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러시아 전쟁에 연이은 北 도발까지…K방산 존재감 재조명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안보 위기가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북한의 연이은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역시 긴장 상태다. 세계 주요국들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고려해 군비 증강에 바쁜 행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K방산의 존재감도 재조명을 받고 있다. 11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K방산이 폴란드와 20조원대 대규모 계약 체결 등으로 수출 쾌거를 달성하며 세계 방산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 중에 최근 이어지는 북한의 도발로 다시 한번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한화디펜스는 지난 6일 자사가 개발한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ARION-SMET[1])’이 미국 국방부가 주관하는 해외비교성능시험(FCT) 대상 장비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FCT는 미 국방부가 동맹국이 보유한 성숙한 기술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연구개발 사업으로, 우수한 기술을 평가하고 미군이 개발 및 도입하는 핵심 무기체계에 관련 핵심기술을 확보 및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한화디펜스는 국내에서 개발된 군용 무인차량이 미국에서 진행되는 성능시험에 참여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자사가 지닌 국방로봇·무인체계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현재 미군 주둔지에서의 아리온스멧 성능시연 방법과 일정 등을 미 군 당국과 협의하고 있으며, 이르면 올 연말부터 성능 테스트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영무 한화디펜스 국방로봇사업부장 전무는 "이번 미 국방부의 FCT 승인은 K9 자주포 등 한화디펜스의 기동·화력체계의 글로벌 수출 성과에 이은 낭보"라며 "미국은 물론 세계 방산시장에서 한화디펜스의 국방로봇 및 무인시스템 등 미래戰 첨단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이외에도 한화디펜스는 지난해 호주 정부에 이어 올해 이집트 및 폴란드에 K9 자주포 공급 계약을 체결해 세계 주요국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현대로템도 한국의 주력 전차로 꼽히는 K2 전차 폴란드에 공급하기로 하며 주요 방산업체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규모만 4조4992억원 정도다. 이는 우리 전차 완성품을 수출하는 첫 사례로 꼽힌다. 현대로템은 이를 발판으로 세계 각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국내 항공기 완제품 역시 지난 9월 폴란드와 총 30억달러 정도의 FA-50 경공격기 48대를 수출하는 실행계약을 맺으며, 세계 방산시장으로 뻗어나가는 물꼬를 텄다. FA-50은 T-50을 모체로 전술데이터링크, 정밀유도폭탄, 자체보호 장비 등을 탑재한 초음속 다목적 경공격기로, 최대 마하(1마하는 약 1200km/h) 1.5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장거리 탐지가 가능한 고성능 다기능 레이더, AIM-9, AGM-65 미사일 등 정밀 유도무기 탑재로 화력도 갖추고 있다. LIG넥스원은 올해 1월 아랍에미리트(UAE)와 국내 방산업계 사상 최대인 2조6000억원 규모의 ‘천궁-II’ 수출계약을 체결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천궁-II’는 탄도탄 및 항공기 공격에 동시 대응하고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중거리·중고도 지대공 요격체계로 한국형 패트리엇(PAC)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날 방위사업청은 지난해부터 개발해 오던 해안감시레이다-Ⅱ 사업과 관련해 최신 기술 등을 적용한 상세설계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체계 시제품 제작에 착수한다고 밝혔다.업계는 향후 우리 군의 해안감시능력과 조기 대응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란 의견이다.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넓게는 러시아 전쟁이 좁게는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면서 세계적으로 무기에 대한 관심이 쉽게 식지는 않을 것 같다"며 "한화디펜스와 현대로템 등 우리나라 주요 방산업체들이 최근 열리는 방산 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하는 만큼 K방산에 대한 관심 또한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화디펜스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지난 8월 26일(현지시간) 폴란드에서 열린 계약 체결식에서 (좌측부터)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장관과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98일만에 1만명 밑으로…위중증 311명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10일 신규 확진자 수가 1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8891명 늘어 누적 2497만 9770명으로 집계됐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만 명 밑을 기록한 것은 7월 4일 (6242명) 이후 98일 만에 처음이다. 월요일 기준으로 봐도 7월 4일 이후 14주 만에 최저치다. 한글날 연휴에 진단 검사 건수가 급감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1만 7654명)보다 8673명 적다. 1주일 전인 지난 3일(1만 2142명)보다 3161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6일(1만 4153명)보다는 5172명 줄었다. 지난 4일부터 이날까지 1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1만 6415명→3만 4731명→2만 8638명→2만 2298명→1만 9431명→1만 7654명→8981명으로, 일평균 2만 1164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47명으로 전날(61명)보다 14명 적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지난 1일 입국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 의무가 사라지면서 크게 줄어 지난 5일부터 이날까지 6일 연속 100명 미만이다. 해외유입을 제외한 국내 지역감염 사례는 8981명이다. 위중증 환자 수는 311명으로, 전날보다 6명 늘었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23명으로 직전일(29명)보다 6명 적다. 신규 사망자는 80대 이상이 13명(56.5%), 70대 9명, 60대 1명이다. 누적 사망자는 2만 8698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코로나19 재유행 감소세 속 한산한 선별진료소 (사진=연합)

매일 음주측정 공공기관, 전날 술 마시면 다음날 강제 연차?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광주 광산구시설관리공단이 일부 직원을 상대로 강제 음주 측정해 국가인권위원회 지적을 받았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공단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2020년 9월 1일부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음주측정제도 도입 계획’을 수립해 현재까지 시행했다. 이에 부서장이 매일 환경직 직원을 대상으로 음주측정을 하고, 적발된 직원은 당일 연차를 쓰도록 했다. 환경직 직원 A씨는 이런 음주 측정 강요가 인권침해라며 올 4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해당 사안에 공단 이사장은 "음주측정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결정에 따른 조치로 안전사고 예방에 목적이 있다"며 "상당수의 안전사고가 환경직 직원의 음주로 인한 수면 부족과 숙취 상태 작업 때문인 것을 고려해 측정대상을 환경직으로 지정했다"고 답변했다. 실제 공단이 자체 측정한 결과 매년 환경직 직원 30명 이상이 면허정지 수준 혈중알코올농도 상태로 출근했다가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위는 이런 적발 사례에 비춰 공단의 음주 측정이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다만 "직원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지 않고 강제로 음주측정을 한 건 적절한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또 "음주측정을 거부하는 직원들에게 ‘운전업무 배제’, ‘경고’ 등의 불이익을 줘 어쩔 수 없이 음주측정에 응하도록 한 건 행동 자유권을 침해한 과도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이에 따라 음주 측정과 관련한 노사 간 협의를 진행할 것과 필요시 음주측정 의무화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라고 공단 이사장에게 권고했다. hg3to8@ekn.krclip20221007141024 광주 광산구시설관리공단.공단/연합뉴스

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 출범...대형마트 의무 휴업 규제 개선 등 상생발전 논의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대형마트 의무 휴업 규제 개선을 넘어 대·중소 유통업계 상생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가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장영진 산업부 1차관, 정동식 전국상인연합회장, 송유경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장, 이제훈 한국체인스토어협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대형마트 영업규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규제심판 1차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이후 이해관계자 간 충분한 의견수렴과 협의를 바탕으로 규제개선 논의 차원을 넘어 대·중소유통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상생발전 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업계로부터 상생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이 제안됨에 따라 정부와 이해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상생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를 구성했다. 협의회는 전통시장을 대표해 전국상인연합회장, 수퍼마켓을 대표해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장, 대형마트/SSM를 대표해 한국체인스토어협회장으로 구성되며 정부 측에서는 산업부 1차관이 참여한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최근 유통산업이 기술발전과 비대면, 온라인 소비 확산 등의 영향으로 온라인 유통 중심으로 급속하게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유통, 대형마트 업계 간 양보와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나아갈 수 있는 상생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에 따라 협의회는 변화된 유통환경에 대응해 중소유통 업계의 역량강화 지원방안과 함께 업계간에 수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준의 제도개선 등을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 장영진 차관은 "지난 10년간 온라인 유통이 급성장한 반면 오프라인 유통의 성장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유통, 대형마트가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상생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장 차관은 "대중소 업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상생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계기로 인식하고 전향적으로 대화에 임해 달라"며"정부도 업계와의 소통을 지속하면서 필요한 지원을 적극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axkjh@ekn.kr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대형마트와 중소유통이 함께 나아가는 대·중소유통 상생협의회’에서 왼쪽부터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이제훈 체인스토어협회 회장, 정동식 전국상인연합회 회장, 송유경 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싱크대 쓰레기 먹이고 뜨거운 고데기로 팔까지...입양아 학대 부부 징역형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입양한 10대 아들을 학대한 50대 부부가 법정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5일 인천지법 형사2단독 곽경평 판사는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와 특수상해 등 혐의로 기소된 A(50·여)씨에게 징역 2년을 선고하고 40시간 아동학대 치료 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했다고 밝혔다. 곽 판사는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 혐의로 함께 기소된 A씨 남편 B(52)씨에게도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40시간 아동학대 재범예방강의 수강을 명령했다. A씨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동안 인천시 미추홀구 한 아파트 등지에서 양아들 C(2017년 당시 10세)군을 학대하거나 때려 다치게 한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됐다. 그는 싱크대 거름망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C군에게 강제로 먹이고 모발 손질용 기구인 ‘고데기’로 팔을 집어 화상을 입힌 것으로 조사됐다. C군은 "음식물 쓰레기를 못 먹겠다"고 사정했으나 A씨의 강압에 결국 억지로 먹었다가 뱉어냈다. 이에 또 폭행을 당했다. A씨는 집 청소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거나 하교 후 늦게 귀가했다며 C군을 둔기로 폭행하기도 했다. C군에 흉기를 들이밀면서 위협한 적도 있었다. B씨도 지난해 8월 자택에서 C군에게 노트북을 썼다며 바닥에 머리를 박고 엎드린 상태에서 양손을 등 뒤로 하는 원산폭격을 시켰다. 그는 또 성경 관련 책을 제대로 외우지 못했다며 둔기로 C군 엉덩이를 20차례 때린 것으로 파악됐다. C군은 교회 목사에게 양부모로부터 맞았다고 토로했지만 A씨는 "왜 집안 이야기를 밖에 나가서 하느냐"며 재차 학대했다. 1994년 혼인신고를 한 A씨 부부는 14년 뒤인 2008년 당시 만 1살이던 C군을 입양한 것으로 조사됐다. 곽 판사는 "피고인들이 입양한 피해 아동을 학대한 정도가 가볍지 않다"며 "특히 A씨의 경우 위험한 물건을 이용해 상해를 입히고 음식물 쓰레기를 억지로 먹게 하는 등 학대 정도가 매우 심하다"고 판단했다. 이어 "피해 아동에게 치유하기 힘든 정신적 상처를 남겼을 것으로 보여 엄중한 처벌을 해야 한다"면서도 "잘못을 인정하고 있고 과거에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hg3to8@ekn.krshoes-3429090_640 침대 위에 올려진 고데기(기사내용과 무관).

신규확진 3만4739명…위중증 333명으로 58일 만에 최소

개천절 연휴가 끝나고 코로나19 진단 검사가 늘면서 5일 전국에서 3만 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위중증 환자는 감소세가 이어졌다.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3만4739명 늘어 누적 2488만2894명이 됐다고 밝혔다.1∼3일 연휴 동안 줄었던 코로나19 진단 검사가 4일 늘어나면서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1만6423명)보다 2.1배가량 증가했다.그러나 1주일 전인 지난달 28일(3만6139명)보다 1400명, 2주일 전인 21일(4만1265명)보다는 6526명 줄어드는 등 전반적인 확진자 감소세는 유지되고 있다.수요일 기준으로는 여름 재유행 초기인 지난 7월 6일(1만9352명) 이후 13주 만에 가장 작은 수치다. 지난달 29일부터 이날까지 1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3만864명→2만8497명→2만6960명→2만3597명→1만2150명→1만6423명→3만4739명으로, 일평균 2만4747명이다.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69명으로, 전날 통계보다 37명 줄었다. 지난 1일부터 입국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 의무가 사라지면서 입국자들에 대한 검사 자체가 확 줄어 해외유입 사례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 건수가 100건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 6월 23일 이후 처음이다. 해외유입을 제외한 국내 지역감염 사례는 3만4천670명이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9838명, 서울 7674명, 경남 1946명, 경북 1604명, 대구 1596명, 인천 2095명, 부산 1799명, 충남 1328명, 강원 1224명, 전북 976명, 충북 1088명, 대전 915명, 전남 898명, 울산 540명, 광주 735명, 세종 274명, 제주 190명, 검역 19명이다.이날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333명으로, 전날(353명)보다 20명 줄면서 8일 연속 300명대를 기록했다.약 두 달 전인 8월 8일(324명) 이후 58일 만에 가장 적다. 전날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는 16명이다. 직전일보다 3명 줄어든 것으로, 이틀 연속 10명대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 신규 사망자들 중엔 80대 이상이 12명(75%)이고 70대 3명, 60대가 1명이었다.누적 사망자는 2만8544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 0시 기준 위중증 병상 가동률은 20.5%(1792개 중 368개 사용), 재택 치료 중인 확진자는 14만1549명이다./연합hg3to8@ekn.kr5일 오전 용산구 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연합뉴스

[2022 국감] "중고차 성능·상태 점검 등 위법사항 관리 부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중고자동차 성능·상태 점검 등 위법사항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성능·상태 점검 책임보험 도입에 따른 보상 건수 및 금액’ 보험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3년간 보상 건수는 6만3633건, 지급한 보험금은 668억원으로 집계됐다. 중고차 매매사업자는 자동차관리법 제58조에 따라 매매하는 자동차의 성능과 상태를 점검하고 ‘중고차 성능·상태점검기록부’를 통해 소비자에게 반드시 고지해야 한다. 다만 점검기록부와 차량의 실제 상태가 상이해 소비자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9년 6월부터 도입된 책임보험 제도에 따라 매수자는 차량 인수 시 고지받은 점검기록부에 기재된 내용과 자동차 실제 성능·상태가 다른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게 골자다. 김 의원이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중고자동차 관련 소비자상담 및 피해구제 현황’에 따르면 지난 6년간 중고차 관련 4만952건의 소비자 상담과 845건의 피해구제가 접수됐다. 특히 소비자 상담 중 품질 관련 불만이 40.6%인 1만6648건이었다. 이어 계약해제 관련 4945건, 부당행위 4029건, 계약불이행 4020건 순이다. 피해 구제는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상담으로 해결되지 않는 소비자 피해 문제에 대해 사실조사·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합의를 권고하는 제도다. 피해 구제로 접수된 845건 중 432건이 원만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제도 도입 이후 6만 건이 넘는 책임보험 보상 건수와 6년간 4만 건이 넘는 소비자 불만 및 피해 사례에 비해, 지자체 점검에 의한 적발 건수는 현저히 적다는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김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중고차 위법유형 적발 현황’지자체 취합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중고차 자동차관리법 위법은 2340건 적발됐다. 5년간 2000건이 넘는 적발이 있음에도 소비자 주 불만인 불법 매매, 그 중 성능점검과 관련한 적발은 224건뿐으로 현저히 낮았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매매용 자동차의 관리(제59조) 위반이 107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전등록 의무 위반 등 기타 825건 △성능점검고지위반(제58조) 224건 △거짓광고 등 금지행위(제57조) 155건 △무등록매매업 등(제53조) 63건순이다. 국토교통부는 무등록 매매업(제53조)·거짓 광고 등 금지행위(제57조)·성능점검고지위반(제58조) 유형은 ‘불법 매매’에 해당하고, 매매용 차량 관리(제59조)·기타 유형은 주로 ‘행정사항 위반’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연도에 적발 건수가 늘어난 것은 해당 유형에 대해 지자체가 상황에 따라 점검을 강화하는 등 유동적이라고도 덧붙였다. 한국소비자원이 작년 구입 후 1년 이내 중고차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 조사 결과 차량 20대 중 17대가 점검기록부와 불일치했다. 고의 은폐나 부실 점검으로 발견하지 못한 결함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점검기록부 발행에 있어서 더욱 선제적인 관리·감독 조치가 필요하며, 점검 과정에 대한 신뢰성 제고를 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중고차 불법매매에 대한 단속과 행정처분에 관한 권한은 각 시·군·구청에 있다. 각 지자체장은 고지 의무를 위반하거나 거짓으로 점검·고지한 경우 최소 사업 정지 30일, 반복 발생 시 등록 취소까지 명할 수 있다. 매매업자의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벌금형의 벌칙 대상에도 해당된다. 김 의원은 "최근 폭우로 인한 차량 침수로 중고차 시장으로 매물이 대거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늘어난 물량에 부실한 점검으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토교통부와 점검 주체인 지자체에서 실태 파악을 위한 적극적인 현장 단속 및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yes@ekn.krcatsASDFASDFSADF

해수욕장 주차장 회식 뒤 다이빙했다가 머리부터...법원 "업무 탓"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회식 중 술을 마시고 바다로 다이빙을 했다가 크게 다친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 판단을 받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5일 창원지법 행정단독 강세빈 부장판사는 자동차 정비원인 A(22)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요양불승인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해 7월 15일 근무를 마치고 사업주 및 직원 등 5명과 통영 한 해수욕장 안 주차장 자리에서 저녁 회식을 하고 술을 마셨다. 당시 A씨를 포함한 4명은 핸드폰으로 룰렛게임을 해 술 게임을 했다. 그 과정에서 한 명당 소주 1병에 가까운 술을 마셨다. 일행들은 그러던 중 오후 10시께 해수욕을 하기 위해 높은 지대에 있는 주차장에서 바닷가로 걸어 내려갔다. 그러나 A씨는 해당 주차장에서 3m 아래 바닷가로 다이빙했다가 바닷 속 모랫바닥에 머리 등을 충돌해 크게 다쳤다. A씨는 척추 골절, 경추 탈구 등 진단을 받고 지난해 8월 요양신청을 했다. 그러나 한 달 뒤 불승인처분을 받자 소송을 냈다. 강 판사는 "A씨가 당시 스스로 독자적이고 자발적으로 과음했다고 볼 만한 정황은 없다"며 "당시 A씨는 입사한 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술 게임 등으로 술을 거부하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A씨가 회식 중 밤에 주변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위험하게 다이빙을 시도하게 된 것은 낯선 장소에서의 과음으로 정상적 판단능력에 장해가 발생해 판단 착오를 했기 때문"이라며 "이는 사업주가 주관하고 참여한 업무상 회식에서의 과음이 원인이 된 것으로 업무상 재해라고 봄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hg3to8@ekn.krman-428392_640 (1) 사진=픽사베이(기사내용과 무관)

북 미사일 대응으로 쏜 현무미사일, 기지 내로 떨어졌다...군 "인명피해는 없어"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한미 군 당국이 북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도발에 대응해 발사한 ‘현무-2’ 탄도미사일이 발사 직후 기지 내로 낙탄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가 합동참모본부 등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5일 새벽 1시께 실시한 한미 연합 대응 사격에서 발사한 ‘현무-2’ 탄도미사일은 비정상 비행 후 기지 내 낙탄했다. 군은 이와 관련 원인을 파악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사일이 낙탄하면서 발생한 강한 섬광과 굉음에 놀란 강릉지역 주민들은 관공서와 언론 등에 문의했다. 그러나 군은 ‘훈련’이라는 안내조차 없어 밤새 혼란이 이어졌다. 온라인에는 폭발로 보이는 화염을 담은 사진과 영상이 확산했다. 다만 우리 군과 주한미군이 2발씩 모두 4발을 동해상으로 쏜 에이태큼스(ATACMS)는 가상표적을 정밀타격했다. 합참은 이와 관련 "북한이 어떠한 장소에서 도발하더라도 상시 감시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도발 원점을 무력화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갖추고 있음을 드러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군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상시 압도적인 승리를 보장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전날 오전 7시 23분께 북한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IRBM 1발을 발사했다. 이는 일본 열도를 통과해 4500여㎞를 비행했다. 군에 따르면, 우리 군과 미군의 북한 미사일 도발 대응 사격은 이번이 4번째다. 한미는 3월, 5월, 6월에 대응 사격으로 타격용 14발(한측 12발, 미측 2발)을 쐈다. hg3to8@ekn.kr한·미, 연합 지대지미사일 사격 실시 한미 연합 지대지미사일 사격 모습.합참/연합뉴스

LED전구, 고효율 제품 사용시 에너지 39% 절감...품질 고려해 선택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LED전구가 고효율 제품 사용 시에 저효율 제품 대비 최대 39%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어 품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제품 선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LED전구 12개 제품을 시험·평가한 결과 광효율은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고효율 제품 사용 시 최대 39%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홈플러스 시그니처(SKLA12WHPE2650KG2), GE(LED12/A65/865/220V/E26/RA80) 등 2개 제품은 광효율이 130lm/W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아 우수했다 저효율(80lm/W) LED전구 1개를 고효율(131lm/W) 제품으로 교체시 최대 39%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었다. 이를 우리나라 전체 가구인 2200만으로 확대 시, 연간 에너지비용은 176억원, 탄소배출량은 47kt, 소비전력량 110GWh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이 소비자원의 설명이다. 밝기(광속)는 제품별로 877lm∼1461lm 수준으로 차이가 있었고 홈플러스 시그니처(SKLA12WHPE2650KG2) 제품이 가장 밝았다. 전구 사용 시 사물의 색이 자연광과 얼마만큼 비슷한지를 나타내는 연색지수는 83∼86 수준으로 제품별로 차이가 적어 모든 제품이 양호했다. 빛이 얼마나 넓게 퍼지는지 지향각을 확인한 결과 제품 간 최대 1.3배(153°~201°) 차이가 있었다. 홈플러스 시그니처(SKLA12WHPE2650KG2) 제품은 201°로 조명 범위가 가장 넓었다. 빛의 깜박임(떨림) 정도를 확인하는 플리커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제품 간 차이가 컸고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오스람(LEDCLA10.5WE26865), 필립스(LEDBulb12WE266500KHPFA60KRBC) 등 2개 제품은 플리커가 상대적으로 적어 우수했다. 초기 밝기(광속) 대비 2000시간 점등 후 밝기 유지 비율(%)로 수명성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11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반면, KS 인증을 받은 루미앤(LA6512W65K) 제품은 한국산업표준(KS)에 부적합했다. 표시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의 준수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품 모두 표시등급에 적합해 이상이 없었다. 절연내력·절연저항 시험을 통해 감전·누전 위험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품 모두 이상이 없었다. 제품의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남영LED(BLAE12365D01X4), 온리프라이스(HT-KSA6012WG3-658R3B), 장수램프(HT-KSA6510WG1-658R1B), 루미앤 (LA6512W65K), 두영조명(LED-ADBULB11W-D) 등 5개 제품이 관련 기준에 부적합했다. 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지원하기 위해 고효율·친환경 생활가전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비교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axkjh@ekn.krLED전구 구매·선택 시 확인해야 할 정보 ▲LED전구 구매·선택 시 확인해야 할 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