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신재생 에너지가 올해 급속 확산해 2025년까지 세계 최대 전력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AP, 로이터 통신 등을 인용한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6일(현지시간) 낸 보고서에서 세계적 에너지 위기가 신재생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IEA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 침공으로 에너지 위기 상황이 벌어져 신재생 에너지 수요가 전례 없이 치솟고 있다고 진단했다. 여러 국가들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를 도입하게 됐기 때문이다. IEA는 그러면서 향후 5년간 새롭게 확충되는 에너지원 90% 이상은 신재생 에너지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앞으로 5년간 추가될 신재생 에너지 용량이 총 2400기가와트(GW)로, 현재 중국 전체 발전 용량과 맞먹는다고 설명했다. 이는 작년 IEA가 예측한 2022~2027년 신재생 에너지 확충 용량에 비해 30% 증가한 수치다. 전 세계 태양광 발전 용량은 2027년까지 거의 3배로 증가하고 풍력 발전 용량은 2배로 뛸 것으로 예상됐다. IEA는 이런 급속한 신재생 에너지 확산이 지구 온도 상승 억제 목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 이내로 묶는다는 목표다. 신재생 에너지 확산은 심각한 에너지난에 시달리고 있는 유럽이 주도하고 미국과 중국, 인도 등도 정책 변경 등을 통해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원래 신재생 에너지는 빠르게 확산하고 있었지만 글로벌 에너지 위기는 국가들이 에너지 안보 확보에 주력하게 하면서 속도를 훨씬 더 높여놓았다"고 말했다. 비롤 사무총장은 "향후 5년간 전세계에서 추가되는 신재생 에너지는 앞선 20년간 확보된 양과 같을 것"이라며 "이는 현재의 에너지 위기가 세계를 더욱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데 역사적인 전환점이 됐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덧붙였다. 다만 한국의 경우 2030년까지도 발전비중이 화석연료, 원자력 발전, 신재생에너지 순일 전망이다. 지난 8월 공개된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 한국 전원별 발전량은 석탄(21.2%)과 천연가스(LNG/20.9%) 등 화석연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원전은 32.8%, 신재생에너지는 21.5%였다. hg3to8@ekn.krclip20221024143937 미국 뉴욕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로이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