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지주사의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부도위험 지표가 급격하게 상승했다.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이달 4일 기준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금융지주의 CDS프리미엄 평균은 75bp로 집계됐다.작년 말 22bp와 비교하면 3배 넘게 급등한 것이다.지주사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이달 4일 현재 CDS프리미엄은 2017년 말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다.CDS란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에 부도가 발생해 원리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대비한 일종의 보험 성격의 금융파생상품이다. CDS프리미엄이 높다는 것은 해당 채권의 부도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지주사별로 보면 하나금융지주의 CDS프리미엄이 작년 말 22bp에서 이달 4일 현재 77bp로 상승했고, KB금융지주는 22bp에서 75bp로, 우리금융지주는 22bp에서 77bp로 올랐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지주의 CDS프리미엄은 24bp에서 73bp로 올랐다.금융지주사의 CDS프리미엄은 올해 상반기 크레디트스위스 위기설 여파로 50bp로 상승했다. 이후 다른 나라도 안정세를 찾으면서 8월 30bp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9월 40bp로 올라온 뒤 계속해서 상승세를 타고 있다.4대 금융지주사는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13조854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한은이 급격하게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 부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지난 9월 레고랜드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신청 사건)가 벌어지면서 국내 금융시장 신뢰가 악화된 점도 금융지주 CDS프리미엄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신한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