거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 대표는 이와 관련 "가결하면 당 분열, 부결하면 방탄 프레임에 빠트리겠다는 꼼수"라며 "중립이 생명인 검찰권을 사적으로 남용해 비열한 ‘정치공작’을 하는 것"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체포동의안 가결을 요구하는 비명계 의원들 주장을 겨냥, "제가 가결을 요청해야 한다는 의견도, 당당하게 정면돌파해야 한다는 의견도 들었다"면서도 "윤석열 정권의 부당한 국가권력 남용과 정치검찰의 정치공작에 제대로 맞서지 못하고, 저들의 꼼수에 놀아나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일축했다. 이 대표는 이어 "지금의 이 싸움은 단지 이재명과 검찰 간의 싸움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명백히 불법 부당한 이번 체포동의안의 가결은 정치검찰의 공작수사에 날개를 달아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사실상 비명계 의원들 향해 "검찰독재의 폭주기관차를 국회 앞에서 멈춰 세워달라. 위기에 처한 헌법질서와 민주주의를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친명계 민주당 지도부 역시 이날 검찰을 향한 맹비난을 쏟아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똑 떨어지는 증거도 없이 증거 인멸도, 도망갈 염려도 없는 이 대표를 구속하겠다는 것은 야당 탄압·정적 제거의 공작 외에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장경태 최고위원도 "국민은 정치 검찰에 놀아나지 않을 것"이라며 "이 정권의 비인간적 무법천지를 반드시 심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성준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후 "검찰 독재를 저지하기 위해 총력 투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다만 비명계 의원들이 결국 체포동의안 가결을 결정한다면, 이런 비판들이 자기부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비명계 박용진 의원은 이날 이 대표 입장에 앞서서도 KBS 라디오에서 "‘일치단결해서 가결시켜주면 내가 자신 있으니까 법정에 가서 (영장) 기각을 시키고 오마’ 이렇게 해주는 대표의 리더십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라고 촉구한 바 있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은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 찬성이 가결 요건이다. 현재 재적 의원은 297명으로, 병상에 있는 이 대표, 수감 중인 윤관석 의원, 해외 순방 중인 박진 외교통상부 장관을 제외하고 294명 전원이 출석한다면 가결 정족수는 148표다. 국민의힘과 정의당, 범여권 성향 의원 120명에 더해 민주당에서 이탈표가 28표 이상 나오면 체포동의안이 가결될 수 있다. 만일 가결될 경우 법원이 영장을 실제로 발부하면 이 대표 ‘옥중 공천’까지 배제하지 않았던 친명계와 비명계 간 일전이 불가피하다. 반대로 법원이 영장을 기각한다면 총선 전까지 민주당은 친명계를 중심으로 결집하고, 국민의힘은 역풍을 맞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hg3to8@ekn.kr이재명, 단식 투쟁 15일 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