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이 시작됐다. 한국형 그린수소 생산기술 및 수전해 설계 기술 확보를 비롯해 기자재 국산화, 수전해 관련 수출산업 육성 등 수소산업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란 기대다.2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제주도는 제주CFI 미래관에서 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및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을 발표했다.이번에 공개된 12.5MW급 실증사업은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은 제주지역 전력계통 특성을 활용해 현존하는 수전해 시스템 4종 모두로 수소생산 실증을 진행하는 사업이다. 가동률 60% 기준 연간 1176톤 규모의 수소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산된 수소는 생산단지와 연계된 온 사이트(On-Site) 충전소를 통해 수소기반으로 전환 예정인 제주시 청소차 200여대와 시내·외 버스 300여대에 공급된다.총 사업비 620억 원이 소요되는 이 사업은 한국남부발전이 주관한다. 이 외 제주도, 한수원, 한국가스기술공사, 제주에너지공사 등 지자체·공기업과 SK Plughyverse(SK E&S 합작법인), SK Ecoplant, 지필로스, 선보유니텍, YEST, 현대자동차, 코하이젠 등 민간기업이 참여한다. 연구기관으로는 제주대, 에기연, 에너지공단, 미래기준연구소 등이 함께 한다.이번 대규모 실증 사업은 한국형 그린수소 생산기술 및 수전해 설계 기술 확보, 기자재 국산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전해 관련 산업을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산업부는 지난 2017년 260kW급(제주)를 시작으로 1MW급(울산), 2MW급(나주), 3MW급(제주) 등으로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전 세계 약 320개·200MW 규모의 그린수소 실증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최근 EU, 미국 등 주요국들은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계획을 발표하고 사업에 착수했다.이와 함께 제주도는 이날 발표한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에 따라 제주도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그린수소 선도 광역자치도로 ‘글로벌 그린수소 허브’가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제주도 특성과 현실을 반영해 제주형 그린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 실증, 생산단지 확대를 통한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 주요 거점별 수소 생산단지 구축 등 국가 청정수소 자급목표 기여한다는 목표다.이날 행사에 참석한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환영사에서 "2030년 정부 재생에너지 목표인 21.5%를 제주가 가장 먼저 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겠다"면서 "모빌리티, 발전소, 기저원전의 수소 전환 뿐 아니라 수소항만 구축, 수소 수출입을 통해 국가 수소경제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박일준 산업부 제2차관은 "이번에 착수된 국내 최초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은 수전해 관련 산업이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제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중앙 정부에서도 관심을 갖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행사에 앞서 진행된 수소기업 오찬 간담회에서 산업부 박일준 제2차관은 수소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그린수소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간담회에는 이승우 남부발전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박경일 SK 에코플랜트 사장,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 유원하 현대자동차 부사장, 이경실 코하이젠 사장, 최금식 선보유니텍 회장, 장동복 YEST 사장, 조용돈 가스기술공사 사장, 이상훈 에너지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이 자리에서 박일준 차관은 "정부는 2023년 청정수소발전제도(CHPS) 도입, 2024년 청정수소인증제 시행 등 수소 산업에 대한 민간의 투자를 유도하고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제도 정비 및 규제 완화에 적극 노력해 나갈 것" 이라고 강조했다.이어 오영훈 도지사는 "핵심 기술개발부터 상용화에 이르는 가치사슬에서 트랙레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youns@ekn.kr제주 그린수소 생산 실증단지 조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