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삼성전자 1분기, 갤럭시S23이 살렸다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제품인 갤럭시S23의 시리즈 판매 확대 등의 선전에 힘입어 전사 영업적자 전환을 면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이 사상 최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가운데 DX(디바이스경험) 부문의 활약이 눈에 띈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3조7454억원, 영업이익 6402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8.0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95.47% 급락했다.DS 부문은 영업손실 4조5800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가전 사업의 영업이익은 1900억원에 그쳤다. 이 같은 상황 속 DX 부문이 구원투수가 됐다. DX부문은 1분기에 매출 46조2200억원, 영업이익 4조21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X(모바일 경험) 사업부는 시장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갤럭시S23 시리즈 판매 호조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률이 두 자릿수 이상으로 회복됐다. 갤럭시S23은 역대 갤럭시 S 시리즈 사상 가장 혁신적인 기술을 탑재한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삼성전자가 올 2월 출시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3는 지난달 국내 시장에서 100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이어 지난해부터 이어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위축 속에도 유럽 판매량이 전작 대비 1.5배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23의 활약에 힘입어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 자리도 되찾았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1분기 삼성전자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분기보다 2%p 오른 22%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아이폰14 시리즈 출시에 힘입어 점유율 25%를 기록했던 애플은 올 1분기 21%를 나타내며 4%포인트 하락했다. 카날리스는 "1분기 삼성전자는 전 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인 유일한 선두 업체"라고 설명했다.삼성전자 MX 사업부는 2분기 지역별 모델 운영 효율화, 업셀링(상위 모델 판매) 전략, 다양한 소비자 판매 프로그램을 통해 플래그십과 갤럭시 A 시리즈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2분기부터 갤럭시S23 신작 효과가 점차 사라질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다니엘 아라우조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분기 MX 사업은 시장 반응이 좋은 갤럭시 S23 시리즈의 견조한 판매세를 이어가고 폴더블도 리부스트 마케팅으로 기존 모델의 판매를 지속하면서도 인지도를 높여 하반기 신모델 출시를 미리 준비하겠다"며 "프리미엄 경험이 강화된 신제품 A54, A34는 글로벌 메가히트 모델로 만들어 회복하는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갤럭시 언팩’을 개최하고 △갤럭시Z 플립5 △갤럭시Z 폴드5 등 차세대 폴더블폰을 공개할 예정이다.갤럭시 S23 울트라의 모습

삼성전자 中 최대 가전전시회서 89형 마이크로 LED 공개…5월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삼성전자는 27일 89형 마이크로 LED를 중국에 처음으로 선보이며 초프리미엄 제품으로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오는 30일까지 상하이 신국제박람센터에서 열리는 중국 최대 가전전시회 AWE 2023에서 89형 마이크로 LED를 전시한다. AWE는 세계 3대 가전ㆍ전자산업박람회 중 하나로 중국 시장의 트렌드와 소비자 니즈를 파악할 수 있는 행사로 올해에만 1200여개의 글로벌 기업들이 참가한다. 삼성전자는 이번 AWE 2023 전시회에서 마이크로 LED 이외에도 NEO QLEDㆍOLEDㆍ라이프스타일 TV, 비스포크 생활가전 제품들과 더불어 갤럭시S23 시리즈 등을 선보이며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었다.지난해 삼성전자는 중국에 110형 마이크로 LED를 출시하며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올해는 89형 마이크로 LED를 시작으로 76ㆍ101ㆍ114형 제품까지 라인업을 확대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초고화질ㆍ초대형 제품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마이크로 LED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LED가 백라이트나 컬러필터 없이 스스로 빛과 색을 내 최상의 화질을 구현한다. 모듈 형태로 설치가 가능해 모양ㆍ비율ㆍ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기존 TV와 달리 베젤이 없어 몰입감 있는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김철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중국 최대 가전 전시회 AWE 2023에서 마이크로 LEDㆍNEO QLEDㆍOLED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삼성 TV 기술력을 선보이게 되었다"며 "세계 최초로 중국에 출시될 89형 마이크로 LED를 앞세워 중국 내 초프리미엄 TV시장 장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삼성전자 모델이 상하이 신국제박람센터에서 열리는 중국 최대 가전전시회 AWE에서 89형 마이크로 LED를 선보이고 있다.

NHN벅스, 한국공항공사와 공항 음악 서비스 운영 위한 MOU 체결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NHN벅스는 한국공항공사와 공항 음악 서비스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전날 한국공항공사 컨퍼런스룸에서 왕문주 NHN벅스 대표와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갖고, 전국 공항에 다양한 테마의 음악을 송출해 여행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데 상호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으로 NHN벅스는 각 계절을 테마로 시즌별 에센셜 플레이리스트를 제작하고, 한국공항공사는 전국 12개 공항 주요 공간에 음악을 송출하며 김포, 제주 등 특정 공항에서는 영상도 함께 제공한다. 이와 함께 양사는 전날 김포공항 국내선 터미널에서 공동으로 여객 참여형 행사를 진행했다. SNS 인증 이벤트 참여자에게 에센셜 스티커와 거울 등 한정판 굿즈를 제공했다. 왕문주 NHN벅스 대표는 "한국공항공사와의 이번 협약으로 음악을 통해 공항 공간의 감성을 높여 여행객에게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제공해드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ojin@ekn.krㅇ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왼쪽)과 왕문주 NHN벅스 대표가 전날 한국공항공사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코DX, 1분기 영업이익 299억원… 전년比 67% ↑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포스코DX는 1분기 매출 4,066억원, 영업이익 299억원을 달성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4.6%, 영업이익은 66.7% 증가했다. 회사 측은 이차전지를 비롯해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로 사업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포스코 그룹사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공장자동화, 산업용 로봇 분야의 사업기회가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포스코DX는 올해 미래 성장사업 발굴과 육성에 더욱 속도를 낸다.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등의 기술을 적용해 산업현장의 스마트팩토리를 더욱 고도화하여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성장하는 한편 산업용 로봇 자동화와 스마트 물류자동화 등 신사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포스코DX는 "고위험·고강도 산업 현장에 로봇을 적용하기 위한 컨설팅, 설계,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등 로봇 자동화 솔루션 사업 전반을 추진하고 있다"며 "택배사, 온라인 쇼핑몰의 통합물류센터 구축 사업에도 신규 수주를 확대하기 위해 영업활동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sojin@ekn.krDX 포스코DX 직원들이 회사의 새로운 CI와 슬로건을 들고 경영목표 달성을 다짐하고 있다.

한국레노버, 최신 비즈니스 노트북 ‘씽크북 신제품’ 출시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한국레노버가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혁신적인 기능을 갖춘 비즈니스 노트북 ‘씽크북 신제품’ 5종을 27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로 출시된 제품은 △씽크북 14s 요가 3세대 △씽크북 14 5세대 △씽크북 14 5세대 i △씽크북 15 5세대 △씽크북 15 5세대 i 5종이다. 씽크북 14s 요가 3세대는 최대 13세대 인텔 코어 i7 프로세서, 최대 16GB 메모리, 1TB 스토리지로 강력한 성능과 빠른 작업 속도를 지원한다. 360도 회전 힌지를 탑재해 노트북, 태블릿, 텐트, 스탠드 4가지 폼팩터로 사용 가능하며 무게는 1.5kg에 불과하다. 씽크북 14 5세대 제품은 모두 두께 17.9mm , 무게 1.4kg로 휴대성이 뛰어나다. 씽크북 14 5세대는 AMD 라이젠 7000시리즈 프로세서, 씽크북 14 5세대 i는 13세대 인텔 코어 i7 프로세서 또는 인텔 코어 i5 v프로 프로세서를 지원해 소비자 뿐만 아니라 기업 고객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14인치 FHD 디스플레이는 100% sRGB 색 영역을 지원해 콘텐츠를 선명하게 표현하며 필요 시 터치 옵션을 추가할 수 있다. 씽크북 15 5세대와 씽크북 15 세대 i는 AMD 프로세서의 씽크북 15 5세대는 최대 32GB 메모리와 2TB 스토리지, 인텔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씽크북 15 5세대 i는 최대 24GB 메모리와 4TB 스토리지로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100% sRGB 구현하는 15인치 FHD 디스플레이는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이 88%에 달해 크고 넓은 시야감을 경험할 수 있다. 한국레노버 신규식 대표는 "새롭게 출시된 씽크북 시리즈는 비즈니스 사용자들이 하이브리드, 비대면 근무 환경에서도 편하게 업무를 수행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소프트웨어에서 펌웨어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 최신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씽크쉴드 기반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보안 위협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레노버는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비전에 맞춰 제품 및 포장에 재활용 소재를 적극 채택했다. 신제품 5종 모두 배터리, 어댑터 등에 PCC(Post Consumer Content)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PCC)를 활용하고, 포장재는 해양 플라스틱(OBP)을 최대 30%를 사용했다.0427레노버_씽크북 14s 요가 3세대 레노버 씽크북 14s 요가 3세대

삼성전자 1분기 반도체 적자 4조5800억원 기록…모바일은 선전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삼성전자가 올 1분기에 반도체 부문 매출 13조7300억원, 영업적자 4조5800억원을 냈다고 27일 밝혔다. 전날 SK하이닉스가 3조4000억원의 적자를 낸데 이어 한국 메모리 반도체 ‘투톱’이 나란히 대규모 조(兆) 단위 적자를 기록하게 됐다. 다만 모바일 부분은 영업실적 개선으로 실적에 기여했다. 매출은 매출 63조75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9.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6402억원으로 1조원대 이하로 주저앉았다.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 처음이다. 삼성전자 측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둔화 우려로 전반적인 구매심리가 둔화됐다"며 "반도체(DS) 부문은 수요 감소 영향을 크게 받으며 매출이 감소했지만 스마트폰·가전(DX) 부문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판매 호조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MX는 시장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갤럭시S23 시리즈 판매 호조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증가해 수익률이 두 자릿수 이상으로 회복됐다. 또 프로세스 운영 효율화로 △플래그십 △A시리즈 △태블릿 모두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돼 실적에 기여했다. 메모리반도체는 D램의 경우 서버 등 고객사 재고가 높아 수요가 부진했다. 낸드의 경우 서버 및 스토리지의 수요 약세에도 불구하고 고용량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해 비트 그로스(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TV 등 주요 응용처의 수요 부진에 따라 △SoC(System on Chip) △센서 △DDI(디스플레이 구동칩) 등 주요 제품의 수요가 급감해 실적이 하락했다.파운드리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 위축과 고객사 재고 증가로 주문이 감소해 실적이 줄었다. 네트워크는 북미, 서남아 등 주요 해외 시장 중심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국내와 북미 등을 중심으로 사업 기반을 강화하면서 신규 사업 대응을 지속할 예정이다.VD는 시장 비수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으로 TV 시장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프리미엄 TV 판매에 주력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해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수익성이 개선됐다. 생활가전은 수요 부진과 비용 부담이 지속돼 전분기 수준 실적을 기록했다.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시장 위축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폴더블 모델 확대, 플래그십 판매 호조로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시장 주도권을 유지했다. 대형 패널은 QD-OLED 신제품이 출시되면서 적자폭이 완화됐다.1분기 시설투자에는 10조7000억원을 집행했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9조8000억원, 디스플레이 3000억원 수준이다. 메모리의 경우 중장기 공급성 확보를 위한 평택 3기 마감, 첨단공정 수요 대응을 위한 4기 인프라 투자 등이 진행됐다.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와 후공정 투자도 지속됐다.삼성전자는 2분기 수요 약세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하반기는 글로벌 수요 회복 전망 속에 점진적인 업황 회복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gore@ekn.kr삼성전자

SK쉴더스, 탄자니아 학교 밖 여성 청소년 지원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SK쉴더스는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의 탄자니아 학교 밖 여성 청소년 지원 사업에 동참한다고 27일 밝혔다. 탄자니아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은 가정 상황과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양질의 교육 접근성 및 소득창출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SK쉴더스는 월드비전에 후원금을 전달하고, 월드비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해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호신술 및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해 힘을 보태기로 했다. 후원금 전달식은 전날 서울 여의도 월드비전 본부에서 박천희 SK쉴더스 서울서본부장, 박인수 월드비전 경영지원본부장 등 양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달된 후원금은 월드비전을 통해 탄자니아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의 경제적 자립 지원 사업에 사용된다. 특히 여성 청소년 대상으로 직업능력개발 및 창업교육을 지원해 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발견하고 꿈을 향해 다가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후원금 전달식에 앞서 전날 월드비전 사옥에서 진행된 교육에서는 80여명의 월드비전 직원들이 SK쉴더스 전문경호팀의 지도하에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요령과 대처법을 실습했다. 또 해외 지원사업 중 발생 가능한 폭행, 위협 등 사건 유형을 소개하고, 각 상황에 맞는 대처법과 예방 팁을 안내하는 등 맞춤형 이론교육이 제공됐다. 박천희 SK쉴더스 서울서본부장은 "탄자니아 여성 청소년들의 일자리 창출 및 경력개발 기회 제공에 SK쉴더스가 보탬이 될 수 있어 기쁘다"며 "SK쉴더스는 일상의 안녕을 지키는 기업인만큼, 이로운 변화를 만들어가는 월드비전의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지원 사업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전했다. sojin@ekn.krㅇ 박천희 SK쉴더스 서울서본부장(오른쪽)과 박인수 월드비전 경영지원본부장이 지난 26일 서울시 여의도 월드비전 본부에서 열린 후원금 전달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SK C&C, 고객담당 최고 책임자에 김완종 디지털사업총괄 선임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SK㈜ C&C가 전사 고객 대상 사업 조직을 총괄하는 ‘고객 담당 최고책임자(CCO)’로 김완종 디지털사업 총괄을 신규 선임했다고 27일 밝혔다. SK㈜ C&C는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주요 고객 산업별로 구성된 △전략GTM부문 △제조 디지털부문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부문 △금융 디지털부문을 CCO 산하로 편제했다. SK㈜ C&C는 이번 고객담당 최고책임자 임명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ITS 관련 의사 결정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하고, 모든 사업 수행 구조를 고객 중심으로 정착시켜 고객 신뢰도를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김완종 SK㈜ C&C CCO는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디지털 ITS를 제공하고자 한다" 며 "고객 만족을 위해 다양한 고객 중심 과제를 수행하고 고객 맞춤형 디지털 혁신을 만드는 데 전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ojin@ekn.kr사진_SK(주) C&C 김완종 CCO 김완종 SK(주) C&C CCO.

[1보]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402억원···95.5%↓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40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95.5% 급감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63조7454억원으로 18.1% 줄었다. 순이익은 1조5746억원으로 86.1%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장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프라 및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은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2020092801001487200062351

LG이노텍, 1분기 영업이익 1453억원…전년 동기比 60.4% 감소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LG이노텍은 26일 2023년 1분기에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매출 4조3759억원, 영업이익 145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60.4%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33.2%, 영업이익은 14.5% 줄었다. LG이노텍 관계자는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전방 IT수요 둔화 등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면서도 "스마트폰용 고성능 카메라모듈 공급 비중 증가와 배터리관리시스템(BMS), 통신모듈 등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용 부품 공급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광학솔루션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3조5447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분기 대비 37% 감소했다. 통상적인 계절적 비수기와 스마트폰 전방 수요 둔화에도 고성능 카메라모듈 공급 비중이 증가해 매출이 늘었다. 기판소재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전분기 대비 16% 감소한 3302억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전방산업인 스마트폰·TV·PC 등의 IT 수요 부진의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반도체 기판 중심으로 수요가 줄고 고객사 재고조정(수요 침체 시 고객사가 기존 재고를 우선 소진하고 새로운 제품을 주문하지 않는 현상)으로 인해 매출이 감소했다고 LG이노텍은 설명했다. 전장부품사업은 매출은 증가했다. 전장부품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381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차량 반도체 수급 차질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용 부품인 배터리관리시스템, 통신모듈 등의 판매가 늘었다. LG이노텍은 △제품·고객 구조의 정예화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역량 강화 △플랫폼 모델(커스터마이징을 최소화하는 범용성 제품)중심 개발 등을 통해 전장부품사업의 수익성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gore@ekn.krLGㅇㅣㄴㅗㅌㅔㄱ_ㄱㅏㄹㅗㅈㅗㅎㅏㅂ(ㄱㅜㄱ, LG이노텍 로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