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레드라인’ 넘은 미분양 주택…해법은 없나](http://www.ekn.kr/mnt/thum/202302/2023020201000084900002861.jpg)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지난달 미분양 주택이 레드라인으로 정한 6만 가구를 훌쩍 넘어선 6만8000가구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상황이면 곧 ‘10만 가구 미분양’설이 현실화될 전망이다.1일 정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초 정부 차원에서 직접 미분양 주택 매입 확대를 검토하라고 지시해 부동산 시장을 들썩이게 만들었다.다만 검토 지시가 떨어지기도 전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해 12월 서울 내 악성미분양 아파트인 강북구 수유동 ‘칸타빌 수유팰리스’를 매입한 것을 두고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국민세금으로 민간 건설사를 구제한다는 것은 ‘시장의 법칙’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여기에 더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와 국토부 기자간담회를 통해 LH의 의무는 미분양 주택을 저렴하게 매입해야 하는 것에 있는데 비싸게 매입한 것을 두고 감찰에 들어갈 사안이라고 엄포까지 놨다.게다가 원 장관은 준공 후의 미분양 증가 위험성을 강조할 뿐, 공사 중인 주택의 미분양은 아직 위험 수준까지 아니라고 선을 긋고 업계의 자정노력을 요구했다.공교롭게도 지난달 31일 주택건설업계에선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매입만으론 미분양을 해소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저렴하게 매입하려면 주택가격이 가장 저렴할 때인 준공 전에 매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현재 짓고 있는 미분양 주택을 현행 공공매입 가격수준(최고 분양가 70~75%)으로 공공에서 매입한 뒤 사업 주체에 환매하는 환매조건부 매입을 건의한 것이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LH의 고가 매입이 시기를 잘못 만나 뭇매를 맞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LH는 본래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해 직주근접 및 역세권을 중심으로 매입임대를 실시한다.서울지하철 4호선 수유역에서 10분 내 거리에 있는 신축아파트 칸타빌 수유팰리스는 당연히 고려대상일 수밖에 없다. 이에 전용면적 19~24㎡ 36가구를 각 2억1000만원에서 2억6000만원으로 분양가 대비 15% 할인해 매입한 것이다.그러나 해당 아파트는 이미 수차례 미분양을 겪으며 지속 할인에 들어가고 있어 LH의 매입 가격이 적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즉 매입임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란 지적도 나온다. 또한 LH의 매입임대 가격은 매입예정금액을 감정평가를 통해 결정하는데 감정평가 시기와 매매 시기가 차이가 있어 괴리가 있다는 것도 문제다.이에 대한 대책으로 나오는 것이 바로 주택건설업계에서도 언급한 ‘환매조건부 매입’이다. 이는 일정기간이 지난 후 되파는 것을 조건으로 사들이는 방식이다. 보통 최초 분양가 70% 수준에서 환매 조건부를 매입하게 된다.전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만8107가구로 전월 5만8027가구 대비 17.4%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도 7518가구로 전월 대비 5.7% 증가했다.MB정부 시절인 지난 2009년 3월 기준 16만 가구 미분양의 3분의1도 안 되지만 10만가구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매입임대 확대 조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불가피하다.다만 환매조건부 매입 역시 할인율은 12% 정도 수준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 중론이다. 집값이 지속 하락하는 상황에서는 매입 기준을 잡기가 애매한 현실이다.한문도 연세대 정경대학원 교수는 "감정평가나 원가계산이나 시세하고 비교사례를 정확하게 해서 시장이 하락하고 있을 때 이에 대한 것이 반영되는 계산이 필요하다"며 "국민혈세로 매입하는 만큼 가이드라인 기준을 명확히 만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kjh123@ekn.kr최근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서울 강북구 칸타빌 수유팰리스를 고가에 매입하자 여론이 들썩이고 있다.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부가 저렴하게 매입해야 한다는 것에 힘이 실리고 있다. 칸타빌 수유팰리스 일부 전경. 사진=김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