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신용대출 취급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신용점수가 601~700점인 대출자가 올해 1분기 민간 중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적용받은 금리는 평균 15.47%였다. 이는 작년 1분기(14.10%) 대비 1.37%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민간 중금리 대출은 금융사가 신용 하위 50%인 차주에게 일정 수준 이하의 금리로 공급하는 신용대출이다.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 민간 중금리 대출 금리 상한을 17.5%로 책정했다. 금융사가 이 조건에서 중금리 대출 목표를 달성하면, 당국은 규제 완화 등의 인센티브(혜택)를 준다.그러나 중금리 대출 금리가 상승하면서 대출 규모도 급감햇다.1분기 사잇돌 대출을 제외한 저축은행 민간 중금리 신용대출 취급액은 1조6685억원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 2조7595억원 대비 40% 감소한 수치다.같은 기간 취급 건수도 14만6683건에서 11만516건으로 줄었고, 대출 실행 저축은행 수도 33곳에서 30곳으로 감소했다.이렇듯 중금리 대출이 위축된 배경에는 금리 상승, 저축은행의 건전성 관리 등이 꼽힌다.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장금리가 1분기까지 상승세였고, 자금 조달 경쟁자인 은행권이 공격적으로 예금(수신) 금리를 인상하면서 조달 비용이 늘었다는 게 저축은행의 설명이다.특히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분기 평균 연체율이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3.5%)보다 오르는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하면서 저축은행들이 금리를 낮추지 않고 대출 공급을 줄인 측면도 있다.다만 저축은행이 취급하는 대표적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의 조달 금리가 2분기에는 다소 떨어져 대출 여건이 나아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1분기 취급분 햇살론의 조달금리는 5.57%로 전년 동기(2.42%) 대비 올랐다. 지난해 4분기 취급분 조달 금리인 4.19%와 비교해도 높다. 햇살론은 연 소득 3500만원 이하이거나 신용점수가 하위 20%에 해당하면서 연 소득 45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에 서민금융진흥원의 보증을 받아 대출을 실행하는 정책금융상품이다. 저축은행의 햇살론 조달 금리는 2개월 전 1년 만기 정기예금 신규 취급분의 가중 평균 금리를 기준으로 산정된다.그러나 4월 취급분 햇살론 조달금리는 4.14%로 3월(5.2%)보다 낮아졌다. 저축은행 평균 정기예금 금리가 지난해 말 5%대 중반에서 2월 2%대 중반까지 하락한 영향이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