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내년 전기·가스업 실질 부가가치 2.1% 늘어날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10 09:18

국회예산정책처 "냉난방 수요·전기기기 증가에 의한 전력 수요 등 증가세 견인"

"저탄소 정책에 따른 LNG 수요 지속 상승세도 기인 실질 부가가치 증가 이끌 것"

인천생산기지_전경(야)-1

▲인천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내년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의 실질 부가가치는 전 기업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전년도 기저효과와 냉난방 수요, 가전기기 보급 확대에 따른 전력 수요, 저탄소 정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LNG) 수요의 지속적인 상승세에 기인한다.

10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표한 2023년 및 중기 경제전망 보고에 따르면 내년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의 실질 부가가치 상승은 석유 및 석탄의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전력 수요 증가, 연평균 기온상승에 따른 냉방용 전력 수요의 확대 등이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체에너지원으로서 전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 가격 및 변동성과 연관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2019년 등유와 천연가스의 소비자 가격은 1990년에 비해 각각 5.0배, 천연가스는 3.0배 증가한 반면, 전력은 2.1배 증가에 그쳤다. 등유와 천연가스의 소비자 가격은 등락폭도 커서 2012년 등유가격은 1990년 대비 7.3배, 2014년 천연가스가격은 1990년 대비 4.5배 증가했다.

기후 온난화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상승하면서 냉방을 위한 전력 수요 증가 또한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의 실질 부가가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국내 난방도일은 1990년대 서울 지역을 기준 90.7일에서 2000년대 89.4일, 2010년 91.1일로 변동이 크지 않은 반면, 냉방도일은 같은 기간 31.8일에서 32.5일, 36.8일로 증가했다. 특히, 2016년과 2018년의 경우 여름 폭염으로 건물 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및 원자재 공급망 회복 지연과 세계 경기둔화로 인한 국내 제조업의 생산 및 수출 둔화, 내수 둔화에 따른 서비스업의 성장률 감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에 따른 LNG 가격의 상승 지속 등은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의 하방 요인으로 들 수 있다.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장률 둔화 정도가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의 실질 부가가치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에 따르면, 2023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2022년 3.2%에서 2023년 2.9%로 하락할 전망이다. 이는 연초 전망치에 비해 각각 0.4%포인트, 0.7%포인트 감소한 수치이다. 특히 고물가의 지속과 긴축적 통화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지속 등으로 미국과 유로존의 경제성장률이 2023년 1.0%포인트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율은 2022년 4.6%에서 4.1%로, 제조업의 수출 증가율은 2022년에 2.7%에서 2.3%로 하락할 전망이다.

올해 경제성장을 주도했던 민간소비도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으로 가계의 소비여력이 감소하면서 2.4%에서 내년 2.2%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업의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도 2022년 3.3%에서 2.3%로 1.0%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한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급등했던 LNG 가격의 안정화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NG 가격은 2020년 9월 MMbtu(100만열량단위)당 5.88달러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올해 17달러로 증가했다. 최근 들어 LNG 가격이 16달러대로 하락했으나, LNG 발전단가가 전체 전력단가의 기준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LNG 가격 안정화 지연은 저탄소 에너지 정책 추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