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현대차그룹 슈퍼널, MS와 미래항공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한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미래항공모빌리티(AAM) 개발에 속도를 낸다. 현대차그룹은 자사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독립 법인 슈퍼널이 MS사의 고성능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해 자율비행, 3D 비행 시뮬레이션, 버추얼 제조·서비스 등 첨단 미래항공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슈퍼널은 이번 MS사와의 협력을 비롯한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미래항공 모빌리티 상용화를 한층 가속화한다는 구상이다.. 슈퍼널과 MS사 간의 협력은 혁신적인 미래항공 모빌리티 구현에 필수 요소인 클라우드 융합 솔루션과 디지털 운영체계 등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추진된다. 슈퍼널은 MS사의 인공지능(AI) 기반 고성능 비행 시뮬레이션 플랫폼 ‘프로젝트 에어심(Project AirSim)’을 개발 초기부터 적용해 자율비행 솔루션을 개발한다. 이후 시험 비행과 실증 사업도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 MS사가 보유하고 있는 실제와 가상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한다. UAM 기체 조립, 유지보수, 품질 관리, 고객 경험 프로젝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신재원 현대차그룹 AAM본부장 겸 슈퍼널 최고경영자(CEO)는 "첨단 항공 모빌리티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을 바탕으로 한 기체 개발이 중요하다"며 "글로벌 IT 리더인 MS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여러 변수를 예측하고 실증함으로써 안전하고 혁신적인 자율비행 기체 개발과 미래항공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율리크 호만 MS 클라우드·AI 부문 부사장은 "도심항공은 미래 모빌리티 혁신에 필수적인 분야이며 MS가 보유한 첨단 IT를 통해 슈퍼널이 보다 효율적으로 기체와 시스템 개발 및 실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미래항공 모빌리티의 생태계 구축과 상용화에 기여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yes@ekn.krㅇ 신재원 현대차그룹 AAM본부장(왼쪽)이 지난해 12월 미국 레드몬드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 본사를 방문해 율리크 호만 클라우드·AI 부문 부사장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기아, 작년 판매 290만3619대···전년 比 4.6%↑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기아는 지난해 290만3619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대비 4.6% 증가한 수치다. 국내 판매가 54만1068대로 1.1%, 해외가 236만2551대로 5.4% 각각 늘었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5만2068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다. 셀토스 31만418대, 쏘렌토 22만2570대가 뒤를 이었다. 기아는 올해 국내 58만5120대, 해외 261만4880대 등 글로벌 320만대 판매를 목표로 세웠다. 기아 관계자는 "브랜드 가치 제고, 고객 중심 조직문화 내재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사업 실행체계 구축, 전기차 플래그십 모델(EV9) 출시 등 변화와 혁신을 위한 도전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02 Kia's new logo_black

현대차, 작년 판매 394만4579대···전년 比 1.4%↑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는 작년 국내 68만8884대, 해외 325만5695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394만4579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대비 1.4% 성장한 수치다. 국내 판매가 5.2% 줄었지만 해외 판매가 2.9% 늘었다. 현대차는 올해 국내 78만1000대, 해외 354만대 등 총 432만1000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지난해 차량 공급이 제약되는 여건 속에서 판매 믹스, 인센티브를 개선하고 재고를 최소화하는 등 사업의 체질을 개선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코나, 싼타페 완전변경 모델과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 모델 등 경쟁력 있는 신차를 출시할 것"이라며 "아세안을 미래 핵심 시장으로 적극 육성하고 각 권역별 시장 상황에 적합한 상품 개발 및 현지 생산 체계 강화를 통해 고객이 신뢰하는 친환경 톱 티어 브랜드가 되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yes@ekn.kr현대차 아산공장 생산라인 2 현대차 아산공장 생산라인.

한국지엠, 작년 판매 26만4875대…전년 比 11.7%↑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한국지엠으 지난해 국내외 시장에서 26만4875대의 완성차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대비 11.7% 증가한 수치다. 내수 판매(3만7237대)가 31.4% 빠졌지만 수출(22만7638대)이 24.6% 늘어 이를 상쇄했다. 카를로스 미네르트 한국지엠 영업·서비스 부문 부사장은 "새해 쉐보레 브랜드와 또 하나의 글로벌 GMC 브랜드를 통해 보다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다양한 수입 프리미엄 신차 출시 등 보다 차별화된 제품 라인업과 향상된 고객 경험을 기반으로 질적, 양적 성장을 통해 아메리칸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yes@ekn.kr한국지엠 부평공장 한국지엠 부평공장.

쌍용차, 작년 판매 11만3960대···전년 比 34.9%↑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쌍용자동차는 지난해 11만3960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대비 34.9% 성장한 수치다. 내수에서 6만8666대, 수출로 4만5294대를 팔았다. 쌍용차 관계자는 "내수 시장에서 토레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고, 지난해 11월에는 글로벌 론칭을 시작하는 등 내수와 수출 모두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토레스 글로벌 론칭 확대 등 해외시장 공략 강화와 신차인 U100 그리고 상품성 개선 모델의 성공적인 출시를 통해 판매 증가세를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yes@ekn.kr토레스 쌍용차 토레스.

르노코리아 작년 판매 16만9641대···전년 比 27.8%↑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지난해 16만9641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 대비 27.3% 증가한 수치다. 내수 판매(5만2621대)가 13.9% 줄었지만 수출(11만7020대)이 63.3% 뛰어 이를 상쇄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QM6 2만7440대(52%)였다. XM3 1만9425대(37%), SM6 4218대(8%) 등이 뒤를 이었다. yes@ekn.kr_01 XM3(수출명 르노 아르카나) 유럽수출 선적 모습

현대차그룹, 신년회 ‘격식 파괴’···"수평·능동적 기업문화 촉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2023년 신년회 장소와 방식을 파격적으로 바꾸며 수평·능동적인 기업문화를 선보여 주목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이날 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R&D) 메카인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타운홀 미팅 방식의 신년회를 개최했다. 현대차그룹 신년회가 본사가 아닌 업무 현장에서 타운홀 미팅 방식으로 열린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특히 정의선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현장을 찾아 새해 메시지와 경영 전략을 직접 밝혔다. 경영진과 직원들이 질의 응답을 통해 활발히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눈길을 끌었다. 정 회장은 신년회 후 직원들과 오찬까지 함께하는 등 소통과 공감의 폭을 한층 넓혔다. 이날 신년회는 정 회장을 비롯해 장재훈 현대차 사장, 송호성 기아 사장, 박정국 연구개발본부 사장, 송창현 TaaS본부 및 차량SW담당 사장 등 경영진과 R&D 부문 임직원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타운홀 미팅 방식은 정 회장이 직접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기업의 창의적 변화는 구성원에서 비롯된다는 믿음에서 수평적이고 능동적인 기업문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임직원들과 함께 노력해 왔다. 올해 새해 메시지에서도 "기존의 관성을 극복하고 계속해서 변화하는 능동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양연구소 설계2동 대강당에서 진행된 행사는 경영진과 임직원들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공감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무대에는 스타트업 기업 컨퍼런스를 연상케 하는 키노트 스피치용 백월과소파가 놓였다. 진행은 장재훈 사장이 맡았다. 참석자들은 본격적인 신년회 시작에 앞서 객석에 함께 앉아 지난해 그룹의 성과와 혁신의 여정을 집약한 오프닝 영상을 시청했다. 이어 정 회장이 임직원들과 얼굴을 가깝게 마주하며 새해 메시지를 전달했다. 정 회장은 "긴 코로나19의 터널을 지나는 시점에 도전과 혁신이 시작되는 남양연구소에서 여러분과 새해의 시작을 함께하게 돼 감회가 더욱 새롭다"며 "올해는 여러분들과 더 많이 만나고, 여러분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영진들은 임직원에게 직접 새해 경영 전략 및 비전을 공유했다. 장재훈 사장은 "전동화 분야에서도 몇 년 안에 선두 그룹과 하위 그룹이 극명해지고, 그 격차는 점차 확대될 것"이라며 "현대차는 작년 한 해 고객과 시장으로부터 인정받은 전동화 리더십을 확고히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는 고객 속에서 답을 찾아야 하며 주요 전략의 핵심에 고객을 두고 미래를 준비하고자 한다"며 중점 사업 전략으로 ‘고객 중심 사업 운영 강화’, ‘전동화 가속화 및 톱 티어(Top Tier) 경쟁력 확보’, ‘미래사업 기반 확보’ 등을 제시했다. 송호성 사장은 "우리는 도전과 혁신의 DNA와 기아 브랜드에 자신감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보다 나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는 도전을 해야 한다"며 ‘고객 중심·브랜드 경영 고도화’ ‘PBV 사업 실행 체계 구축’을 올해의 주요 경영방침으로 꼽았다. 송 사장은 "데이터 중심 고객 관리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다양한 온오프라인채널별 고객 경험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권역별 중장기 브랜드 로드맵 수립과 실행을 통해 고객 가치를 증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yes@ekn.kr220103_2023년현대차그룹신년회6 220103_2023년현대차그룹신년회4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정윤영 상근 부회장 선임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정윤영 전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 국장을 상근 부회장으로 선임했다고 2일 밝혔다. 고려대를 졸업한 정 부회장은 1990년 삼성코닝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1992년에는 PR 회사 버슨마스텔러(Burson-Marsteller) 한국지사에 입사, 역량을 인정받아 지사장까지 역임했다. 이후 SC제일은행, 비자코리아, 동양생명 등에서 대외협력,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CSR 등 여러 직무를 거쳤다. 2020년 7월부터는 세계자연기금 한국 본부에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및 펀드레이징 총괄을 맡아왔다. KAIDA는 정 부회장이 30년 이상의 풍부한 통합 및 전문적 인지도 관리 업무 경험, 한국 및 글로벌 시장과 기업에 대한 깊은 이해를 지녔다고 설명했다. 조직 및 수익관리 경험 등을 바탕으로 협회 회원사와 국내 시장 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대외협력 및 협회 전반의 주요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틸 셰어 KAIDA 회장은 "정 부회장이 합류함으로써 KAIDA가 향후 모빌리티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관점에서 업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사진자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정윤영 KAIDA 상근 부회장

[시승기] ‘명불허전’ 최고의 전기차, 현대차 아이오닉 5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는 업계에서 ‘기록 제조기’로 통한다. 각종 시상식이나 유력 매체 비교 평가에서 언제나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시상 이력이 워낙 화려하다. 지난 4월 열린 2022 월드카 어워즈에서 ‘세계 올해의 자동차’를 수상했다. 10월에는 세계적인 권위의 자동차 전문지 모터트렌드에서 ‘올해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아이오닉 5를 뽑았다. 이 밖에도 ‘2022 독일 올해의 차’, ‘2022 영국 올해의 차’에 이름을 올렸다. ‘2022 워즈오토 10대 엔진 및 동력 시스템’, 카앤드라이버 ‘2022 올해의 전기차’, 아우토 모토 운트 슈포트 전기차 비교 평가 종합 1위, 아우토 빌트 최고의 수입차 전기차 부문 1위, 아우토 자이퉁 전기차 비교 평가 종합 1위 같은 타이틀도 있다.전세계 전기차 시장 내에서 최상의 상품성을 입증받고 있는 현대차 아이오닉 5를 직접 만나봤다. 77.4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해 완충 시 458km를 달릴 수 있는 롱레인지 모델이다.전기차답게 미래 지향적인 얼굴을 지녔다. 각진 외관과 날렵한 헤드램프 등이 조화를 이룬다.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어 전면부가 매끄럽게 느껴진다. 충전구는 뒤쪽 오른편에 있다. 차량 제원상 크기는 전장 4635mm, 전폭 1890mm, 전고 1605mm, 축거 3000mm 등이다. 기존 내연기관차는 분명히 다르다. 길이는 투싼(4630mm)과 비슷하지만 축간 거리는 G80(3010mm)에 육박한다. 높이는 투싼보다 60mm 낮아 크로스오버차량(CUV) 형상이다. 실내 공간이 생각보다 넓어 놀라웠다. 무릎 아래 공간은 대형 세단을 상상하게 만들 정도다. 아래쪽에 배터리가 깔렸지만 머리 위 공간도 충분했다. 가족용 차로 사용하기에도 충분한 크기라는 분석이다. 실제 미국 ‘카즈닷컴’은 올해 초 이 차를 ‘최고의 가족용 전기차’로 선정했다. 전면 엔진룸에도 엔진 대신 적재 공간이 마련돼 유용하다.센터 콘솔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해 공간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변속레버가 스티어링 휠 오른쪽에 자리 잡았다는 것도 이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새차였지만 냄새가 별로 나지 않았다. 전기차 답게 내부에 친환경 소재를 대거 적용했다는 게 현대차 측 설명이다. 2023년형 모델부터 배터리 온도를 최적으로 관리해주는 ‘배터리 컨디셔닝’ 기능이 전 트림에 기본 적용됐다. 외부 온도가 낮을 때 출력 성능 확보를 위한 배터리 예열 등을 해준다. 고객이 급속 충전소를 목적지로 설정하면 배터리 온도를 미리 최적화해 충전 성능을 확보해준다. 덕분에 한겨울 히터를 틀고 주행했음에도 전력 손실이 크지 않았다. 주행은 안정적이다. 배터리가 무게를 잘 배분해주고 강력한 모터는 제 능력을 발휘한다. 실제 아이오닉 5는 각종 수입 브랜드와의 비교 평가에서 ‘주행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진단을 받고 있다. 단순 환산 시 225마력 수준의 힘을 낼 수 있다. 전기차는 기어가 없어 가속페달을 밟으면 곧바로 최대토크를 발휘할 수 있다. 덕분에 가속에 대한 스트레스는 거의 없었다. 정지 상태에서 출발할 때도 스포츠카처럼 튕겨져 나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고속에서는 자세가 거의 흔들리지 않아 만족스러웠다. 회생제동 시스템에 적응하면 전비를 더 높일 수 있다. 추운 겨울이었음에도 1kW로 5km 이상 달릴 수 있었다. 가속페달만 사용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I-페달’ 기능도 갖췄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정체 구간에서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을 활용하면 된다. 차선을 잡아주는 능력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방향지시등만으로 차선을 바꿀 수 있는 ‘고속도로 주행보조2’ 기능도 갖췄다. 아이오닉 5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평가에서도 최고 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를 획득한 차다. 전기차 시대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모델인 만큼 상품성에 대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겠다는 분석이다. 용도에 따라 58kWh 또는 77.4kWh 배터리를 장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현대차 아이오닉 5의 가격은 5005만~6135만원이다(세재 혜택 적용 전 기준).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