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하영 기자] 고물가ㆍ고금리ㆍ고환율ㆍ고임금 등 4중고에 빠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금융안정을 위해 전문가들이 모여 머리를 맞댔다.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정책학회는 3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안정 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오는 9월 말 코로나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조치 종료를 앞둔 시점에서 현실적인 부채 연착륙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발생 시 극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진호 한남대학교 교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부채현황과 신용회복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중소기업ㆍ소상공인의) 추가 피해를 차단하기 위한 대안으로 코로나 기간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들의 신용등급 회복이 중요하며, ‘중소기업의 복원력지수’ 등을 고려한 새로운 신용평가 방법 도입을 논의할 때"라며 "이 지수 자체로만 신용평가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기존에 있는 평가시스템에 추가하면 좋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채운 서강대학교 교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위기 대응과 회생방안’을 주제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해 생산성과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성 지원과 긴급자금대출을 결합한 ‘한국형 PPP(생산성보호프로그램)’ 제도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임 교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유형별로 맞춤형 금융지원을 도입하되 기존에 존재하는 지원제도와 연계해 회복력을 강화하는 방안과 폐업·생존 기업을 나눠 투트랙(Two-Track)으로 금융지원과 더불어 정책지원을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용진 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가지고 있는 부채는 900조가 넘었다"며 "중소기업들의 경우, 여전히 직접금융보다 간접금융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중소기업에 특화된 신용평가 시스템이 아닌 범용 신용평가시스템으로 인해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자본조달 환경에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학회장은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거나 비즈니스 생태계가 무너진다면 국가 경쟁력 또한 무너질 것"이라면서 "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자본을 조달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박영석 서강대학교 교수의 진행으로 △송유경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장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이석란 금융위원회 산업금융과장 △박재성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윤창현 국민의힘 국회의원,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용진 중소벤처학회장, 정윤모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 등이 토론회에 참석했다. 한편, 이날 중기중앙회는 지난 1~5일까지 진행한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안정 지원을 위한 의견조사’(중소기업·소상공인 400개사 대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출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조치 이용자의 88.7%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으며, ‘추가연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0.3%에 달했다. 추가연장이 필요한 이유로는 ‘코로나로 인한 매출하락 미회복’이 35.7%로 가장 많았으며, ‘물가, 원자재값 인상 등 경영환경 악화’(29.9%), ‘대출상환ㆍ이자납부를 위한 자금여력 부족’(21.2%)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대출만기연장 조치가 종료될 경우 희망하는 지원대책은 ‘저금리 대환대출 프로그램 지원’이 50.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출만기금 장기분할 상환제도 마련’(30.0%), ‘조기상환 시 이자율 경감 등 부담완화’(28.0%) 등이 뒤따랐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전년도(2019년) 대비 ‘2021년도 매출이 20% 이상 감소’했다고 응답한 경우는 소상공인 59.0%, 중소기업 25.0%로 나타났다.보도193-사진1 8월 3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안정 지원을 위한 토론회’에서 (왼쪽 5번째부터)김용진 중소벤처학회장,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정윤모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