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만주 신주 발행…기존 주식의 71% 규모
자금 378억 중 160억, 교환사채 상환에 투입
수년째 이자상환능력 부재 '좀비기업' 탈출 시급
유증 후에도 부채 부담 여전 '수익성' 개선 필수

▲사진=코아스템켐온
코스닥 상장 바이오 기업 코아스템켐온이 400억원에 육박하는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한다. 그간 교환사채(EB), 자사주 처분 등으로 자금을 마련해왔지만 결국 주주에게 손을 벌려야만 하는 상태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아스템켐온은 2000만주를 신규 발행해 378억원을 유입시키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보 방식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신주의 상장예정일은 오는 11월24일이다.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주식수는 2000만주다. 이는 자기주식을 제외한 기존 발행주식수(2809만5326주)의 약 71%에 달하는 규모다.
유상증자 목적을 보면 134억6030만원은 운영자금으로, 나머지 243억3970만원은 채무상환자금으로 쓰일 예정이다. 이 가운데 채무상환의 상당부분은 EB가 차지한다.
코아스템켐온의 미상환 EB 잔액은 제3회차·제4회차 159억원이며, 교환가액(8870원·1만1200원)을 크게 밑도는 현 주가(2100원대)로 인해 조기상환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회사는 이번 유상증자 대금 중 약 160억원을 교환사채 상환에 투입할 계획이다.
코아스템켐온이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 원인은 재무상태 악화에 있다. 상반기 기준 코아스템켐온의 차입금의존도는 46%다. 일반적으로 30% 안팎이 안정권으로 평가되지만, 코아스템켐온은 이보다 크게 웃돌았다. 부채비율 역시 151.6%에 육박했다. 같은 기간 누적결손금은 1031억원에 이른다.
문제는 이번 유상증자만으로 재무악화의 구조적 문제가 해소되기는 어려운 수준이라는 점이다. 유상증자를 통해 채무를 상환해도 1년 안에 갚아야 할 부채가 200여억원에 달한다. 반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1억원 수준에 그친다. 매출채권 등 1년 안에 유동화가 가능한 자산을 긁어모아도 139억원 수준으로, 갚아야 할 돈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상태다. 결국 추가적인 자금조달이 필요할 수 있다.
코아스템켐온도 이런 점을 시사했다. 회사는 공시를 통해 “향후 당사에 추가적인 유동성이 필요할 경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 477만5050주의 장내·외 처분 또는 EB의 추가 발행에 따른 처분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는 시장에 물량으로 출회되어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미 유상증자 발표 만으로 주가는 크게 출렁였다. 주주가치 희석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퍼져서다. 실제 코아스템켐온 주가는 유상증자 발표한 후 급락하며 발표 이전 대비 29% 하락, 5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유상증자 이후 실질적인 재무 개선을 위해서는 수익성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수익성 개선도 쉽지 만은 않아 보인다.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를 받았던 자회사 켐온과의 합병 후에도 연구개발 성과가 미비하고 CRO(임상시험 수탁기관) 사업 부문 역시 매출 감소와 적자가 이어지며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최근 수년 째 이자보상배율은 1배 미만을 기록,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전혀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가 계속됐다. 일반적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이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간주되며, 3년 연속 1배 미만일 경우 좀비기업(한계기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손실이 누적되면서 최근에는 '계속기업 불확실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유상증자는 단기적으로 급한 불을 끄는 데에는 의미가 있지만, 영업손실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만큼 재무구조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수익성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추가 자금조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