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KB증권, ‘다이렉트인덱싱으로 나만의 전략 DIY’ 이벤트 실시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KB증권은 KB증권 다이렉트인덱싱 자문계약 체결 고객 대상으로 ‘DI로 나만의 전략 DIY’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다음 달 30일까지 KB증권 다이렉트인덱싱 한국주식전략 또는 미국주식전략을 신규 생성해 자문계약한 국내거주 내국인 개인고객 대상으로 진행한다. KB증권 MTS인 ‘KB 마블(M-able)’ 또는 홈페이지에서 이벤트 신청을 하면 된다. KB증권 다이렉트인덱싱은 투자자가 직접 주도해 투자의 목적, 투자 성향 등에 적합한 주식 포트폴리오를 설계해 투자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다. 지난 4월에는 한국주식을 오픈, 지난달에는 미국주식을 국내 업계 최초로 오픈했다. 첫 번째 이벤트인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전략 수익률 DIY’는 이벤트 기간 동안 한국주식전략 또는 미국주식전략을 생성해 자문계약한 전략의 누적수익률에 따라 △5% 미만 시 주식쿠폰 1만원 △20% 미만 시 주식쿠폰 3만원 △20% 이상 시 주식쿠폰 5만원의 혜택을 제공한다. 수익률은 한국·미국 현지시간 기준 오는 12월8일 종가로 평가한다. 두 번째 이벤트인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전략 리밸런싱 DIY’는 이벤트 기간 내 한국주식전략 또는 미국주식전략을 생성해 자문계약 체결 후 2회 이상 주문체결하면 주식쿠폰 5만원의 혜택을 제공하는 이벤트다. 단 최초 매수 1회와 리밸런싱 주문 1회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두 이벤트 참여 시 최대 20만원까지 주식쿠폰을 증정한다. 쿠폰지급일인 오는 12월28일까지 자문계약 체결 및 잔고를 유지해야 한다. 유지 잔고 금액은 한국주식전략은 100만원 이상이며 미국주식전략 500만원 이상이다. 하우성 KB증권 플랫폼총괄본부장은 "이번 이벤트를 통해 한국주식은 물론 미국주식 시황에 적합한 테마전략으로 개인 맞춤 포트폴리오를 DIY해 실제 손익뿐만 아니라 국내ㆍ해외 주식쿠폰까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말고 참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giryeong@ekn.krKB증권 KB증권이 다이렉트인덱싱 고객을 대상으로 다음 달 30일까지 ‘DI로 나만의 전략 DIY’ 이벤트를 실시한다. KB증권

고경모 유진투자증권 대표, ‘수산물 소비 및 어촌 휴가 장려 챌린지’ 동참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유진투자증권은 고경모 대표이사가 ‘수산물 소비 및 어촌 휴가 장려 챌린지’에 동참했다고 20일 밝혔다.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제안한 ‘수산물 소비 및 어촌 휴가 장려 챌린지’는 어촌 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리 수산물의 소비 촉진과 국민들의 어촌방문을 장려하는 릴레이 캠페인이다. 지난 7월부터 각계각층의 리더급 인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 수산물 소비 촉진 메시지와 함께 인증 사진을 홍보하고 다음 릴레이 참여자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고 대표는 대체거래소(ATS) 준비법인 넥스트레이드 김학수 사장의 추천으로 이번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다음 주자로 허창언 보험개발원장을 추천했다. 그는 "어민들을 돕고 응원하는 마음을 담아 이번 챌린지에 참여하게 됐다"며 "어촌경제 활성화를 위해 나부터 우리 수산물 소비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소비하는 데 동참하겠다"고 전했다. suc@ekn.krclip20231020094501 유진투자증권은 고경모 대표이사가 ‘수산물 소비 및 어촌 휴가 장려 챌린지’에 동참했다고 20일 밝혔다.

[특징주] STX, 800억 유증 소식에 24%↓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코스피 상장사 STX가 20일 오전 20%가 넘는 낙폭을 보이고 있다. 전날 공시한 800억원어치 주주배정 유상증자 소식에 투심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오전 9시 35분경 STX의 주가는 전일 대비 3330원(24.70%) 하락한 1만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계열사 그린로지스도 10.57% 내린 1만4720원에 거래 중이다. STX의 이날 부진은 전날 80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 공시했기 때문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인도네시아 리튬광산 확보 및 B2B 플랫폼 ‘트롤리고’ 사업 확장 등 2차전지 소재 공급망 확대를 위한 채무상환·운영자금 확보 목적이다. 그러나 전날 유증 공시 직후 STX가 시간외 하한가를 기록했을 정도로 투자자들의 반응은 좋지 않아 보인다. 신규 발행주식은 보통주 736만주이며, 최종 발행가액은 오는 12월 6일 공시된다. 신주는 기존주주와 실권주 일반공모 청약을 거쳐 내년 1월 5일 상장 예정이다. suc@ekn.krclip20231020094003

금감원, 1261개사에 ‘감사인 지정’ 통지…포스코홀딩스·LG화학 등 포함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금융감독원은 2024년 사업연도 주기적 지정 등 감사인 지정 결과를 회사와 외부감사인에게 사전 통지했다고 20일 밝혔다. 금감원은 대부분의 상장사가 포함된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신외감법상 감사인 지정 결과에 대한 사전통지를 실시했다. 올해 사전통지를 받은 회사는 주기적지정 546개사, 직권지정 715개사 등 총 1261개사다. 전년(1498개사) 대비 15.8%(237개사)가 감소했다. 주기적 지정 546개사 가운데 상장 166개사, 비상장 17개사 등 총 183개사가 신규로 지정됐으며 363개사는 지난해에 이어 주기적 지정 2~3년차다. 직권지정 715개사 중에서는 상장 136개사, 비상장 216개사 등 총 352개사가 신규로 지정, 363개사는 지난해에 이어 연속 지정됐다. 신규지정법인에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사 중 포스코홀딩스, LG화학, 삼성SDI 등 12개사가 포함됐다. 이들은 내년 사업연도부터 외부감사인이 변경된다. 감사인 지정제도는 회사가 감사인을 자유롭게 선임하는 대신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가 감사인을 지정하는 제도다. 감사인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감사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됐다. 금감원은 외부감사법 시행령 개정으로 주기적 지정을 받는 대형 비상장사 자산 기준을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상향하고 재무기준 직권지정 사유 수치 산정 기준을 연결 기준에서 별도 기준으로 변경했다. 사전통지를 받은 회사는 지정사 유 등을 확인하고 재지정 요청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재지정 요청 등 의견이 있을 경우 사전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2주 이내에 금감원에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 지정감사인은 지정회사에 대해 공인회계사법상 직무제한 또는 윤리규정상 독립성 훼손 사유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독립성 훼손 사유 등을 감사 계약 체결 전에 해소할 수 있는 경우 신속하게 해소하고 해소가 어려운 경우 재지정을 요청해야 한다. 금감원은 향후 2주간 회사와 감사인으로부터 의견을 제출받은 뒤 이를 검토해 다음 달 13일에 본 통지할 예정이다.giryeong@ekn.kr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감사인 지정결과를 각 회사와 외부감사인에 사전 통지했다고 20일 밝혔다. 연합뉴스

[종합주가지수] 비 내린 코스피, SK하이닉스·LG에너지솔루션·포스코홀딩스 등 주가↓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19일 코스피가 전장보다 46.80p(1.90%) 내린 2415.80으로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30.68p(1.25%) 내린 2431.92에 개장한 뒤 낙폭을 키웠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1605억원, 기관은 248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지난 17∼18일 순매수세를 보였으나 3거래일 만에 다시 순매도 전환했다. 개인은 3893억원 매수 우위였다. 이날 국내 증시는 투자 심리를 악화시킬 대내외적 요인이 산재한 가운데 하락세를 이어가는 흐름을 나타냈다. 중동 지역 긴장은 수백명이 숨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병원 폭발 주체 등을 둘러싸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진실 공방이 벌어지면서 한층 고조되고 있다. 미국 시장 상황도 이날 미 국채 금리가 4.9%선까지 올라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뉴욕경제클럽 토론에 참여하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긴축 강화에 어떤 의중을 내비칠지도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은행이 긴축 지속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6명 중 5명이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시가총액(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서는 삼성전자(-1.42%), SK하이닉스(-3.31%)를 비롯해 현대차(-1.51%) 등이 하락했다. 테슬라가 실적 충격을 기록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2.69%), POSCO홀딩스(-4.60%), LG화학(-2.37%) 등 이차전지 종목도 하락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0.99%), 기아(0.24%) 등은 올랐다. 하락한 종목은 812개로 현재 거래 중인 유가증권시장 전체 종목(931개) 87%에 달했다. 업종별로 보면 화학(-2.34%), 기계(-3.82%), 의료정밀(-2.53%) 등 대다수 업종이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4.85p(3.07%) 내린 784.04로 마쳐 지난 10일 이후 7거래일 만에 800선을 내줬다. 지수는 전장보다 12.74p(1.57%) 내린 796.15로 출발한 뒤 하락 폭을 키웠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은 780억원, 기관은 102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개인은 1826억원 매수 우위였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에코프로비엠(-4.01%), 에코프로(2.92%)를 비롯해 HLB(-4.06%), 에스엠(-4.47%) 등이 하락했다. 반면 넷플릭스 3분기 가입자 수 증가 폭이 3년여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는 소식 등에 스튜디오드래곤(2.11%)이 상승했다. 솔브레인(1.01%) 등도 올랐다. 하락한 종목은 1431개로 현재 거래 중인 코스닥 전체 종목(1612개) 88%에 달했다. 이날 거래대금은 유가증권시장 8조 9360억원, 코스닥시장 6조 2920억원으로 집계됐다. hg3to8@ekn.kr코스피, 중동발 위기 고조에 하락 1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지수가 표시돼 있다.연합뉴스

外人, 사흘간 7300억원 쓸어담아… 삼성전자 반등 가나

[에너지경제신문 양성모 기자] 삼성전자에 외국인들의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지난 17일부터 사흘간 730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 했다. 이에 주가 역시 한때 7만원을 회복하기도 했다. 다만 중동지역 분쟁 리스크 확대 등으로 반락하며 6만원선으로 다시 내려왔지만 시장의 전망은 장밋빛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42%(-1000원) 내린 6만9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 하락은 이스라일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인 하마스 간 전쟁이 격화되면서 중동지역 전체로 분쟁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시장을 짓눌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 18일 7만500원을 기록하며 지난 9월 18일(7만200원) 이후 18거래일 만에 7만원선을 회복한 바 있다. 이는 지난 17일과 18일 양일간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각각 3255억6000만원, 3446억7700만원 등 총 6702억3700만원어치를 순매수한 게 이유다. 이날도 외국인들은 삼성전자 주식을 579억원어치 순매수 했다. 사흘간 사들인 주식은 7281억원에 달한다. 이같은 외국인들의 매수세 유입은 삼성전자의 실적이 예상보다 더욱 개선될 것이란 분석 때문이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 4분기 삼성전자의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0조259억원, 3조639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0.62%, -15.49%가 감소할 전망이다. 실적은 작년만 못하지만 감소폭은 지난 3분기에 비해 크게 개선된 수준이다. 삼성전자의 올 3분기 매출과 영업익은 각각 작년에 비해 -12.74%, -77.88%가 줄었다. 오히려 실적개선 속도는 내년에 더 빨라질 전망이다. 내년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익은 각각 71조1188억원, 5조889억원이 점쳐진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1.57%, 694.92%가 증가한 수준이다. 이에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4분기는 D램(RAM)인 DDR5와 DDR4를 비롯해 낸드(NAND) 등이 모두 상승하면서 본격적인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4분기 후반부터 차세대 메모리반도체인 HBM3를 본격적으로 엔비디아(NVIDIA)에 공급하면서 D램부문 실적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 센터장은 "현재 DDR5 고정가격은 PC와 모바일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서버용 DDR5 고정가격도 8월부터 하락을 멈췄다"며 "재고가 여전히 많은 DDR4도 고객사들의 재고 소진과 함께 PC DDR4 현물가격도 9월 18일 기점으로 반등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제공업체인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D램의 내년 1분기 가격 전망치는 DDR5 16기가바이트(Gb)의 경우 5.0%가 DDR4 8Gb는 2.8%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 전망치 대비 0.8%포인트, 2.8%포인트가 상향 조정된 수치다. 이는 감산에 따른 가격 상승과 더불어 올해와 내년 스마트폰 생산량 전망이 각각 11억6000만대, 11억9000만대로 1.3%, 1.7% 상향 조정되면서 사용되는 메모리반도체 수요 또한 늘 것으로 전망돼서다.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는 감산 효과로 가격이 반등하기 시작하고,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어서 분기별 실적도 긍정적인 흐음이 지속될 것"이라며 "부진했던 HBM도 4분기에는 가시권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

KB증권, 제주서 ‘낙상방지 새활용 안전바 무상설치 사업’ 진행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KB증권은 지난 6월 제주도에서 진행한 ‘낙상방지 새활용 안전바 무상설치 사업’이 순항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KB증권은 본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 제주지사, 제주특별자치도청 노인복지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제주지사, 제주시니어클럽 4개 기관과 지난 5월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낙상방지 새활용 안전바 무상설치 사업’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독거노인을 위한 새활용 안전바를 제작하고 무상으로 설치하는 사업이다. 수거한 폐플라스틱은 제주도 내 독거노인을 위한 낙상방지용 안전바로 제작돼 현재까지 200여가구에 무상 지원했으며 이달 말까지 총 250가구가 수혜를 받을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제주도 내 시니어 일자리를 창출하고 폐플라스틱 수거 활동을 통해 연간 120톤의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약 480톤의 탄소 발생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림, 김성현 KB증권 대표이사는 "이번 사업은 환경 보호와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지원을 아우르는 복합적인 사업"이라며 "환경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여러 기관이 뜻을 모은 만큼 이번 사업이 모범적인 ESG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giryeong@ekn.krKB증권 사옥 KB증권 사옥. KB증권

DL이앤씨, 자회사 DL건설 편입으로 주가 저평가 벗어날까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DL이앤씨가 DL건설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동안 저평가 된 박스권에 갇혀있던 DL이앤씨의 주가가 반등하는 효과를 누릴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만 최근 건설업황 부진과 실적 악화 등이 향후 주가에 어떻게 반영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DL건설 품는다, 공시 후 주가 반등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DL이앤씨는 전날 이사회를 열고 자회사인 DL건설의 지분 100%를 확보해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DL이앤씨는 신규로 주식을 발행하고 DL건설 주주에 1대 0.3704268의 교환 비율로 교부하는 포괄적 주식 교환을 추진한다. 현재 DL이앤씨는 DL건설의 지분 64%를 보유하고 있다. DL이앤씨 측은 이번 자회사 편입 결정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DL이앤씨와 DL건설은 동일한 건설업을 영위하는 기업임에도 코스피에 동시 상장돼 있어 이중 상장 구조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양사는 이중 상장 구조를 해소하고 자본과 경영 효율성을 제고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DL건설 주주는 유동성이 높고 해외 플랜트 사업 확대와 CCUS 등 신사업 모멘텀이 있는 모회사 DL이앤씨 주식을 교부받음으로써 주가 디스카운트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상호 윈윈 거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시장에서는 자회사 편입을 호재로 받아들였다. 이날 DL이앤씨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27% 오른 3만3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DL건설도 전 거래일 대비 4.48% 오른 1만2130원에 마감했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주식 교환에 따라 양사의 극심한 밸류에이션 저평가는 일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DL이앤씨과 DL건설의 올해 주가순자산비율(P/B)는 각각 0.29배, 0.25배로 저평가돼 있는 상태다. ◇"중장기 상승은 실적이 판가름" 다만 앞서 자회사 편입 이슈가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은 사례도 나오고 있는 만큼 주가 저평가를 해소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지난달 25일 제주항공이 이사회를 열고 애경그룹 내 IT 서비스 계열사인 AKIS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공시했다. 이에 제주항공이 IT 역량을 확보해 경쟁사 대비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제주항공 주가는 공시 다음 날인 지난달 26일 전일 대비 2% 오르는 데 그쳤다. 올해 초 1만4700원이던 주가는 이날 9730원까지 떨어졌다. 지난 8월 SK렌터카의 지분 100%를 확보해 자회사로의 편입을 추진 중인 SK네트웍스 역시 편입 이슈가 공시되기 전인 지난 8월17일 종가가 6350원이었으나 이날 주가는 5900원에 마감하는 등 하락세다. 아울러 최근 건설업황 부진으로 건설업종 전체가 증시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우려할 만한 요소다. 건설업은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불황 장기화에 직면해 있다. DL이앤씨, GS건설, 대우건설 등으로 구성된 건설 대표주는 최근 한 달간 2% 가까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중소형 건설주의 하락세는 더 가파르다. DL이앤씨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719억원으로 전년 동기(1346억원) 대비 46.6% 하락했다. DL건설 역시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3.1% 감소한 212억원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자회사 편입에 따른 이중 상장 구조 해소만으로는 주가 상승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DL이앤씨의 100% 완전 자회사 편입 결정은 지독한 주가 저평가를 벗어나기 위한 회사의 고민이 담겨있는 결정으로 판단된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세적 주가 상승은 자회사 편입 이후 DL이앤씨의 순현금 활용과 내년 실적에 달려 있기 때문에 순현금의 의미 있는 활용 방안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giryeong@ekn.krDL이앤씨 사옥 L이앤씨가 DL건설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DL이앤씨 주가 향방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서울 종로구 디타워 돈의문 DL이앤씨 사옥. DL이앤씨

삼성자산운용, ‘블랙록 대표 미국채권 ETF’ 3종 출시 "지금은 채권투자할 때"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삼성자산운용의 상장지수펀드(ETF) 브랜드 ‘Kodex(코덱스)’와 글로벌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ETF ‘iShares(아이셰어스)’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출시한 ‘Kodex iShares 미국채권 ETF 3종’ 상장을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블랙록의 대표 미국채권 ETF인 USHY, LQD, TIP 3종을 각각 1대 1 재간접 형태로 투자하는 ‘KODEX iShares 미국 하이일드 액티브 ETF’, ‘KODEX iShares 미국 투자등급 회사채 액티브 ETF’, ‘KODEX iShares 미국 인플레이션 국채 액티브 ETF’를 상세히 소개했다. 또한 삼성자산운용은 블랙록 아시아태평양 ETF 및 인덱스 상품부문 대표를 초청해 글로벌 채권 시장의 전망을 직접 듣고 향후 국내외 시장에서 미국채권 ETF 상품 투자를 통해 기대되는 성과를 제시했다. 대런 윌스(Darren Wills) 블랙록 아시아태평양 ETF 및 인덱스 상품부문 대표는 ‘THE GREAT YIELD RESET’이라는 제목의 자료로 글로벌 채권 시장의 전망과 향후 채권형 ETF의 성장성 등을 제시했다. 대런 윌스는 "최근 채권시장에서 발생한 금리 레벨의 지각변동은 채권 자산의 매력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다양한 듀레이션 스펙트럼을 활용한 폭넓은 투자가 가능하게 만들었다"며 "특히 미국의 하이일드 채권자산의 수익률은 미국 고배당주·리츠의 배당수익률 대비 높은 투자 매력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연준의 고금리 기조가 기존 예상보다 오래 유지될 것으로 보여 이러한 채권 투자의 상대적 매력도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2002년 LQD를 통해 첫 채권형 ETF를 시장에 선보인 이후 20년이 된 지난 해 글로벌 채권형 ETF시장은 1조7900억달러 규모로 성장했다"며 "밀레니얼 투자자들에게 채권 ETF투자의 편리성과 상품의 다양성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오는 2030년에는 6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Kodex iShares 미국채권 ETF 3종의 운용을 담당하는 유아란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새로운 시장 환경으로 채권투자의 효용성이 높아진 지금 안정적 투자를 선호하는 국내 투자자들에게 미국 대표 채권 상품인 iShares ETF 3종을 제시할 수 있게 된 것이 금번 신규 상장의 중요한 의의"라며 "특히 연금 투자자들이 이 ETF들을 활용해 연금계좌에서 소중한 은퇴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 상무는 "글로벌 1등 운용사의 전문적인 운용 노하우와 대한민국 1등 Kodex의 노하우를 접목시켜 국내 투자자들에게 보다 새롭고 우수한 상품을 공급하게 됐다"며 "이번 Kodex iShares 미국채권 ETF 3종은 주식형 위주로 구성됐던 국내 월배당 ETF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대안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투자의 편의성과 비용 효율 측면에서도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다. 박명제 블랙록자산운용 한국법인 대표는 "대한민국 ETF 시장을 대표하는 삼성자산운용 Kodex와 협업하게 돼 무척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Kodex iShares ETF 3종 상장이 한국 시장에 채권ETF 투자가 보다 확대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suc@ekn.krKodex iShares 미국채권 3종 ETF 출시 기자간담회_1 삼성자산운용은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Kodex iShares 미국채권 ETF 3종’ 상장을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 왼쪽부터)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 박명제 블랙록코리아 대표이사. 사진=삼성자산운용

빗썸의

[에너지경제신문 성우창 기자] 빗썸의 ‘살을 내주고 뼈를 취하는’ 전략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전면 무료화 정책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이미 크립토 윈터(코인 시장 침체기)로 올 상반기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한 만큼, 무료화 정책 시행 중인 현재도 매일 상당한 규모의 손실을 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단 업계 1위 업비트의 점유율이 70%대로 내려오고 빗썸이 최근 20%대로 오르는 등 아직은 ‘고육지책’이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19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인 거래 시장에서 거래 수수료 전면 무료화 바람이 일고 있다. 코인 거래 시장 점유율 1위를 잡고 있는 업비트의 아성을 깨뜨리기 위해 2위 빗썸이 강도 높은 수수료 무료화 정책을 들고나왔기 때문이다. 빗썸은 지난 8월부터 20종 코인에 대해 무료 수수료 정책을 실시했으며, 이달 들어서는 무료화 대상을 모든 종류로 확대했다.◇빗썸 ‘수수료 0원’ 손실 예측 불가해당 이벤트가 정해진 기한 없이 실시되는 만큼, 날이 갈수록 빗썸이 입는 손실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코인 거래소 사업구조 특성상 전체 매출 중 수수료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9%를 넘는데, 무료화 정책으로 이를 모두 포기한 셈이다. 지난 2022년경 암호화폐 시장 혹한기가 도래하며 각 거래소에서 진행하던 대체불가능토큰(NFT)·메타버스 플랫폼 등 신사업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는 등 사업다각화에 실패한 영향이다.게다가 얼어붙은 암호화폐 투심이 올해도 풀릴 기색을 보이지 않아, 이미 빗썸은 무료 수수료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도 영업이익이 적자로 돌아선 상태였다. 빗썸의 올 상반기 매출은 827억원으로 전년 동기(2047억원)에 비해 절반이 채 되지 않으며, 영업이익(-34억원)은 아예 적자 전환했다.이같은 상반기 실적을 기반으로 업계에서는 무료 수수료 정책 시행 이후 빗썸이 입고 있는 일일 손실 규모를 약 15억~16억원 규모로 추산하고 있다. 상반기 기준 빗썸의 이익잉여금이 1조1468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단순 계산 시 764.5일(약 2년) 뒤에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국내 코인 거래 시장 내 업비트빗썸 점유율 추이 거래소 9월 평균 10월 5일~17일 19일 오후 업비트 85.60% 78.40% 71.90% 빗썸 12.30% 20.40% 24.90% 출처=코인게코 ◇빗썸 점유율 20%대로 확대 성공단 본격적인 무료화 정책 시행 이후 보름이 지난 지금까지는 빗썸이 원하던 결과를 거두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가상자산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달 5일부터 17일까지 국내 코인 시장 내 빗썸의 평균 점유율은 20.4%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면 무료화 정책 시행 전인 지난 9월 한달 평균 점유율이 12.3%에 불과했던 점을 감안하면 분명한 성과가 보인 것이다. 이날 오후 기준 빗썸의 점유율은 24.9%에 달한다.특히 ‘숙적’ 업비트의 점유율을 뺏어오는 데도 성공한 모습이다. 9월 평균 85.6%에 달하던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은 이날 오후 기준 71.9%까지 내려왔다. 당장의 수수료 매출이라는 ‘살’을 포기한 대신, 업계 라이벌의 점유율이라는 ‘뼈’를 취한 모양새가 된 것이다. 이러한 추세가 유지될 경우 업비트의 1강 체제가 무너지고 과거처럼 양자가 대등한 양강 구도가 이뤄지게 될 가능성도 점쳐진다.빗썸의 한 관계자는 "코인 거래 시장에서 점유율을 올리는 것은 엄청나게 어려운 일인 만큼, 수수료 무료화 정책은 점유율을 어떻게든 끌어올려 미래에 대비하려는 특단의 대책"이라며 "어느 정도 매출을 포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확한 규모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한편 이같은 수수료 경쟁 움직임이 코인 거래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며 나타날 부작용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점유율 3위 거래소 코인원도 지티엑스(ZTX) 등 일부 코인에 대해 최근 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실시하기 시작했다.한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수수료 무료화는 일종의 덤핑(Dumping) 전략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새로운 투자·연구 등에 들어가야 할 비용이 회사 간 경쟁에만 투입된다는 단점이 있다"며 "또다시 코인이 유행하기 시작하는 시대가 왔을 때 국내 거래소의 전반적인 서비스 질이 낙후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밝혔다.suc@ekn.kr빗썸 CI 및 비트코인 이미지. 출처=픽사베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