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협상대표단 방미일정 마무리…‘한미 관세협상’ 진전 주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9 12:37

김용범 정책실장·구윤철 부총리·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오늘 귀국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20일 인천 도착

美 3500억달러 ‘선납’ 요구 변화여부 관건

5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한미협상을 마친 뒤 건물을 나서고 있다

한미 관세 후속협상에 나섰던 한국 정부 고위당국자들이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 이달 말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최종 결과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한미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찾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이날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도 김 실장과 같은 비행기로 입국할 예정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하루 뒤인 20일 오후 한국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김 실장과 김 장관, 여 본부장은 지난 16일 한미 무역 협상의 '키맨'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2시간 넘게 만나 양국 간 가장 큰 쟁점인 3500억달러 대미 투자의 구성과 방식을 협의했다. 구 부총리는 지난 15일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을 만나 미국의 대미 투자 선불 요구가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


여 본부장은 방미 기간 자기 대화 상대인 제미이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양측이 이번 협상을 통해 어느 정도로 의견 차이를 좁혔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번 협상 결과를 평가하면서 APEC 정상회의 개막을 앞두고 최종 합의문을 도출하기 위해 미국과 후속 협의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측 대미 투자금 3500억 달러의 투입 기간을 어느 정도로 설정할지와, 대미 투자금 집행 과정에서 한국의 외환 보유 안정성이 위협받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둘지 여부 등이 막판 쟁점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은 해당 자금을 전부 '직접투자' 방식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온 반면 한국은 이 경우 국내 외환시장 등에 상당한 충격이 우려되는 만큼 직접투자 비중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5일 “일본과 한국 모두 서명했다. 한국은 3500억 달러를 선불로, 일본은 6500억 달러에 합의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지난달 25일에도 “한국에서 3500억 달러를 받는다. 그것은 선불"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베선트 장관은 한미 무역협상과 관련해 “난 이견들이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우리는 현재 대화하고 있어 향후 10일 내로 무엇인가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