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청년좌담회에서 남은 수명에 비례한 투표권 행사가 합리적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다. 민주당 혁신위는 지난 30일 서울 성동구 한 카페에서 20·30세대 청년들과 좌담회를 열었다. 청년층으로부터 정치 및 당 혁신 방향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였다. 김 위원장은 "둘째 애가 22살 된 지 얼마 안됐는데, 중학교 1학년인지 2학년일 때 이런 질문을 했다. 왜 나이 든 사람이 우리 미래를 결정하느냐(는 질문이었다)"며 논란의 발언을 시작했다. 그는 "자기가 생각할 때는 평균 연령을 얼마라고 봤을 때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엄마 나이로(부터) 여명까지로 해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되게 합리적이지(않으냐)"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 발언은 남은 수명에 비례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취지로 읽혔다. 이에 노년층 내지 노년층 투표권 자체를 비하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31일 페이스북 글에서 "폭염 탓인가. 한동안 잠잠하다 싶더니 민주당의 ‘어르신 폄하 DNA’가 또다시 고개를 든다. 유불리만 따지는 정치계산법이 빚은 막말 참사"라고 지적했다. 신주호 상근부대변인도 논평에서 "갈수록 곤두박질치는 민주당 지지율과 청년층의 외면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이 어르신 폄하와 막말인가"라며 "당을 혁신하라고 만든 혁신위가 민주당의 비상식적 논리 답습을 넘어 더욱 허무맹랑한 주장만 펼치니 혁신이 제대로 될 리 만무하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인사들이 과거에도 여러 차례 노인 비하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던 것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총선을 앞둔 2004년 3월 "60대, 70대는 투표 안 해도 괜찮다. 곧 무대에서 퇴장하실 분들이니까 집에서 쉬셔도 되고"라고 말했다. 유시민 작가도 같은 해 11월 강연에서 "50대에 접어들게 되면 죽어나가는 뇌세포가 새로 생기는 뇌세포보다 많다. 사람이 멍청해진다"며 "60세가 넘으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지 말자"고 주장했다. 조국 법무부 전 장관은 2011년 부모님이 투표를 못 하게 여행을 보내드렸다는 트위터 메시지에 "진짜 효자"라고 해 비판 받은 바 있다. 박대출 위원장은 또 "경륜과 경험을 바탕으로 나라 걱정하는 어르신들이 민주당에는 반가운 존재가 아닐지 몰라도 도를 넘어도 한참 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르신에게 ‘미래 짧은 분들’이라니 민주당의 미래가 짧아질 뿐"이라며 "민주당의 석고대죄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혁신위는 비판 여론이 확산하자 입장문을 내고 "김 위원장은 아들이 중학생 시절 낸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 ‘1인 1표’라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부인한 바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발언 전문을 봐도 민주주의 국가에선 이런 아이디어가 수용될 수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혁신위 주장은 김 위원장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 1표’라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맞는 말"이라며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 1로 표결해야 하나"라고 한 대목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어 "(1인 1표 반대는) 합리적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1인 1표’로 선거권이 있어 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hg3to8@ekn.kr민주당 혁신위 청년좌담회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