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SK지오센트릭, 사우디 사빅과 울산에 2000억원 공동투자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SK지오센트릭은 사우디아라비아 글로벌 화학기업 사빅(SABIC)과 세운 합작법인 SSNC(SABIC SK Nexlene Company)가 울산시와 고부가 화학제품 공장 신·증설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SSNC는 국내 자회사인 한국넥슬렌을 통해 울산시 울주군 청량읍 내 1322㎡ 부지에 2024년 7월까지 약 2000억원을 투입해 고기능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생산공장을 신·증설한다. SSNC는 SK지오센트릭과 사빅이 2015년에 설립한 합작법인이며 한국넥슬렌은 SSNC의 100% 자회사다. SSNC는 한국넥슬렌에 총 6051억원을 투자해 6만8100㎡ 규모의 울산 공장을 설립하고 현재 연간 21만t의 넥슬렌 제품을 생산 중이다. 이번 신·증설로 연간 생산량은 30만t으로 43%가량 늘어나며, 생산물량의 90% 이상은 수출될 예정이다. 넥슬렌은 SK지오센트릭이 국내 최초로 촉매·공정·제품 전 과정을 독자 기술로 개발한 ‘차세대 고기능성 폴리에틸렌’이다. 일반 폴리에틸렌 제품 대비 위생성, 투명성, 강도 등이 뛰어나고 우수한 밀도 범위를 가져 다양한 제품으로의 2차 가공이 용이하다는 설명이다. 한국넥슬렌 울산공장은 넥슬렌을 이용한 고기능성 제품인 POE,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POP),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생산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최근 완성차 및 태양광 등 고부가 친환경 소재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데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결정됐다. 이번에 생산공장이 신·증설되는 POE는 탄력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해 자동차 경량화 부품에 주로 쓰인다. 또한 다른 제품 대비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어 태양광 발전 필름 제작용으로도 사용된다. 업계는 글로벌 고기능성 화학제품(POE/POP) 시장이 매년 5%대의 높은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김종일 한국넥슬렌 대표는 "자체 개발한 넥슬렌 제품을 이용해 자동차 경량화 소재, 태양광 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글로벌 공급을 선도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lsj@ekn.kr지오

롯데케미칼, 4200t 규모 화학적 재활용 페트 시범생산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롯데케미칼이 플라스틱 자원 선순환 기술로 주목받는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Chemical Recycled PET) 시범 생산에 들어갔다고 23일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이달 자체 기술로 울산2공장의 PET 공장 개조를 완료하고 C-rPET 시생산을 성공적으로 개시했다. 재활용 원료인 BHET(해중합된 단량체)의 투입 설비 건설 및 제품 양산을 위한 중합 공장 테스트를 완료했으며 지난 16일부터 약 20일 간 4200t 규모의 제품 시범 생산에 돌입했다. 업계 선도적으로 화학적 재활용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 것. 지난해 4월 롯데케미칼은 자원선순환 생태계 구축 및 친환경제품 판매 확대를 목표로 국내 최대 PET 생산기지인 울산공장을 화학적 재활용 사업의 전초기지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울산2공장에 약 1000억원을 투자해 국내 최초로 폐PET를 처리할 수 있는 해중합 공장(BHET 생산)을 4만5000t 규모로 신설한다. 이후 생산된 BHET을 투입해 다시 PET로 만드는 11만t 규모의 C-rPET 생산 설비를 2024년까지 구축한다. 롯데케미칼은 이후 2030년까지 34만t 규모의 울산공장 내 기존 PET 생산공정을 전량 C-rPET으로 전환·생산할 예정이다. 자원선순환 연결고리를 구축해 2030년 친환경 리사이클 소재의 판매량 100만t 이상 달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이번 C-rPET시범생산은 국내 최대 PET 생산기지인 울산공장의 그린팩토리 전환을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며 "향후 국내 최초의 해중합공장과 C-rPET 생산설비 구축이 완료되면 대량의 재생 PET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C-rPET의 대량생산을 위한 원료 확보 및 자원선순환 문화 정착을 위해 국내 수거업체들과 상생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8월 폐기물처리업체인 ㈜지이테크놀러지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연간 4만t의 C-rPET용 플레이크를 공급받기로 합의하는 등 관련 업체와의 협업도 확대하고 있다.lsj@ekn.kr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의 재활용패트(C-rPET).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 화학연구원과 친환경 원천기술 확보 맞손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롯데케미칼은 지난 19일 한국화학연구원과 ‘탄소중립’, ‘자원선순환’, ‘수소에너지’ 분야 기술에 대한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협약식을 가졌다고 21일 밝혔다. ‘2030 비전-탄소감축성장’을 위한 원천 기술 확보와 조기 사업화를 위한 ‘링크 (LINK, LOTTE Innovation Network)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링크 프로젝트는 대학, 연구기관, 기업, 전문가와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를 통해 당사 사업에 필요한 미래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비인접 산업간 협력을 통해 기술의 확장을 이뤄내는 활동이다. 롯데케미칼은 탄소중립 및 수소에너지 기술에 대한 투자, 협력을 확대해 기술적 난제를 극복하고 혁신 기술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이번 협약식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분야 신 공정 및 폐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공동연구’를 비롯해 ‘수소에너지 관련 촉매/공정 원천기술 이전’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위해 전문 인력이 투입돼, 올해부터 3년간 연구개발을 진행해 주요 성과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부회장은 "탄소감축성장이라는 미래 변화에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혁신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라며 "롯데케미칼의 사업역량과 미래 투자 안정성이 한국화학연구원의 연구기술개발과 결합한다면 탄소중립성장 달성을 위한 미래 기반 조성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했다.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력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공공에서 밀어주고, 민간이 이끄는 ‘민간 주도 혁신성장’의 대표적인 사례"라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탄소중립 관련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인 ‘암모니아 기반 수소생산 촉매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 초기단계로, 경쟁력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 확보와 암모니아 기반의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양사는 미래 에너지로 주목 받고 있는 수소의 안전하고 효율적 이송을 위해 암모니아를 활용하고 이를 분해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는 공감을 기반으로, 암모니아 분해시 이산화탄소(CO2)발생 없는 친환경 촉매 및 반응기 개발에 대한 연구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로케23 김교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부회장(오른쪽)과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 원장이 지난 19일 탄소성장 감축을 위한 친환경 기술 이전을 협약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