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인플레이션 완화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며 미국이 경기침체를 피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옐런 장관은 8일(현지시간) 텍사스주 포트워스의 조폐국(BEP) 공장을 방문한 뒤 기자들에게 "우리가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답은 ‘예스’(피할 수 있다)라고 믿는다"면서 "경기침체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 근거로 지금까지 급여 감소가 발생하지 않고 임금 물가의 순환 상승이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공급망 병목현상 역시 완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들었다. 옐런 장관은 "기업체들이 성장 전망치를 낮추고 고용 계획을 축소하면서 퇴직도 약간 감소했다"며 "전국적으로 대규모 순 정리해고가 없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 완화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또 주택 임대료가 정점을 찍고 내리기 시작했고 달러 가치의 최근 움직임도 대체로 펀더멘털을 반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달러 가치가 정점을 찍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옐런 장관은 또 중국 방문에 대한 물음에는 "명확한 방문 계획은 없지만 중국 방문에 확실히 열려 있다"며 "지난 1~2년간보다 중국과 더 강력한 상호 교류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관리들과 만나 논의할 잠재적 주제는 중국으로부터 많은 돈을 빌린 빈곤국과 개도국의 부채 탕감과 채무 조정에 중국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류허 경제담당 부총리 등 중국 정부 관리들에게 부채 탕감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지만 큰 진전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등 글로벌 금융기관 수장들은 이번 주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다. 옐런 장관은 또 중국의 현 상황에 대해 코로나19 정책 조정에 ‘매우 복잡한 문제’에 직면한 중국이 서방의 mRNA 백신을 사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면 성장률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옐런 장관은 이날 BEP에서 자신이 서명이 담긴 1달러, 5달러 지폐를 공개했다. 이들 지폐는 이달 내로 연방준비은행으로 전달될 예정이며, 내년 1월부터 쓰일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개된 지폐에는 재무부 첫 여성 원주민 출신 재무관인 마릴린 말러바의 서명도 담겼다. 말러바는 모히간 부족의 종신 족장으로, 재무부 재무관 자리에 아메리카 대륙 여성 원주민이 오른 것은 그가 처음이다. 옐런 장관은 인쇄국 직원들과 만나 "재무부와 경제계는 여성을 위한 더 큰 기회를 주는 데 성과를 거뒀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훨씬 많은 게 이뤄져야 한다는 걸 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정과 포용으로 가는 길에서 오늘이 이정표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옐런 장관은 앞서 첫 여성 연준 의장, 첫 여성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유리천장을 깨 왔다.US-ECONOMY-YELLEN-MONEY 자신의 서명이 담긴 달러화 보여주는 옐런 미 재무장관(왼쪽)(사진=AFP/연합) 3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 서명이 들어간 5달러 지폐(사진=AP/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