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대한항공, 차세대 항공기 엔진정비 시작…"항공 MRO 경쟁력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대한항공이 글로벌 항공기 엔진 제작 업체인 프랫앤휘트니(P&W)사의 차세대 ‘기어드 터보 팬(GTF) 엔진’ 정비를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대한항공은 전날 오후 경기도 부천시 소재 대한한공 엔진정비공장에서 P&W의 차세대 GTF 엔진 초도 물량 입고 기념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유종석 대한항공 부사장 겸 최고안전운영책임자(CSO), 요게쉬 화스와니 P&W Sales 총괄 담당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2021년 12월 P&W사와 차세대 GTF 엔진 정비 협력체 가입 계약을 맺은 바 있다. P&W의 GTF 엔진은 향후 민항기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평가되는 항공기 핵심 엔진이다. 기어 구조 설계로 엔진을 최적의 속도로 회전시켜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차세대 GTF 엔진인 ‘PW1100G-JM’ 엔진은 기존 대비 효율을 높이면서 탄소 배출은 줄여 친환경 엔진으로 평가받는다. 대한항공은 이번 초도 물량을 시작으로 해외 항공사들로부터 매년 100대 이상의 차세대 GTF 엔진을 수주받아 정비하게 된다. 이같은 대규모 해외 수주는 대한항공이 국내 항공 정비분야 최초다. 대한항공은 이를 위해 지난 3년여간 차세대 GTF 엔진의 완전 분해조립 정비와 시험 능력을 확보하고자 △시설·장비 도입 △첨단 정비기술 교육 △국내외 항공당국의 인가까지 모든 준비를 마쳤다. 대한항공은 이번 차세대 GTF 엔진 정비 사업을 시작으로 P&W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엔진 전문 MRO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또한 인천 영종도에 준비 중인 최신 엔진정비공장 확장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국내 항공 MRO 산업 발전에도 기여해 나갈 예정이다. 유종석 대한항공 부사장 겸 최고안전운영책임자(CSO)는 "대한항공은 이번 GTF 엔진의 첫 정비 도입을 통해 최첨단 엔진 MRO 기술과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며 "국내 고객은 물론 전 세계 고객을 지원할 준비를 갖춰나가며 글로벌 엔진 MRO 산업에서의 입지를 더욱 단단히 다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kji01@ekn.kr[사진1] (8) (왼쪽부터)김희준 수석부장(대한항공 엔진정비공장 부공장장 겸 엔진생산관리팀장), 김광은 상무(대한항공 엔진정비공장장), 유종석 부사장(대한항공 안전보건 총괄 겸 Operation부문 부사장),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 Mr. Yogesh Farswani(Executive Director Sales, APAC, P&W), 황인종 전무 (대한항공 정비본부장), Mrs. Yvonne Ong(Associate Director Engine Life Management Team, APAC, P&W), Daniel Hummel(Director Sales Far East Asia, MTU), 이태희 부장(대한항공 엔진정비공장 엔진사업기획팀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 2차전지·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급망 구축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롯데글로벌로지스가 피에이산업개발·시몬느자산운용과 ‘2차전지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급망 구축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이는 물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특수물류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수·출입을 포함한 밸류체인 전 영역에서 공급망도 구축한다. 이들 3사는 단계적으로 청주와 부산신항 및 광양항에 2차전지 원재료·소재·완제품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용 특수화물 물류창고를 조성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신규 고객사 영업 및 운영을 수행한다. 피에이산업개발은 창고 개발사업을 총괄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설 구축을 맡는다. 시몬느자산운용은 자금조달을 담당한다. 롯데글로벌로지스 관계자는 "2차전지 관련 특수물류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국내·외 사업본부간 연계 및 인프라 확보를 통해 사업 시너지 및 물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pero1225@ekn.kr롯데글로벌로지스 11일 서울시 중구 롯데글로벌로지스 본사에서 (왼쪽부터) 권순근 롯데글로벌로지스 SCM사업본부장, 차승욱 피에이산업개발 대표, 정인호 시몬느자산운용 DI부문 대표가 ‘2차전지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급망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진에어, 임직원 위한 커피클래스 진행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진에어가 임직원들을 위한 커피클래스를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11일 진에어 임직원 10여명은 폴 바셋 종각역점에서 진행된 커피클래스에 참여했다. 임직원들은 폴 바셋 전문 바리스타로부터 원두 종류와 로스팅, 분쇄도와 향미 등 커피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도구를 이용해 직접 커피를 추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진에어는 오는 18일, 25일에도 커피클래스를 운영하고 마지막날인 25일에는 객실승무원들의 특화 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한 심화 교육을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다. 진에어에 따르면 이번 강의는 직원들의 여가 생활과 자기 계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모집 하루 만에 수강 신청이 마감되는 등 임직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진에어 관계자는 "새로운 분야를 경험해보는 좋은 배움의 기회가 되는 것과 동시에 동료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보다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기업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ji01@ekn.kr[사진] 진에어 직원들이 폴 바셋 커피클래스에 참여하고 있다. 진에어 임직원들이 커피클래스를 수강하고 있다.

에어부산, 인천·부산-비엔티안 부정기편 운항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에어부산은 이달 29일부터 다음달 28일까지 부산-비엔티엔 노선 부정기편을 매주 2회(수·토) 운항하고 같은 기간 인천-비엔티안 노선 부정기편도 매주 4회(수·목·토·일) 운항한다고 12일 밝혔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라오스 비엔티안은 기존 여행객들이 자주 찾는 여행지들과는 또 다른 매력을 지닌 도시"라며 "이번에 부산발 부정기편 연장과 더불어 인천발 부정기편도 함께 운항하며 선택지가 넓어진 만큼 색다른 분위기의 여행을 원한다면 방문해 보시기를 추천한다"고 전했다. yes@ekn.kr부산-비엔티안 부정기편 운항 포스터 이미지 부산-비엔티안 부정기편 운항 포스터 이미지

티웨이항공, 국제선 전 기간 할인전 프로모션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티웨이항공은 오는 22일까지 34개 노선을 대상으로 ‘국제선 전 기간 할인전’ 프로모션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탑승 기간은 내년 3월30일까지다. 프로모션을 통해 우선 선착순 한정 이벤트 초특가 운임이 제공된다. 유류할증료와 공항세를 포함한 1인 편도 총액 기준 △인천-호찌민 13만9200원~ △인천-방콕(수완나폼) 15만1070원~ △청주-방콕(돈므앙) 12만1470원~ △대구-다낭 11만4600원~ △인천-세부 11만4600원~ △인천-코타키나발루 12만9200원~ △인천-시드니 41만7730원~ △인천-사이판 15만7800원부터 판매한다. 선착순 초특가를 놓쳤더라도 할인 코드 ‘국제선’을 입력하면 노선별 편도 및 왕복 항공권에 5~10%의 즉시 할인이 적용된다. 할인 코드는 스마트 운임 이상 예매 시 적용되며, 일부 노선의 경우 이벤트 운임에도 적용된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나홀로 여행객이나 자녀 동반 가족 등 해외여행을 계획 중인 분들을 위한 국제선 전용 프로모션을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국제선 탑승객을 위한 다양한 특가 혜택을 선보일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yes@ekn.kr티웨이항공, 국제선 전 기간 할인전 프로모션 실시 티웨이항공 국제선 전 기간 할인전 프로모션 포스터.

하와이안항공, 지속가능 ‘어메니티 키트’ 선봬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하와이안항공은 ‘노호 홈’과 협업해 제작한 새로운 어메니티 키트를 다음달 6일부터 국제선 및 일부 국내선 승객들에게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하와이안항공은 승객들이 탑승하는 순간부터 하와이 문화를 경험하고 보다 편안한 비행을 즐길 수 있도록 ‘노호 홈’과 손을 잡았다. 지난 2018년 설립된 ‘노호 홈’은 하와이 전통 장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예술과 기능을 접목한 디자인을 선보이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다. 모든 제품은 하와이 자연과 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우수한 품질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해 제작된다. ‘노호 홈’과 함께 선보이는 이번 어메니티 키트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지속가능한 재료를 사용했다. 특히 폴리네시안 역사가 반영된 하와이안항공 보잉 787-9 드림라이너의 ‘레이호쿠’ 스위트 객실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 특징이다. 새로운 어메니티 키트는 하와이안항공 국제선 및 뉴욕(JFK), 보스턴(BOS), 오스틴(AUS) 등 미국 국내선 승객들에게 제공된다. 알리사 오니쉬 하와이안항공 브랜드·커뮤니티 및 문화교류 총괄 담당자는 "어메니티 키트를 통해 하와이 문화와 역사, 전통을 전달하고자 ‘노호 홈’과의 협업하게 됐다"며 "승객들에게 하와이 고유의 이야기를 담은 창의적인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yes@ekn.kr사진02_하와이안항공 국제선 엑스트라 컴포트 및 메인 캐빈 어 하와이안항공 국제선 엑스트라 컴포트 및 메인 캐빈 어메니티 키트

차기 호위함 건조사업 입찰 관련 HD현대중공업 가처분 기각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해군의 차기 호위함 건조사업에서 한화오션의 입지가 다져지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확인 가처분 신청이 기각됐기 때문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울산급 배치3 5·6번함 건조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지 못한 것에 대해 방위사업청을 상대로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고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는 이를 기각했다. HD현대중공업은 보안 감점이 탈락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번 입찰에서 HD현대중공업은 91.7433점을 받아 한화오션(91.8855)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 프로젝트의 무기체계 제안서 평가에서 1.8점의 감점이 적용됐다. 한국형 구축함(KDDX) 개념설계 등 군사기밀을 촬영해 공유한 관계자가 유죄판결을 받았기 때문이다. HD현대중공업 측은 현행 보안사고 감점 기준이 지속될 경우 공정 경쟁을 저해한다는 입장이다. 기술력에서 우위를 보였음에도 수주에 실패한 점을 지적한 셈이다. 이에 대해 한화오션은 "정당한 입찰을 통한 결과와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행위에 대한 법원의 현명한 판단을 환영한다"며 "울산급 호위함 배치3 프로젝트의 성공적 마무리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방위산업은 국토 방위와 국민 생명을 담보로 하는 만큼 신뢰와 도덕성이 중요한 핵심 가치"라며 "국내 대표 방산기업으로서 대한민국 해군과 함께 국익과 우방의 안보 수호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pero1225@ekn.kr한화오션 울산급 호위함 배치3 ‘MADEX 2023’에 전시된 한화오션의 울산급 호위함 배치3 모형

현대글로비스, 인천공항 물류단지에 ‘글로벌물류센터’ 만든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글로벌 항공 물류 시장 공략을 위한 첫 삽을 떴다. 인천국제공항 제2공항물류단지에 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춘 글로벌물류센터(GDC)를 구축하고 육상, 해상에 이은 항공까지 물류 스펙트럼을 넓힌다는 생각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인천국제공항 자유무역지역 제2공항물류단지 내 글로벌물류센터를 조성하기로 하고 착공에 돌입했다고 12일 밝혔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물류센터 구축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이후 설계, 인허가 진행 등 관련 절차를 밟고 이번 착공에 들어가게 됐다. 현대글로비스 GDC는 제2공항물류단지 내 지상 5층(사무공간 포함), 총 면적 4만4420㎡ 규모로 2025년 완공될 예정이다. 해당 물류센터 영업개시 후 5년 동안 연평균 약 2만5000t의 신규 항공화물을 취급한다. 이를 활용해 사업 역량을 확대하고 국내 항공물동량 확대에도 기여한다는 게 업체 측 목표다. 물류센터는 공항 화물터미널과 3km거리에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IT 자동화 설비 등 스마트물류솔루션 기술을 접목해 신속, 정확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물류로봇·분류시스템)와 자체 통관시설을 보유한 특송장이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고속 엑스레이와 컨베이어 시스템 등 첨단 물류 장비가 적용돼 세관시스템과 실시간 연계를 통한 신속한 통관 체계가 구축될 전망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지분 투자를 단행한 세계적 물류로봇 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BD)사의 첨단 물류로봇의 도입도 검토해 인천공항 물류센터를 글로벌 수준의 자동화 설비를 갖춘 물류센터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역량을 내세워 세계적 전자상거래 기업의 수입통관 및 글로벌 반도체 생산 공급망 장비업체 등 하이테크 기업의 GDC 활용을 이끌고, 현대글로비스가 보유한 항공사업 경쟁력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그동안 쌓은 물류 운영 노하우에 스마트물류솔루션 등 IT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최고의 물류센터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육상, 해상, 항공 모든 물류 영역에서 유기적 연계로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yes@ekn.kr[사진자료] 현대글로비스 인천공항 글로벌물류센터 조감도 현대글로비스 인천공항 글로벌물류센터 조감도

에어캐나다 "기내서 카카오톡 서비스 무료료 이용하세요"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에어캐나다는 기내 무료 문자 서비스의 일환으로 ‘카카오톡’ 앱을 신규 도입했다고 12일 밝혔다. 항공권 예약 단계에서 에어로플랜 회원 번호를 추가하고 이륙 후 휴대 기기를 기내 와이파이에 연결해 ‘무료 문자’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문자 외 사진 및 동영상 파일은 전송할 수 없다.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위챗(WeChat), 아이메시지(iMessage) 등 에어캐나다의 모든 무료 문자 서비스는 로열티 프로그램인 ‘에어로플랜(Aeroplan)’ 회원에 한해 제공된다. 에어로플랜은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무료로 가입할 수 있다. 에어캐나다 한국지사 관계자는 "무료 문자 서비스는 긴 비행시간 동안 지상에 있는 지인과 실시간으로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어 승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만족스러운 비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인천-토론토 직항 노선 또한 올해 12월17일부터 내년 3월24일까지 매일 운항될 예정으로 한국인 승객들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yes@ekn.kr[에어캐나다 이미지자료] 에어캐나다 B787-10 드림라이너 항공 에어캐나다 B787-10 드림라이너 항공기

조선 3사, 곳간 채우기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조선업계가 고부가·친환경 일감 확보를 통한 수익성 향상에 매진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이미 지난달 연간 수주 목표(157억4000만달러·약 23조4878억원)를 넘겼다.올해 글로벌 시장에서 발주된 초대형 액화석유가스(LPG)·암모니아 운반선의 70% 이상을 수주한 것이 원동력이었다.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1기 뿐 아니라 카타르와 계약한 물량 등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도 힘을 보탰다.최근 건조계약을 체결한 8만8000㎥급 암모니아 운반선의 경우 LPG 2중연료추진 방식이다. 옵션 2척도 포함됐다. 암모니아 추진 엔진 개발시 세계 최초의 암모니아 추진·운반선으로 이름도 올릴 수 있다. HD현대중공업은 내년을 목표로 암모니아 대형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독일 ‘만 에너지솔루션(MAN ES)’ 등 대형 엔진 원천기술 보유 업체들과 협력 중이다. 일본 선사가 발주할 것으로 보이는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수주도 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1만3000TEU급으로 10척 이상의 계약이 진행될 전망이다.업계는 HD한국조선해양의 올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5조4177억원·2291억원으로 보고 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0%, 영업이익은 21.4% 증가한 수치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소폭 감소하겠으나 영업이익은 2배 이상 확대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삼성중공업은 아시아 지역 선사와 3508억원 규모의 LNG운반선 1척 건조 계약을 체결하면서 연간 목표(95억달러·약 12조7252억원)의 70%에 가까워졌다. 지금까지 총 26척·66억달러(약 8조8420억원) 규모의 수주가 이뤄졌고 카타르발 LNG 운반선 및 코랄 술 2차 FLNG 1기가 더해지면 연간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3년 연속 초과 달성도 기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2021년과 지난해 각각 122억달러·94억달러를 수주했다. 올해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1기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16척 △LNG운반선 7척 등을 중심으로 도크를 채우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수주잔고는 327억달러(약 43조8016억원)에 달한다.3분기 예상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649억원·564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5% 향상되고, 영업이익은 2000억원 이상 늘어나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한다는 것이다. 드릴십(원유시추선) 매각으로 재고자산 평가손익 부담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한화오션은 지난달 말 기준 14억7000만달러를 수주하는 등 연간 목표의 20%대에 머물고 있다. 현재 12척 이상의 카타르 LNG 운반선 2차 물량과 장보고-Ⅲ 배치2 잠수함(3번함) 및 울산급 배치3 호위함(5·6번함) 수주를 타진하고 있다. 이들 물량을 모두 확보할 경우 달성률이 80% 수준으로 높아진다.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951억원, 15억원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100% 이상 오르고, 영업이익은 6000억원 넘게 개선되면서 흑자전환이 이뤄질 전망이다. 노르웨이 해양시추기업 노던 드릴링(NODL)을 상대로 드릴십 2건에 대한 계약 취소 소송에서 승소했기 때문이다. 한화오션은 4100억원 규모의 드릴십 매각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 노던드릴링이 지불했던 선수금 9000만달러(약 1215억원)와 이자 등도 지불하지 않게됐다. 방위사업청으로부터 289억원도 받을 수 있게 됐다. 유관순함 납품 지체보상금과 관련한 한화오션 측의 일부 책임 면제가 받아들여진 덕분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가 175.38로 전년 동기 대비 8% 오르는 등 선가 상승세도 이어지는 중으로 특히 국내 조선소들의 주력 선종인 LNG운반선은 척당 단가가 2억6500만달러(약 3552억원)까지 높아졌다"며 "3년치 이상의 물량을 확보한 덕분에 선별 수주가 가능해진 것도 호재"라고 말했다.spero1225@ekn.krHD현대중공업의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 조감도한화오션의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