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평=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14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 논란과 관련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당시 종점부인 양평군 양서면을 찾아 주민설명회를 열고 의견 수렴에 집중했다. 이날 양서면 소재 대아교회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는 김정재 간사를 비롯해 김학용-박정하-서일준-엄태영-정동만 의원 등 6명과 김선교 국힘 여주-양평 당협위원장, 전진선 양평군수, 양평군의회 의원, 양서면 이장, 관내 사회단체장 50여명이 참석했다. 전진선 군수는 주민설명회에서 "군민 숙원인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하려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가 우선"이라며 "예타안이 통과된 뒤 검토했는데 기술-환경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많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과정을 설명했다. 강상면을 분기점으로 하는 대안 노선을 국토교통부에 보고한 민간 설계업체인 동해종합기술공사 이상화 부사장은 주민설명회에서 "예타 노선의 주거지역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종점 분기점(JCT) 가능성, 교통량 등을 분석했다"며 "타당성 조사 때 검토한 원안(양서면 종점)에는 4가지 개선사항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양평 고속도로 시점에서 종점부까지 출입시설이 없어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양평에 나들목을 반영하는 게 좋겠다"며 "환경적 면에서도 남한강을 두 번 건너는 예타안보다 팔당상수원 보호구역, 생태자연보호구역 및 철새도래지 구역을 최대한 짧게 건너는 것이 좋겠다 판단했다"고 부연했다. 이상화 부사장은 "결과적으로 예타 노선은 터널과 터널 사이 1.2㎞ 구간에 높이 40m 교량을 세워 분기점을 만들어야 해 부적절했다"며 "서울~양평 고속도로로 접근하는 교통량은 90% 이상이 여주 등 남쪽에서 올라오는 만큼 종점이 북쪽(양서면)에서 남쪽(강상면)으로 내려올수록 서울~양평 고속도로로 옮겨 타는 교통량이 많아진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형과 생태환경적 측면, 교통량 등을 고려했을 때 원안보다 대안 노선(강상면 종점)이 더 적합하다고 보고 국토부에 보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안 종점인 양서면 청계2리 박구용 이장은 "JCT 인근 탑골마을과 청계리 인근은 770여 가구가 사는 마을이다. 농사를 짓는 분도 많다. JC든 IC든 도로가 가로지르는 고속도로 설치를 강요하는 건 너무 가혹하다"며 원안에 반대 입장을 내비췄다. 이어 양서면 국수2리 이강천 이장은 "원안이든 변경안이든 정치 공방으로 싸우지 말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재추진을 신속하게 확정짓고 그 다음 노선 결정은 주민 의견을 반영해 추진하자"고 말했다. 김재정 간사는 "IC를 설치해달라는 주민들 의견도 들었고, 양서면 종점 안에 대해선 대부분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고 하니 17일 국토위 전체회의에 이런 내용을 잘 전달하겠다"며 주민설명회를 마무리했다.kkjoo0912@ekn.kr국민의힘 14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양서면 주민설명회 현장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14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양서면 주민설명회 현장. 사진제공=양평군 국민의힘 14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양서면 주민설명회 현장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14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양서면 주민설명회 현장. 사진제공=양평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