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경기도 김포시를 서울특별시에 편입시키는 이른바 ‘메가 서울’ 구상을 사실상 총선 승부수로 띄운 국민의힘에서 내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와 관련 "지방화 시대에 역행하는 반시대적 발상이 아닐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홍 시장은 "서울 위성도시 일부 표를 노리고 추진하고는 있지만 경기도 전체의 반감을 살 뿐만 아니라 서울 강북 시민들의 반감도 살 수 있고 충청 이남의 지방 주민들의 반감은 더더욱 커진다"며 선거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포 서울 편입론은 반짝 특수나 노리는 떴다방을 연상시킨다"며 "내년 3월쯤 그런 떴다방 정책을 추진했으면 모르되 총선까지 6개월이나 남았는데 시대에 역행하는 떴다방 정책이 성공할 수 있을까"라고 꼬집었다. 홍 시장에 앞서 유정복 인천시장도 전날 인천시청 기자회견에서 김포-서울 편입이 "실현 불가능한 허상이자 국민 혼란만 일으키는 정치 쇼"라며 "선거를 5개월 앞둔 ‘아니면 말고’ 식의 이슈화는 국민 혼란만 초래하는 무책임한 일"이라고 직격한 바 있다. 당 소속 광역자치단체장 2명이 ‘떴다방’, ‘정치 쇼’ 등 야당보다도 높은 수위의 표현으로 당 정책을 강하게 비판한 것이다. 이에 국민의힘은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고 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유 시장이) 김포에서 의원하고 인천에서 (시장을) 재선째 하지 않나. 행안부 장관까지 했다. 깊이 있게 고민하고 한 말인지, 유감스럽다고 해야 하나"라며 "(김포 편입 비판 발언에) 지도부도 불쾌하고 의원들도 부글부글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당장 김포-서울 편입에 따른 이익은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비경제부처 심사에 출석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시는 상당히 자율권이 있을 것이고 자치구는 시의 영향권 안에서 제한된 범위로 편성할 것"이라며 시 자치구가 됐을 때 자치권 축소를 언급했다. 이 장관은 또 쓰레기 처리시설 등 설치 권한도 소속된 시로 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이밖에 김포시가 자치구가 되면 담뱃세, 소비세, 주민세, 지방소비세 등을 징수할 수 없다는 지적에도 "세수 품목이 줄어드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다만 "자산가치 상승으로 세금이 늘어나는 면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부동산 가격 상승 등 호재를 가정하지 않는다면 단순 세목만으로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김포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현재의 농어촌 특례입학을 적용받기 어렵겠다"는 질의에 "아무래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hg3to8@ekn.kr국기에 경례하는 윤석열 대통령 7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3년 바르게살기운동 전국회원대회..앞줄 오른쪽 부터 임준택 바르게살기운동 중앙협의회장, 윤석열 대통령, 홍준표 대구시장,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