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삼성전자는 오는 7일까지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리는 ‘한국전자전(KES 2022)‘에서 C랩의 다양한 혁신 제품과 솔루션을 처음으로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자사 부스 옆에 ‘C랩에서 혁신을 만나다’를 주제로 135㎡ 규모의 ’C랩 전시관‘을 별도로 마련했다. 사내벤처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 우수 과제 2개와 스핀오프 스타트업 4개사, 사외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C랩 아웃사이드‘ 4개사를 함께 전시한다. C랩 소개, C랩 10년의 주요 성과와 지표, 소개 영상 등도 한 눈에 볼 수 있다. 삼성전자가 KES에 C랩 전시관을 운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참가 스타트업들은 많은 관람객을 직접 접함으로써 고객들의 가감없는 의견과 평가를 받아 제품과 기술을 고도화하고, 더 정교한 사업모델을 수립할 수 있으며 판로 개척 기회도 모색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C랩 아웃사이드‘ 참여를 희망하는 스타트업들은 C랩 담당자와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수년 전 분사한 스타트업들뿐 아니라 ’C랩 아웃사이드‘ 육성 기간이 끝난 스타트업과도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미국 CES, KES 등 IT 전시회 참가 지원, 사업협력, 글로벌 홍보 기회 등을 제공하며 성장을 위한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KES에 선보이는 ’C랩 인사이드‘ 과제는 올 초 선정된 △메타버스 러닝·운동 플랫폼 ’메타러닝‘ △AR 기반 인테리어 솔루션 ’인테리어블‘이다. 이들은 그동안 C랩 과정에서 개발한 최소기능제품(MVP)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C랩 전시관‘에 전시하는 스타트업 중 ’링크플로우‘는 융합신기술 부문에서, ’메디프레소‘는 스마트리빙 부문에서 KES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KES 혁신상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올해는 총 40개의 제품·기술이 수상했다. 삼성전자는 임직원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발산하는 창의적인 조직문화 구축과 확산을 위해 2012년 12월부터 사내벤처 프로그램 ’C랩 인사이드‘를 운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385개 과제에 약 1600명의 임직원이 참여했다. ’C랩 인사이드‘ 과제로 선정되면 1년간 현업을 떠나 아이디어 구현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독립된 연구 공간과 연구비를 지원 받고, 과제 운영 자율권 등도 보장된다. 과제 결과물이 사내에서 각종 사업에 활용될 경우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지금까지 갤럭시 업사이클링, 에코패키지, 라이프스타일 TV ’더 세로‘를 포함해 휴대폰 카메라, 삼성페이 등에 C랩 과제 기술이 적용됐다. 삼성전자는 2018년 국내 스타트업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를 창출을 위해 C랩을 외부에 개방한 ’C랩 아웃사이드‘를 신설, 스타트업의 빠른 성장을 지원하고 삼성전자와의 사업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직접 육성하는 스타트업에게는 △최대 1억원의 사업지원금 △전용 업무공간 및 식사·교통 제공 △성장 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 △CES, KES 등 국내외 IT 전시회 참가 △삼성전자와의 협력 기회 △국내외 판로 개척 등을 1년간 지원해 조기에 사업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다. 육성 완료 시점에는 투자자와 기업 관계자 등을 초청해 ’C랩 스타트업 데모데이‘를 열어 사업 협력 모색과 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2018년 이후 ’C랩 인사이드‘를 통해 사내벤처 과제 202개, ’C랩 아웃사이드‘로 외부 스타트업 264개 등 총 466개를 지원했다. 올해 말까지 500개(사내 200개, 사외 300개) 육성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앞으로도 기술력 있는 IT 스타트업 육성에 힘써 삼성전자와 함께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yes@ekn.kr1. KES 2022 C랩 전시관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