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대한민국 독립 운동에 헌신한 영국인 기자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1872~1909·한국명 ‘배설’) 선생의 동상이 영국에 세워진다. 6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박민식 보훈처장은 한영 수교 140주년과 6·25 정전 70주년을 계기로 지난 4일(현지시간) 베델 선생의 손자 토머스 오언 베델을 만나 작년에 발행된 베델 기념우표집을 선물하고 동상 건립 계획을 공개했다. 영국에 한국 독립운동가의 동상 건립은 처음이다. 보훈처는 최근 외교부(주영국대사관)와 공동으로 조사 활동을 거쳐 브리스틀에서 베델 선생의 생가를 확인하고 브리스틀시와 표지판 설치를 진행하고 있다. 보훈처는 조만간 브리스틀시에 베델 동상 건립 추진 의사를 전달하고 세부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 처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과 영국은 6·25전쟁을 통한 호국의 혈맹관계이고 그 이전 독립운동으로부터 보훈관계가 이어지고 있다"며 "영국에 첫 해외독립운동가 동상을 건립을 추진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베델 선생의 손자 토머스 오언 베델은 "대한민국은 우리가 찾지 못한 생가를 직접 확인하고, 표지판 작업에 이어 동상 건립까지 추진하는 등 과거의 인연을 소중히 여기는 참으로 대단한 나라"라고 말했다고 보훈처는 전했다. 베델 선생은 일제강점기 언론 활동으로 일제의 침략을 규탄하는 독립운동을 펼친 영국인 독립운동가다. 대한매일신보(현 서울신문)와 코리아 데일리 뉴스를 창간했다.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폭로하고 고종의 밀서를 보도하는 등 일본의 침탈을 국제사회에 고발하는 항일운동을 전개했으며 국채보상운동을 지원했다. 베델 선생을 눈엣가시처럼 여긴 일제는 영국에 추방을 요구했다. 추방 소송 중 건강이 악화한 베델 선생은 결국 1909년 5월 1일 37세로 순국, 서울 양화진 외국인묘지에 안장됐다. 정부는 베델 선생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1950)을 추서했다.박민식 처장, 어니스트 토마스 베델 후손에 기념우표집 전달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이 지난 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한식당에서 영국인 독립운동가 어니스트 토마스 베델(Ernest Thomas Bethell)의 손자 토마스 오웬 베델 내외를 만나 2022년 우정사업본부에서 발행한 베델 기념우표집을 전달하고 있다.(사진=연합) 0004870719_001_2022072106010576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움으로서 ‘대한독립에 헌신한 외국인’을 주제로 기념우표 64만 장을 발행했다고 지난해 8월 밝혔다. 기념우표는 펄럭이는 태극기를 배경으로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1872~1909·한국명 ‘배설’)과 호머 베잘렐 헐버트(1863~1949·한국명 ‘헐벗’) 선생의 모습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