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우리금융지주가 임종룡 신임 회장 취임에 앞서 조직 효율화에 방점을 둔 조직 및 인사 혁신을 단행했다. 지주사 임원을 기존 11명에서 7명으로 축소하고, 6명을 교체 임명하는 한편 회장 직속의 기업문화혁신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기업문화 혁신을 추진한다.우리금융은 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조직개편을 발표했다. 우리금융 측은 "임 내정자의 의지를 담아 작년 말 이후 미룬 지주, 은행 등 계열사 인사를 일괄(One-shot) 실시하는 개편을 단행함으로써 조기에 경영안정을 기하고 쇄신 분위기를 진작했다"고 설명했다.먼저, 우리금융은 자회사들의 업종 특성을 감안해 경영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임종룡 내정자의 의지에 따라 지주사를 ‘전략 수립, 시너지 창출, 조직문화 혁신’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슬림화하고 정예화했다.이에, 총괄사장제(2인), 수석부사장제를 폐지하고 부문도 11개에서 9개로 축소했다.지주 임원은 11명에서 7명으로 줄이고 6명을 교체 임명했다. 지주 전체 인력도 약 20% 정도 감축하고 회장 비서실(본부장급)도 폐지했다. 또한, 지주 부문장(9개)에 본부장급 인력 2명을 발탁 배치해 세대교체도 꾀했다.더불어, 그룹 차원의 대대적인 조직문화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기업문화혁신TF(회장 및 자회사CEO 협의체)’를 회장 직속으로 신설했다. 해당 TF조직은 인사 및 평가제도 개편, 내부통제 강화, 경영 승계프로그램 등의 전략을 수립, 실행하는 역할을 맡는다.우리금융은 이번 첫 조직개편의 또 다른 핵심 키워드를 ‘미래성장 추진력 강화’로 정하고 미래사업추진부문도 신설했다. 미래사업추진부문은 증권사 인수 등 비은행 강화전략을 추진하고 그룹의 미래먹거리를 발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당 조직은 금융권의 핵심 아젠다로 떠오른 ESG경영도 통합 관리하도록 했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이날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카드, 캐피탈, 종금 등 재임 2년 이상 임기만료 자회사 대표를 전원 교체하기로 했다. 외부 전문가를 영입한 우리PE는 이번 인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우리PE자산운용을 이끌고 있는 김경우 대표는 2018년 3월 취임 전까지 노무라증권 홍콩법인 한국 해외채권시장 본부장을 역임했다.우리금융은 우리자산운용 대표에 남기천 전 멀티에셋자산운용 대표를 영입했다. 각 자회사는 신임 대표가 부임하는 즉시 지주사의 기본 전략에 맞춰 인사, 조직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우리은행도 지주(전략 중심), 자회사(영업 중심)이라는 큰 틀에 맞춰 맞춰 영업 중심으로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실시했다.영업조직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영업총괄그룹은 폐지하고, 국내영업부문, 기업투자금융부문 등 부문 2곳으로 재편했다. 각 부문 산하에는 5개, 4개의 주요 영업 관련 그룹들을 배치했다. 다만, 부문장 자리는 각각 개인그룹장과 기업그룹장이 겸직 수행토록 할 계획이다.또한, 중소기업그룹과 연금사업그룹, 기관그룹을 신설해 신성장기업 대상 영업 및 기관 영업 시장, 연금시장 등의 영업력을 확충하고, 상생금융부를 신설해 금융소외계층 전담 상품과 서비스 지원을 집중 강화하기로 했다.우리은행 역시 이날 조직개편을 통해 임원 수를 기존 19명에서 18명으로 줄이고, 총 18명 중 12명을 교체 배치했다. 한편, 이원덕 우리은행장은 올해 연말까지 임기가 남아있지만 임 내정자의 경영상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사의를 표명했따. 후임 은행장은 임종룡 회장 취임 직후 경영승계 프로그램을 가동해 선임할 것으로 알려졌다.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우리금융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