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조선업계는 수주 호황을 맞고도 배를 만들 사람이 부족한 상황이다. 노동 강도 대비 낮은 임금으로 숙련 인력과 청년층은 물론 외국인력을 구하기도 어렵다. 정부가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더욱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3일 경남연구원의 ‘경남지역 조선업 인력수급난 해소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대형조선소 직영 및 사내협력사 인원은 지난 6월 기준 9만2721명으로, 2014년 20만 3441명에 비해 45.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경남지역 조선업 생산인력의 경우 올해 4분기 필요인력 수는 2만7084명으로 지난해 4분기 필요인력에 비해 13.1% 충원이 필요하다. 직무별로는 도장공(1290명), 용접공(807명), 전기공(677명), 비계공(587명) 순으로 생산인력 충원이 요구된다.조선소 인력난이 심해지는 이유는 강도 대비 낮은 임금 체계 때문이다. 그간 조선업은 3D 직종(Difficult, Dirty, Dangerous 어렵고, 더럽고, 위험한 일)이라며 기피된 반면, 높은 수준의 임금을 받을 수 있다는 인식도 공존했다. 하지만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이어진 조선업의 불황에 임금마저 타 제조업과 차이가 없어졌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제조업 대비 조선업 임금은 102.8% 수준에 불과했다.조선업계가 당장 흑자 전환을 한다고 해도 임금 수준이 다시 오르기엔 수 년이 걸릴거란 예측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외국인 사이에서도 조선업은 기피 대상이다. 조선업계는 일단 멘토 제도·기숙사 리모델링·나라별 전통요리 제공 등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조선업계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 이후 외국인 근로자가 400여 명 정도 늘었다"며 "올해는 그것보다 두 배 정도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아직 절대적인 숫자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처우도 개선해야 하는데 조선소들이 흑자가 나야 되는 부분들이라, 당장은 복지에 대해 여러 가지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정부는 조선업계에 외국인 비전문인력(E-9) 비자 쿼터를 확대하고 일부 조선업 전문인력의 쿼터를 폐지하는 등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외국인력을 조선업에 최우선 배정, 사업장별 고용허용인원 확대 등도 검토한다.다만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적용 범위 확대와 주 52시간 근로 시간 제한 등의 규제 완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현재 도장, 용접공, 전기공 등 특종 직종에 한해서만 외국인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를 극기피 직종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부족한 부분을 교육하면 금방 실무에 투입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시간 대비 임금을 지급 받기에 더 많이 일을 해서 급여를 많이 가져가려고 한다"며 "더 많이 일하기 위해 근무지를 이탈하는 경우도 잦다"고 말했다. 이어 "한 사람이 하던 일을 두 사람이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lsj@ekn.kr한국조선해양 건조장.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