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LG U+ 아이들나라, 플레이몽키와 맞손…"키즈 콘텐츠 활성화"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LG유플러스가 플레이몽키와 키즈 대상 콘텐츠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를 맺고 키즈 콘텐츠 경험 혁신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플레이몽키는 지난 7월 말 LG유플러스에서 분사한 스타트업으로, 만 5~9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온라인 라이브 놀이터’를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 라이브 놀이터는 예키 웹사이트에서 줌으로 놀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줌으로 연결된 노트북 화면에 놀이 DJ가 등장하고 집에 있는 어린이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즐기게 된다. 현재 ‘온라인 라이브 놀이터’에서는 실제 만화캐릭터처럼 움직이고 노는 ‘댄스 무술클럽’과 아이들이 다 함께 모여 식사하는 ‘식사클럽’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평일 저녁 6시 반부터 늦은 밤까지 입장 가능한 ‘바로입장 놀이터’는 육아에 지친 부모 고객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LG유플러스는 키즈 전용 서비스 ‘아이들나라’가 보유한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플레이몽키에 제공하고, 플레이몽키는 ‘온라인 라이브 놀이터’에서 키즈 고객이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퀴즈를 풀고, 재미있는 표정을 지어보는 등 여러 방향으로 아이들나라의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양사는 향후 각 사 서비스를 활용한 결합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공동 프로모션 활동에도 적극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김대호 LG유플러스 아이들나라CO는 "사내벤처에서 분사한 플레이몽키를 통해 아이들나라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되어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양사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주선 플레이몽키 대표는 "아이들을 행복한 사람으로 성장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아이들이 신나고 재미있어 하는 포인트를 잡아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다"며 "독서·학습·놀이 관련 6만여 편의 콘텐츠를 보유한 아이들나라와의 이번 업무협약은 아이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의미 있는 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플레이몽키는 올해 LG유플러스에서 시드투자를 받았으며 예비창업패키지, 여성벤처창업케어 프로그램, 마포중장년기술창업 등의 지원을 받았다. 내년 하반기에는 글로벌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도 도전한다. sojin@ekn.krㅁ 김대호 LG유플러스 아이들나라CO(왼쪽)와 김주선 플레이몽키 대표가 서울 강남구 아이들나라 사옥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28일 중국 서비스 개시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28일 중국 서비스 개시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순 기자] 데브시스터즈의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 ‘쿠키런: 킹덤’(개발사 스튜디오킹덤)이 오는 28일 중국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8일 ‘쿠키런: 킹덤’은 중국 공식 홈페이지 및 소셜 채널을 통해 출시 일정과 예정된 주요 브랜드 협업, 향후 운영 계획 등을 소개했다. 특히 연말 시즌에 맞춰 유저 마음을 녹이는 따뜻한 분위기의 티징 포스터로 중국 현지 콘텐츠를 예고하며 유저들의 큰 관심을 이끌었다. 공식 소셜 채널에서는 현지화 콘텐츠를 지속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신규 중국풍 스토리 콘텐츠, 중국 최대 과자·유제품 브랜드인 ‘왕왕(旺旺)’과의 협업으로 등장하는 콜라보 쿠키와 데코 등 현지 기대감을 높이는 운영 계획을 공개했다. 쿠키런: 킹덤은 최근 중국 게임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골든 플룸 어워드(Golden Plume Award)에서 ‘2023년 가장 기대되는 모바일 게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 사전 예약자 수 530만 명 이상을 달성하고, 앞서 공개된 트레일러 영상으로 중국 대표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 조회수 약 650만 회를 기록하며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일부터는 게임 완성도와 기술 안정성을 최종 점검하기 위한 마지막 유저 테스트를 실시했다. 테스트 첫 날에는 유저들의 열띤 호응을 받으며 중국 주요 앱마켓 플랫폼 ‘탭탭’의 안드로이드와 iOS 예약 순위에서 각각 1위에 올랐다. 지난 8월 유저 테스트에 이어 또다시 주요 플랫폼에서 예약 순위 최상위에 오르고 화제를 모은 것이다. 데브시스터즈는 현지 퍼블리셔와 함께 안정적인 서비스 및 전국적 관심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지 출시일까지 유저 참여형 아이디어 공모전, 머천다이즈 판매 등 다양한 이벤트와 마케팅 활동을 이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쿠키런: 킹덤은 주요 안드로이드 앱 마켓과 애플 앱스토어에서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합작 퍼블리싱에 나선 중국 게임사 창유와 텐센트 게임즈가 현지 서비스를 맡는다.hsjung@ekn.kr쿠키런킹덤 쿠키런: 킹덤 중국 버전.

하이브IM 기대작 ‘별이되어라2’, 내년 1분기 출시 예고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순 기자] 연내 출시를 예고했던 하이브IM의 기대작 ‘별이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개발사 플린트)이 내년 1분기로 출시를 연기했다. 개발사는 글로벌 테스트를 통해 얻은 이용자 피드백을 수렴해 콘텐츠 완성도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8일 하이브IM에 따르면 ‘별이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의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김영모 플린트 대표는 게임의 개선 방향성을 담은 ‘개발자 노트’를 공식 커뮤니티에 공개했다. 플린트는 지난 10월 진행한 ‘퍼스트 글로벌 베타 테스트’의 이용자 피드백을 수렴하여 게임의 개발 방향을 신속히 조정하고 콘텐츠 개선에 주력했다. 이번 ‘개발자 노트’는 게임의 종합적인 개편 동향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이용자들이 가장 많은 피드백을 제공한 전투 시스템 수정에 대한 내용에 집중했다. 먼저 타격 피드백을 개선하기 위하여 게임 캐릭터의 선제 모션과 딜레이 속도를 대폭 수정했다. 조작 피드백에 있어서도 전력 질주와 회피의 반응성 및 최고 속도에 도달하는 지점, 회피 시 가속과 거리 등 다양한 요소를 수정하여 보다 빠르고 즉각적인 전투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게임 플레이의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위해 조작 방식 개편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액션 본연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수동 컨트롤의 재미를 유지하는 동시에, 던전 파밍의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한 오토 플레이 기능을 테스트 중이다. 아이템 파밍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오토 플레이 중에도 캐릭터 변경을 통한 전략적 스킬 사용의 즐거움과 전투 상황을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것을 목표로 집중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전투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전체 맵의 레벨 디자인을 변경 중이며, 몬스터 AI를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 높은 긴장감의 게임 플레이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전체 던전 플레이 타임 대폭 축소 △아이템 자동 습득 가능 △폭주하는 별의 힘 개선 △오토 타깃팅 개선 △최적의 카메라 시점 변경 및 카메라 워킹 수정을 통해 몰입도 있는 게임 환경을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모 플린트 대표는 "이용자분들께 완벽에 가까운 버전을 서비스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를 위해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지만, 내년 1분기에 서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플린트는 이번 개편 사항에 머무르지 않고 추가적인 향상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정 및 개선 내용을 계속해서 공유할 계획이다.hsjung@ekn.kr베다의기사들 별이되어라2: 베다의 기사들.

넥슨, 팀 기반 FPS 게임 ‘더 파이널스’ 글로벌 정식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순 기자] 8일 넥슨이 신규 팀 기반 1인칭 총쏘기게임(FPS) ‘더 파이널스(THE FINALS®)’(개발사 엠바크 스튜디오)를 글로벌 시장에 깜짝 출시했다. ‘더 파이널스’는 그간 경험할 수 없었던 역동성과 전략성을 지향하는 1인칭 팀 대전 슈팅게임으로, 자유로운 폭파 매커니즘을 통해 한계 없는 슈팅 액션을 경험할 수 있다. 지난 10월 크로스플레이 오픈 베타 테스트에서 누적 이용자 750만 명, 스팀 최고 동시 접속자 약 27만 명, 위시리스트 1위를 기록하며 차세대 슈팅 게임으로 기대를 모았다. PC(Steam), 엑스박스(Xbox) 시리즈 XlS, 플레이스테이션5에서의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하며, PC 플랫폼에서도 게임패드를 사용해 플레이할 수 있다. 체형에 따라 사용하는 스킬, 무기, 가젯이 다른 캐릭터 3종, ‘모나코’, ‘서울’, ‘라스베이거스(VEGAS)’ 등 세계 명소를 기반으로 제작한 4종의 맵을 플레이할 수 있다. 24명이 여덟 팀으로 나뉘어 ‘금고’를 확보하고 지키는 ‘토너먼트’, 9명이 부담 없이 플레이하는 ‘퀵 캐쉬’, 48명이 경쟁하는 ‘랭크 토너먼트’, 네 팀이 가장 많이 ‘코인’을 모아야 하는 ‘뱅크 잇’ 모드 등을 제공한다. ‘더 파이널스’는 시즌제로 운영되며 정식 출시를 기점으로 시즌 1이 시작된다. 이번 시즌에서는 환상의 도시, 복싱의 메카 ‘라스베이거스’를 배경으로 한 신규 맵 ‘LAS VEGAS’를 만나볼 수 있고, 이번 맵 역시 전장의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리는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 가상세계에서 게임쇼를 펼치는 ‘더 파이널스’ 세계관의 비밀과 관련한 첫 번째 실마리를 찾아낼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용자 취향에 따라 캐릭터를 꾸미는 코스튬 시스템도 제공하며, 팬더, 발레리나 등 독특한 콘셉트의 스킨도 장착할 수 있다. 또, 정식 출시를 기념해 미션을 수행해 레벨을 올리며 96개의 다채로운 보상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배틀패스’ 시스템도 선보였다. 구스타브 틸레비(Gustav Tilleby) 엠바크 스튜디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더 파이널스’는 배틀로얄, 전술 FPS 등 기존 슈팅게임들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슈팅게임"이라며 "많은 이용자분들께서 ‘더 파이널스’를 경험하시기를 바라며, 개발진은 이용자분들에게 더욱 즐거운 재미를 제공하기 위해 집중하겠다"라고 전했다. hsjung@ekn.kr더 파이널스_글로벌 정식 론칭 더 파이널스.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 AI 기반 콘텐츠 기업 ‘아이즈 엔터테인먼트’ 설립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순 기자] 남궁훈 카카오 전 대표가 인공지능(AI) 기반의 콘텐츠 기업 ‘아이즈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다. ‘아이즈 엔터테인먼트’는 AI를 복수형으로 표현한 ‘아이즈’와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명칭이다. AI를 ‘아이(child)’로 설정해 페르소나를 부여하고 궁극적으로 무수한 페르소나(children)를 보유하고자 하는 기업 아이덴티티를 담고 있다. 아이즈는 관심사에 맞는 콘텐츠를 연결하는 커뮤니티를 통해 팬덤을 형성하고, 사용자 간 소통과 참여를 활성화해 AI 중심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차별화된 놀이문화를 조성할 예정이다. 먼저 남궁훈 대표를 중심으로 게임, 메신저, 인공지능 분야의 전문가들이 합류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향후 AI 시장을 주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남궁훈 대표는 "AI와 콘텐츠로 팬덤 중심의 엔터테인먼트 문화를 형성해, 이용자들이 몰입도 높은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아이즈는 엔터테인먼트형 콘텐츠와 AI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hsjung@ekn.kr아이즈엔터테인먼트_로고_보도자료 아이즈 엔터테인먼트 로고.

SKT, 경북 영양군과 천체망원경 원격 관측 서비스 선보인다

[에너지경제신문 김태현 기자] SK텔레콤(SKT)은 경상북도 영양군과 천체망원경 원격 관측 및 천문 전용 콘텐츠 서비스 ‘스타허그’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스타허그’는 원격 관측소에 설치된 천체망원경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상하고, 직접 제어까지 해볼 수 있는 서비스로 출시를 준비중이다. 실시간 관측 기능 뿐만 아니라 달, 행성, 별, 은하 등 우주 영상과 천문 관련 콘텐츠도 제공할 예정이다. SKT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상북도 영양군과 협력해 원격 천체 관측소를 건축하고 있다. 영양군 반딧불이생태공원은 국내에서 별을 관측하기 가장 좋은 곳으로 국제밤하늘협회(IDA)로부터 밤하늘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SKT는 반딧불이생태공원 내 SKT ‘스타허그’ 전용 원격관측소를 건설해 영양군에 기부 채납하고 해당 원격관측소를 기반으로 ‘스타허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SKT와 영양군은 원격 천체관측 문화 활성화와 밤하늘 감상에 대한 국민 저변 확대, 우주의 아름다움 전파 등 천문 대중화를 위해 협력한다. 뿐만 아니라 국내 별관측 환경 개선을 위한 빛 공해 저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캠페인, 우주 과학 교육 캠페인, 천문관측행사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손인혁 SKT 글로벌 솔루션 AIX추진담당은 "우주시대 개막에 맞춰 SKT는 천문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원격 천체 관측 서비스 출시를 준비중이다"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별 보기 좋은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기여하고 천문 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협업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kth2617@ekn.krSKT 영양군 MOU 왼쪽부터 오도창 경북 영양군수와 손인혁 SK텔레콤 글로벌솔루션 AIX 추진담당이 지난 7일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T 본사 SK T타워에서 협약식을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 U+, 국내 최초 3년 연속 글로벌 오픈랜 성과공유회 참여

[에너지경제신문 김태현 기자] LG유플러스는 ‘오랜 얼라이언스(O-RAN Alliance)’가 주최한 ‘글로벌 플러그페스트 Fall 2023’ 행사에 참여해 오픈랜 기술경쟁력과 국내외 장비제조사와의 협업 성과를 공개했다고 8일 밝혔다. 오픈랜은 기지국을 비롯한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장비를 연동하는 표준기술이다. 플러그페스트는 오픈랜 기술 관련 성과를 공유하는 온라인 행사다. LG유플러스는 국내 통신사업자 중 유일하게 2021년 행사부터 3년 연속으로 참여했다. 올해 플러그페스트에서 LG유플러스는 삼지전자·쏠리드·이노와이어리스 등 국내 장비 제조사, 노키아·델·HPE 등 글로벌 장비 제조사와 함께 △옥외 환경에서 O-RAN 장비 필드 테스트 O-RU 적합성 △프론트홀 상호 호환성 △프론트홀 멀티플렉서 적합성 △ O-Cloud 자동 운영 △ 무선접속망 지능형 컨트롤러(RIC) 사용 케이스 검증 등 오픈랜 작동 시나리오를 공개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오픈랜 연구개발 성과를 검증하는 글로벌 플러그페스트에 3년 연속으로 참가하게 돼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국내외 다양한 장비 제조사와 협업을 통해 국내 오픈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kth2617@ekn.krLG U+, 국내 최초 3년 연속 글로벌 오픈랜 성과공유회 참여 LG유플러스 임직원들이 플러그페스트에 앞서 오픈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비긴즈’ 7일 국내 정식 론칭

[에너지경제신문 김태현 기자] 그라비티가 횡스크롤 아케이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라그나로크 비긴즈’를 국내 정식 론칭했다고 7일 밝혔다. 라그나로크 비긴즈는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 심포니’ 3악장 타이틀이다.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전투 스타일을 새롭게 재현했다. 라그나로크 온라인의 100년 전 이야기를 다뤄 기존 라그나로크 지식재산권(IP)와는 차별화된 스토리를 선보인다. 논타게팅 전투 방식을 적용해 아케이드 액션성을 강조했다. 손쉬운 조작으로 빠르고 경쾌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 크로스플랫폼을 지원해 PC와 모바일을 자유롭게 오가며 플레이할 수 있다. 라그나로크 비긴즈는 총 3번의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를 통한 유저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게임의 완성도를 높였다. 또한 지난해 11월 론칭한 북미 지역에서의 게임 시스템과 밸런스 개선 사항도 반영했다. 그라비티는 북미 지역과 한국의 콘텐츠 공개 범위 등 서비스 진행 상황을 단계적으로 맞춰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라비티는 라그나로크 비긴즈의 국내 정식 론칭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론칭 당일에만 사용 가능한 특별 쿠폰은 다이아 250개와 25만 제니로 구성했으며 공식 홈페이지 사전예약자와 그라비티 공식 카카오톡 플친에게 증정한다. 또한 이벤트 기간 내 접속한 모든 유저에게 매일 아이템을 선물하는 ‘축하 선물 이벤트’, 일정 레벨을 달성할 때마다 보상을 제공하는 ‘레벨 달성 이벤트’를 진행한다. ‘보스 공략 이벤트’로 필드 내 다양한 보스 공략에 성공하면 참여자 전원에게 참가상을 제공하며 성공 횟수 순위에 따라 특별 아이템도 추가 증정한다. 이외에도 ‘주화 교환 이벤트’, ‘핫 타임 이벤트’ 등이 준비됐다. 정진화 라그나로크 비긴즈 PM은 "CBT 기간 피드백을 반영해 준비했다"라며 "라그나로크 비긴즈만의 색다른 재미를 제공하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kth2617@ekn.kr그라비티 홍보unit_라그나로크 비긴즈 이미지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비긴즈

엔씨 신작 ‘TL’ 출격…저녁 8시 서비스 개시

[에너지경제신문 김태현 기자] 엔씨소프트가 자사의 신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쓰론 앤 리버티(TL)’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이날 밝혔다. TL은 엔씨가 11년 만에 출시하는 PC MMORPG다. 이용자는 이날 오후 8시부터 엔씨 게임 플랫폼 퍼플에서 게임을 설치해 플레이할 수 있다. 현재 사전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엔씨는 TL의 국내 서비스 이후 아마존게임즈를 통해 내년 상반기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향후 콘솔 버전 출시도 예정돼 있다. TL은 실제 자연처럼 시시각각 변화하고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심리스 월드를 채용했다. 7종의 무기 중 2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무기 조합, 빠른 성장과 다채로운 플레이가 가능한 길드 커뮤니티가 특징이다. 또 개발 과정에서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자동사냥을 전면 제거했다. 론칭 시점 총 서버 개수는 21개다. 엔씨는 사전 캐릭터 생성에 참여하지 못한 이용자를 위해 신규 서버 5개(△닉스 △위스프 △헤르피 △기간트리테 △솔리시움)를 열고, 기존 6개 서버(△록시 △제니스 △레빌 △카자르 △라슬란 △톨랜드)의 수용 인원을 증설했다. 엔씨는 TL 론칭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용자는 여러 업적을 달성하고 보상을 획득하는 ‘솔리시움, 최초의 모험’, 매일 TL에 접속해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웰컴 드링크 출석부’, 프리미엄 PC방 이벤트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론칭 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종옥 TL 개발 총괄 PD는 "TL의 세계를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며 "안정적인 서비스와 꾸준한 콘텐츠 업데이트로 TL만의 매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kth2617@ekn.kr엔씨(NC) PC 신작 ‘THRONE AND LIBERTY’ 엔씨소프트 ‘쓰론 앤 리버티’

SK스퀘어, 2024년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SK스퀘어는 2024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7일 단행했다고 밝혔다. SK스퀘어의 조직개편 방향은 기존 포트폴리오 밸류업과 리밸런싱의 실행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반도체 등 핵심 분야별 투자 전문성을 제고하고,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기능도 재편한다. 이를 위해 기존 투자조직(CIO)을 2개로 재편한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신성장 영역 투자를 담당하는 ‘CIO Growth’, 기존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자산 가치를 높이는 ‘CIO Transformation’ 등 ‘듀얼 CIO’ 체제를 구축해 CIO 별 전문 역량을 고도화하고, 상호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SK스퀘어는 투자지원센터 산하에 ‘Portfolio전략 담당’ 조직을 배치해 포트폴리오별 성과 및 리스크 관리 기능을 강화해 나간다. 글로벌 복합위기 속 투자 관리 전문성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기업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프로젝트 기반 유연한 조직 운영’ 체계도 도입한다. 기존의 정형화된 조직·자산 단위가 아닌 프로젝트 단위의 업무 수행 방식을 전면 도입해 성과 창출을 극대화한다. 임원인사에선 ‘성과주의’에 기반해 투자조직에 40대 중반의 송재승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선임했다. 송재승 CIO는 1979년생으로 골드만삭스 등 대형 투자은행(IB)을 거쳐 2018년 SK에 합류했다. 올해 발렌베리와 SK쉴더스 딜을 성공리에 마무리한 투자 전문가로 투자조직에 새로운 활력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총 6명의 임원을 새롭게 임명했다. 다음은 주요 임원 인사 명단. ◇주요 보직 현황 △CIO Growth 하형일 CIO △CIO Transformation 송재승 CIO △투자지원센터 한명진 센터장 ◇ 신규 선임 (6명) △구자성 투자지원센터 Portfolio전략 담당 △박태영 CIO Transformation MD △이지은 SK㈜ C&C Talent Management 담당 (관계사 전출) △박서하 티맵모빌리티 Data & Tech담당 △김교수 SK플래닛 CBO △손윤정 인크로스 대표 sojin@ekn.kr[SK스퀘어 보도자료] SK스퀘어, 2024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_2 SK스퀘어 본사 T타워 전경.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