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주가 100만원을 넘기며 16년 만 코스닥시장 ‘황제주’에 등극한 에코프로에 개미(개인투자자)들 ‘믿음이 여전히 공고해 보인다. 뚜렷한 근거를 찾기 힘든 상승세에 고평가 논란이 끊이지 않지만, 개의치 않는 개미들은 거침없이 추격매수에 나선 모양새다. 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키움증권은 연초부터 지난달 25일까지 자사 개인 고객의 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에코프로에이치엔 등 ‘에코프로 3형제’에 대한 월별 매수·매도 수량과 평균단가를 집계한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에코프로 7월 평균 매수단가는 100만 9300원으로 집계됐다. 한 주에 100만원이 넘는 높은 가격에도 지난 1달 동안 에코프로를 대량 매수했다는 의미다. 에코프로 주가가 장중 100만원을 넘긴 건 지난달 10일이 처음이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100만원대 안착한 건 그로부터 일주일여 뒤인 18일부터였다. 즉 지난달 18일부터 25일까지 주가가 100만원대에서 움직이는 일주일 동안 개인 매수가 집중적으로 일어나 평균단가를 101만원에 가깝게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주가가 오를수록 더 많은 매수가 일어나는 이런 현상은 투자자들이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를 느낀 결과로 해석된다. 포모는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익을 얻을 기회를 자신만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는 증상을 일컫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선 2021년 전후로 주식과 코인, 부동산시장이 급등세를 보이며 널리 쓰이게 됐다. 7월 에코프로 매수량은 5월(577만주)과 6월(557만주)보다는 소폭 줄거나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25일까지만 해도 535만주 집계됐기 때문이다. 이는 올해 1월 매수량(121만주) 대비 342% 증가한 수치다. 특히 3∼4월엔 1000만주를 넘겨 800% 급증했다.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7월(1∼25일) 평균 매수단가가 34만 200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격대는 에코프로비엠 주가가 30만원대로 급등한 7월 중순∼말 집중 매수가 생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에코프로비엠은 7월 18일 32만원대에 안착하더니 25일 최고 48만 5000원까지 올랐다. 26일엔 58만 4000원까지 고점을 찍고 급락했다. 지난달 에코프로비엠 매수량은 전달(6월·287만주)보다 253% 급증한 1014만주로 집계됐다. 이런 인기에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에이치엔을 합친 에코프로그룹 시총은 연초 12조5965억원에서 7월 28일 종가 기준 70조 5871억원으로 58조원 가까이(460.4%) 불어났다. hg3to8@ekn.krclip20230801082447 에코프로비엠 포항사업장.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