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미중 긴장 고조에 엔비디아 등 빅테크 시총 하루만에 1100조원 증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11 11:43
NVIDIA-CHINA/CUSTOMS

▲(사진=로이터/연합)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자 미국 주요 기술기업(빅테크)의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1100조원 넘게 증발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매그니피센트7(M7, 애플·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알파벳·아마존·메타·테슬라)의 시총이 10일(현지시간) 하루에만 7700억달러(약 1101조원)가 증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한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주가가 곤두박질치면서 1조 달러가 증발했던 이후 최악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4.85% 급락한 183.1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장 초반까지만 해도 195.62달러까지 오르는 등 200달러에 근접했다.


그러나 이후 하락세로 돌아선 뒤 낙폭을 확대했고, 시간외 거래에서도 약 2% 하락하기도 했다. 이에 엔비디아 시총은 이날 하루에만 2290억달러(약 327조원)가 감소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5.06% 하락하며 시총이 710억(약 101조원)달러 날라갔고, 아마존 주가는 4.99% 급락해 연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시총 2·3위인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주가도 각각 2.19%, 3.45% 하락했다. 구글과 메타 역시 1.95%, 3.85% 고꾸라졌다.


이날 M7 주가 하락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1% 내린 6552.5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3.56% 떨어진 22,204.43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였던 4월 10일 이후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뉴욕증시는 10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의 영향 등으로 상승 출발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중국과 무역 긴장 고조를 시사하는 글을 올리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국 소비자의 경제 신뢰도를 반영하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10월 예비치가 55.0으로 발표됐다. 전월치(55.1)보다 낮지만, 시장 전망치(54.2)를 상회했다.


그러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이상한 일들이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중국이 전 세계에 매우 적대적인 서한을 보내 2025년 11월 1일부터 자신들이 생산하는 사실상 모든 제품과 자신들이 많들지 않은 일부 제품에 대해서 대규모 수출 통제를 시행하겠다고 통보했음을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이 이런 전례 없는 조치를 한 사실을 근거로, 비슷하게 위협받은 다른 나라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미국만을 대표하여, 2025년 11월 1일부터(중국이 추가 조치나 변화를 취할 경우 더 빠르게) 미국은 중국에 대해 현재 그들이 내고 있는 관세에 추가로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11월 1일, 우리는 모든 핵심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중국) 수출 통제도 시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마저 불투명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주 뒤 한국에서 열리는 APEC 회의에서 시진핑(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예정이었지만,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