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CES 참가 기업, 신사업 밑그림 완성에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이 8일(현지시간)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CES에 참가한 우리 기업들은 눈에 띄는 제품과 우수한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며 큰 관심을 받았다. 이는 글로벌 기업 등과 잇따른 업무협약은 물론이고, 잠재 고객 확보로도 이어졌다. 산업계는 이번 CES를 계기로 미래 신사업에 한발짝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 ‘퓨처빌더’ 꿈 꾼다…HD현대의 한국조선해양, 글로벌 기업과 MOU 체결 두 번째 CES 무대에 오른 HD현대의 조선·해양 중간 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은 퓨처빌더(Future Builder)라는 꿈에 한발 더 다가가게 됐다. 한국조선해양이 CES를 통해 글로벌 기업 및 연구기관들과 여러 사업 부문을 함께하기로 한 것이다. 이 가운데 하나가 독일 연구기관 프라운호퍼, 에스토니아 기업 엘코젠과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및 수전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이다. 프라운호퍼는 독일 전역에 72개 연구소를 둔 유럽 최대 응용 연구개발 기관으로, SOFC와 수전해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엘코젠은 SOFC 핵심부품인 셀과 그 집합체인 스택을 제조하는 글로벌 강소기업이다.한국조선해양은 이번 MOU로 선박·발전용 연료전지 개발 및 친환경 수소 기술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두 기관·기업과 선박·발전용 대용량 고체연료전지시스템 상세 설계 및 시제품 테스트를 시작한다. 전날에는 미국선급협회(ABS)와 자율운항 선박의 기관 자동화시스템(HiCBM)·통합 안전관제시스템(HiCAMS) 개발과 실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최신 기술을 탑재한 무인 선박 현실화를 위한 또 하나의 발판을 마련했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내년까지 기관 자동화시스템과 통합 안전관제시스템을 실제 선박에 탑재해 세계 최초로 실증할 계획이다. ◇ SK지오센트릭, 英 기업과 계약… 美 CES서 ‘울산 ARC’ 밑그림 완성 SK지오센트릭도 이번 CES 무대에서 영국 플라스틱에너지와 울산 폐플라스틱 재활용 종합단지 내 열분해 공장 설립을 위한 기술 도입 계약을 맺으며 ‘울산 ARC’의 밑그림을 완성하게 됐다. SK지오센트릭은 현재 울산에 플라스틱 에너지 열분해 기술을 도입, 오는 2025년까지 아시아 최대 연 6만6000t규모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 이에 플라스틱에너지와 손잡고 올해 열분해 공장 건설의 첫 삽을 뜰 예정이다. 플라스틱 열분해 기술로 생산한 재활용 플라스틱은 아이스크림과 화장품 용기로 쓰이는 등 품질과 친환경성을 인정받는다.SK지오센트릭과 플라스틱에너지는 연내 합작법인을 설립, 울산에 이어 수도권,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 공장 신설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SK지오센트릭은 폐플라스틱 종합단지의 공식 명칭을 ‘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로 확정했다. 플라스틱에너지를 비롯해 미국 PCT, 캐나다 루프 등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한 곳에 모을 방침이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최첨단 기술의 경연장인 CES에서 친환경, 탄소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핵심 기술 확보를 완료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핵심역량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전략적 파트너십을 이어가고 울산ARC 조성이 순조롭게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HL클레무브와 LG이노텍 등 K기업, 잠재 고객 확보하며 긍정적 결실 맺어 HL그룹의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인 HL클레무브도 CES에서 모빌리티(이동수단) 소프트웨어 기업 소나투스와 차세대 전장 아키텍처(구조) 기술 개발을 위해 손을 잡았다.기존 차량에는 대부분 수십여 개의 모빌리티 전자 제어기들이 개별 기능을 수행하는 ‘분산 제어 아키텍처’가 적용됐는데, 각 제어기의 하드웨어적 한계와 복잡한 상호관계 탓에 기능 추가나 업데이트 등 신규 소프트웨어 제공이 매우 제한적이다.HL클레무브는 기존 아키텍처의 이런 한계를 해소하고자 소나투스와 협업해 ‘영역 통합 제어기’(Z-ECU) 등 차세대 전장 아키텍처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윤팔주 HL클레무브 CEO는 "CES에서 선보인 CCU가 소나투스와 1차 결과물이었다"며 "차세대 전장 아키텍처 구축을 통해 SDV로 대변되는 미래 모빌리티 트렌드에 철저하게 대비할 것"이라고 계획을 나타냈다.올해 첫 오픈 부스 형태로 CES에 참가한 LG이노텍도 많은 관람객의 관심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LG이노텍은 그간 비공개 전시 형태로 CES에 참가해 특정 고객사에만 제품을 소개해왔다. 일반 관람객 대상으로 광학솔루션, 기판소재·전장부품을 선보인 건 이번이 처음으로, 전시 기간 2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LG이노텍 부스를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또한 잠재 고객도 확보도 전망돼, 수주 확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LG이노텍 관계자는 "전시 시작 전부터 이미 확정된 고객사 미팅 건수가 예년보다 2배 이상으로 늘었다"며 "부스 현장에서도 100건이 넘는 미팅이 즉석으로 성사돼 잠재고객 확보와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HD현대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CES 2023이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8일(현지시간), 독일 프라운호퍼 IKTS, 에스토니아 엘코젠과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및 수전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좌측부터 엘코젠 한나 그라뇌-파브리티우스(Hanna Grano-Fabritius) 최고상업책임자, 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미래기술연구원장, 프라운호퍼 IKTS 알렉산더 미카엘리스(Alexander Michaelis) 연구소장(왼쪽부터) 잉 스탠튼(Ying Staton) 플라스틱에너지 사업개발담당(Head of Corporate Development), 브루노 귀용(Bruno Guillon) 플라스틱에너지 부사장(Chief Commercial Officer),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 이종혁 SK지오센트릭 그린사업개발담당

대우조선,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선박 배관 조정관을 용접하는 협동로봇 개발에 성공해, 실제 선박 건조현장에 적용한다.대우조선해양은 9일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탄소강관 용접 협동로봇을 개발,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협동로봇은 선박 배관 조정관을 용접하는 로봇으로 협동로봇을 현장에 적용하기 전에는 30kg 넘는 토치 작업대를 작업자가 직접 옮기고 수동으로 위치를 맞추며 용접을 했다. 특히 용접 위치를 바꿔야 하면 멈췄다가 또다시 작업을 해야 하는 준비 과정에 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이 되기도 했다.반면, 이번에 개발된 협동로봇은 로봇 가까이에서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정밀한 용접 및 용접변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로봇에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지만, 산업용 로봇은 안전상의 문제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펜스를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기에 정밀 작업이 불가능하고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산업용 로봇과 달리 협동로봇의 경우는 충돌 안전분석을 통해 안전펜스나 안전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협동로봇과 함께 용접 협동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와 협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이번 협동로봇을 적용한 뒤로 용접 시간을 제외한, 작업준비 시간이 60%가량 줄어들어 생산성 향상과 작업자의 피로도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인증기관인 한국로봇사용자협회 심사를 통해 ‘협동로봇 설치작업장 안전인증’도 획득해 협동로봇이 안전펜스나 안전센서 없이도 안전인증을 받아 현장 적용에 성공한 국내 첫 사례다.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현재는 선박 배관 조정관에만 이를 적용하고 있으나, 일반배관에도 접목할 수 있게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대우조선해양이 개발한 용접 협동로봇을 작업자가 조작하고 있다.

제주항공 국내선 여객 점유율 3년 연속 1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제주항공은 지난해 국내선에서 648만여명을 수송해 항공사 중 점유율(18.2%) 1위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2020년 이후 3년 연속 1위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역대 최대인 648만2588명을 수송해 전년(645만9000명) 보다 2만3000여명 많은 승객을 태웠다. 국내선 탑승객 중 제주-김포·부산·청주·대구 등 제주기점 노선에 543만여 명이 탑승해 전체의 약 84%를 차지했다. 김포-부산·대구 등 내륙노선에는 약 16%인 104만여 명이 탑승했다. 노선별로 살펴보면 전체 탑승객의 44%가량인 289만여 명이 제주-김포 노선을 이용했다. 김포-부산 노선(83만여 명), 제주-부산 노선(77만여 명)이 뒤를 이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보다 많은 고객들이 더 편안하고 즐겁게 여행에 나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es@ekn.kr제주항공 항공기 제주항공 항공기

티웨이항공 "일본 9만원대부터" 새해맞이 특가 프로모션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티웨이항공은 오는 15일까지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웹에서 새해맞이 특가 프로모션을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국내선 5개, 국제선 26개 등 총 31개 노선 대상 특가 운임에 추가 할인코드, 쿠폰 등을 제공한다. 가격은 1인 편도 총액 기준 △국내선 2만3200원 △일본 9만1000원 △대만 10만3800원 △동남아 14만4300원 △대양주 18만7260원 △시드니 47만1200원부터다. 항공권 검색창에 할인코드 ‘새해소원’을 입력하면 일부 운임 종류에 한해 노선별로 3~10%의 운임 할인이 즉시 적용된다. 왕복 항공권 예약 시에는 국내선 5000원, 일본 및 대만 노선 1만원, 동남아 및 대양주 노선 2만원, 호주 4만원 추가 할인 쿠폰도 제공한다. 프로모션의 탑승 기간은 1월 9일부터 3월 31일까지다. 운항 일정은 노선별로 상이하며 자세한 스케줄 및 프로모션 운임 정보는 공식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재운항과 공급석 확대를 이어갈 것"이라며 "새해에도 항상 안전하고 편리한 비행으로 고객들과 만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yes@ekn.krphoto(배너) 티웨이항공 특가 프로모션 포스터.

해운운임 지속 우하향… "아직 바닥 아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해운운임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대표 해운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지난해 1월 엔데믹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으로 최고점(5109.60)을 기록한 이후, 약 80%가 빠지며 오히려 코로나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지나치게 높았던 해운 운임이 정상화되는 과정이라고 하면서도 어디까지 하락할지는 알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CFI는 6일 기준 전주 대비 46.41포인트 하락한 1061.14다. SCFI는 지난 주 소폭 반등하기 전까지 28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해왔다. 지난 주 SCFI가 0.46포인트 상승하자, 일각에서는 해운운임이 드디어 바닥을 다진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SCFI는 한 주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중국 새해 연휴에 따른 일시적인 물동량 증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SCFI는 상하이 수출 컨테이너 운송시장 15개 항로의 스팟 운임을 반영한 수치다. 해운사가 보유한 선복량과 선박의 경쟁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 국내 해운사들의 SCFI 손익분기점은 1500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 이전까지 SCFI는 600에서 800 수준의 치킨 게임 양상을 보였다. 이에 국내 최대 국적선사 HMM은 2015년 1분기 이후 2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문제는 향후 해운운임이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업계와 전문가들은 물동량은 적은데, 이를 실어나를 배는 많으니 운임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업계는 내년부터 해운 시장엔 새로 건조되는 선박이 대거 투입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인도될 컨테이너의 선복량은 약 746만TEU로 현재 전세계 선복량 2639만TEU의 30%에 달한다. 올해 컨테이너 선대 증가율 역시 7.3%로 예측된다.이는 코로나 기간 동안 해운업계 호황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해운운임을 멈출 줄 모르고 올랐으며, 해운사들은 선대를 확장하기 바빴다. 실제로 2021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신조 컨테이너선 발주량은 678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간 발주량(421만TEU)의 161%에 이른다. 물동량 증가량은 선대 증가율을 하회한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량은 1.6%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그 이유다. 특히 미주와 유럽 노선 물동량은 올해 각각 0.9%, 1.9%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아시아 역내 물동량은 3.1% 증가하겠지만, 근거리 항로 중심의 물량 증가로 실제 해운 운임 견인효과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이석주 한국해양진흥공사 팀장은 "컨테이너선과 건화물선 두 선종 모두 올해 시황은 좋지 않을 것"이라며 "상하이운임지수(SCFI)는 올해 더 낮아질 것이며, 발틱운임지수(BDI, 건화물선의 운임 지수)도 올해 하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lsj@ekn.krHMM 파나막스급 컨테이너선. 사진=HMM

한국조선해양,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한국조선해양이 미국선급협회(American Bureau of Shipping, 이하 ABS)와 사람의 도움 없이 항해는 물론 기관작동, 안전진단까지 가능한 ‘무인 선박’ 현실화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 8일 HD현대에 따르면 조선·해양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6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가 개최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ABS와 자율운항 선박의 기관자동화, 통합안전관제시스템 개발과 실증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ABS는 조선·해양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돕기 위해 선박 및 해상 구조물에 대한 기술 적합성과 기준을 선정하는 대표적인 국제 선급협회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사는 2024년까지 기관자동화시스템(HiCBM)과 통합안전관제시스템(HiCAMS)을 실제 선박에서 세계 최초로 실증할 계획이다. 기관자동화시스템과 통합안전관제시스템은 선박 내 엔진과 발전기 등 기계 장비의 상태를 스스로 진단하고, 화재와 같은 돌발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해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AI 기반 솔루션이다.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9월 ABS로부터 두 시스템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획득했다. 지난해 6월에는 계열사인 아비커스가 대형상선에 자율운항 시스템을 탑재, 세계 최초로 대양 횡단에 성공하기도 했다. 이번 협약으로 두 시스템에 대한 실증까지 성공하면 항해사는 물론이고 기관사와 갑판원의 도움 없이 장시간 운항이 가능한 대형상선 분야 세계 첫 ‘무인 선박’ 개발이 현실화된다.김성준 한국조선해양 원장은 "지난해 말 CES2023 혁신상을 수상한 AI기반 LNG연료추진시스템(Hi-GAS+) 실증사업도 ABS와 협력할 계획"이라며 "HD현대가 자율운항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가장 앞서 가는데 있어 ABS와 협력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우측부터 현대중공업 전승호 부사장, HD현대 정기선 사장, 한국조선해양 김성준 미래기술연구원장, ABS 패트릭 라이언(Patrick Ryan) 최고기술경영자, ABS 크리스토퍼 제이 위어니키(Christopher J. Wiernicki) 최고경영자

정부, 외국인력 신속 수혈 방안 발표… 조선업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정부가 ‘인력난’을 겪고있는 조선업에 외국인력을 신속하게 수혈하기 위한 ‘조선업 외국인력 도입애로 해소방안’을 6일 발표했다. 특히 국내 행정 절차 소요 기간을 4개월에서 1개월로 줄이고 외국인력 도입 허용 비율과 연간 쿼터를 확대하기로 했다. 조선협회에 따르면 조선업은 수주 실적이 개선되면서 올해 말까지 생산 인력 1만4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단 추천 절차를 거쳐 용접공·도장공·전기공·플랜트공 등 외국 인력 1621명을 수급하려 했으나, 지난해 12월 12일 기준으로 비자 발급은 412명에 그쳤다. 이에 산업부는 외국인력 고용 추천 처리 기간을 현행 10일에서 5일 이내로 줄이고 조선업 밀집 지역에 ‘조선업 현장애로 데스크’를 설치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해 인력 등 현장 에로사항을 신속하게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법무부는 부산·울산·창원·거제·목포에 조선업 비자 특별 심사지원인력을 4명씩 총 20명 파견했다. 사전심사부터 비자 발급에 걸리는 기간을 5주에서 10일 이내로 단축한다. 기업별 외국인력 도입 허용 비율은 현행 20%에서 30%로 2년 동안 한시적으로 확대한다. 숙련기능인력에 발급하는 비자(E-7-4)의 연간 배정(쿼터)은 2000명에서 5000명으로 늘리고, 조선 분야에는 별도 쿼터(400명)을 신설한다. 국내 대학에서 조선 분야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유학생에게 비자(E-7-3)를 발급할 때는 실무능력검증을 면제하기로 했다. 태국이나 인도네시아 출신의 고졸 이상 연수생이 국내 기능교육을 이수하면 전문 취업비자(E-7)를 주는 제도도 만든다. 정부 관계자는 "이 같은 대책을 통해 총 4개월이 걸리는 외국인력 도입 절차를 향후 1개월로 단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lsj@ekn.kr대우조선 대우조선해양 건조장.

[CES 2023] 정기선 HD현대 사장,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HD현대는 정기선 HD현대 사장이 4일 ‘포춘(Fortune) 브레인스톰 테크 디너’에 참석했다고 6일 밝혔다. 미국 경제지 포춘이 주최한 이 행사는 CES 참가 기업들 중 혁신 기술을 보유한 100대 테크 기업 경영진을 초청해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다. 지난해에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술’을 주제로 진행됐다. 올해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파크MGM 호텔 노마드 라이브러리(Nomad Library)에서 ‘기후변화와 탈탄소 에너지 기술’을 주제로 진행됐다. HD현대는 탈탄소, 친환경 기술력을 바탕으로 100대 테크 기업에 선정됐다. 이날 행사에는 항공 택시 기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라이다(LiDAR)전문 기업 에이아이(AEYE), 기상예보 전문기업인 아큐웨더 등 테크 기업들과 델타, 폭스바겐, 코카콜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석했다. lsj@ekn.kr정기선 4일 파크MGM호텔에서 열린 포춘 브레인스톰 테크 디너에서 정기선(오른쪽) HD현대 사장과 조엘 마이어스 아큐웨더 최고경영자(CEO)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HD현대

제주항공, 국제 항공운송 평가제도 ‘IOSA’ 재인증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제주항공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주관하는 국제 항공운송 표준 감사 제도인 ‘IOSA’ 재인증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IOSA는 IATA가 주관하는 감사 제도다. 항공사의 안전운항, 품질보증 관리체계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확립하기 위해 도입됐다. 제주항공은 2009년 1월 처음으로 IOSA 인증을 받은 후 정기적으로 개선된 인증을 다시 획득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IOSA ISM 14th Edition’ 인증은 제주항공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항공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및 신뢰성을 확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지속적인 안전 투자와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운항 체계 구축 및 운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제주항공 항공기(3) 제주항공 항공기.

델타항공, 기내 초고속 와이파이 무료 제공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델타항공은 티모바일(T-Mobile)과 협업해 다음달 1일부터 초고속 와이파이를 미국내 비행 편에 무료로 제공한다고 6일 밝혔다. 델타항공은 올해 말까지 700대 이상의 비아샛(Viasat) 탑재 항공기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2024년말까지는 모든 국제선 항공기에 해당 서비스를 도입한다. 에드 바스티안 델타항공 최고경영자(CEO)는 "기내연결성(Connectivity)은 우리 직장, 자택, 그리고 그 사이 어느 곳이든 일상에서 빠질 수 없다. 이는 델타항공 비행기를 타고 여행할 때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yes@ekn.kr[참고이미지] 델타항공, 무료 제공 델타항공 승객이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