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특징주] 한양증권우, 매각 기대감에 3거래일 연속 上

한양증권 우선주가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지난 2일 KCGI가 한양증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연일 고공행진하는 양상이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8분 기준 한양증권우는 전 거래일 대비 7250원(29.90%) 오른 3만1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5일부터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며 52주 신고가를 연일 갈아치우고 있다. 한양증권우가 3거래일 연속 급등한 데는 한양증권 매각 기대감이 작용했다. 앞서 한양증권은 지난 2일 최대 주주 등 지분 매각 관련 우선협상 대상자로 '강성부 펀드'로 불리는 KCGI를 선정했다고 공시했다. 매매 주식은 보통주 376만6973주(29.6%)로 매각 가격은 1주당 6만5000원으로 2448억5324만원이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카카오뱅크, 주담대 주춤했지만 최대 실적…상반기 순익 2314억

카카오뱅크가 상반기 231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실적을 냈다. 7일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3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9% 증가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8.2% 늘어난 3182억원으로, 역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1년 전 대비 각각 51.9%, 46.6% 늘어난 1698억원, 1202억원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정책에 2분기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분기 대비 약 6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역대 최대 실적 행진을 이어갔다. 상반기 이자이익은 1조18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2709억원으로 19% 성장했다. 2분기 기준 이자이익은 5988억원, 비이자이익은 1353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1.1%, 14% 각각 늘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자금 운용 기능을 강화해 자금운용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했다. 상반기 채권, 수익증권, 단기자금 등 투자금융자산 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2517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자마진(NIM)은 2.17%로, 지난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지난해 말 37.3%에서 35.4%로 개선됐다. 2분기 연체율은 전분기 수준인 0.48%를 유지했다. 대손비용률(CCR)은 3개 분기 연속 개선되며 지난해 2분기 말 대비 22bp(1bp=0.01%포인트(p)) 하락한 0.53%를 기록했다. 6월 말 고객 수는 2403만명으로 상반기에만 120만명의 신규 고객이 유입됐다. 연령대별 침투율(연령별 인구 대비 카카오뱅크 고객 비율)은 모든 연령대에서 상승했다. 특히 40대와 50대의 침투율이 가장 큰 폭으로 확대돼 연령층이 다양해졌다. 상반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780만명, 주간활성이용자수(WAU)는 1300만명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말 수신, 여신 잔액은 각각 53조4000억원, 4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저원가성 예금 비중은 56.9%로 늘었다. 은행권 평균은 38.5%로, 격차는 더 벌어졌다. 포용금융도 확대했다. 2분기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 성장 폭(6000억원)은 2분기 개인사업자대출을 포함한 중·저신용대출 공급액과 유사한 규모다. 상반기 말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대출 평잔과 비중은 약 4조7000억원, 32.5%로 역대 최고치로 나타났다. 2분기 기준 카카오뱅크가 취급한 전체 신용대출 규모에서 중·저신용 비중은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공급한 전체 개인 중저신용 대출 중 50% 이상은 카카오뱅크가 책임졌다. 카카오뱅크의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상반기 말 기준 1조4000억원으로, 1년 만에 3배 가까이 늘었다. 카카오뱅크는 중장기적으로 개인사업자 담보대출을 출시하는 등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매출〮부가세 관리 등 서비스를 출시해 사업자 전용 플랫폼으로 역량을 갖출 계획이다. 상반기 카카오뱅크의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1417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플랫폼 수익이 지난해보다 19% 증가했다. 지난해 말 출시한 '신용대출 비교하기' 를 통한 대출 플랫폼 역량도 강화하고 있다. 상반기 카카오뱅크 앱에서 제휴 금융사의 대출을 실행한 건수와 금액은 각각 10만4000건, 1조2938억원으로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투자 서비스 부문을 보면, 펀드 판매 서비스의 펀드 잔고는 전분기 대비 2배로 늘었다. 지난달 출시한 '공모주 청약 서비스' 이용자 수는 한 달 만에 35만명을 돌파했다. 이제 첫 발을 내딛은 글로벌 진출도 순항 중이다. 카카오뱅크가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한 인도네시아 디지털은행 '슈퍼뱅크'는 6월 대고객 공식 런칭 이후 한 달 만에 약 80만명의 고객을 확보했다. 향후 카카오뱅크는 슈퍼뱅크의 상품·서비스 기획, 개발에 본격적으로 참여해 동남아 시장의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 경험을 축적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4분기 중 지속가능한 성장과 주주환원 등을 담은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수립해 공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앞으로도 견조한 성장을 기반으로 포용금융을 보다 확대하고 고객에게 첫 번째로 선택 받는 금융 생활 필수 앱으로도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특징주] 삼성전자, HBM3E, 엔비디아 검증 통과 소식에 1%대 상승

삼성전자가 장 초반 1%대 상승 퀄테스트(품질 검증) 엔비디아에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공급을 위한 퀄테스트(품질 검증)통과 소식이 전해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오전 9시16분 기준 전 거래일 개비 1300원(1.79%) 오른 7만3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로이터는 3명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퀄테스트통과로 삼성전자와 엔비디아가 조만간 공급 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며, 4분기부터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5세대 HBM 가운데 HBM3E(12단)에 대한 테스트는 아직 진행 중이라고 알렸다. 엔비디아와 삼성전자 측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답변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특징주] 아주스틸, 동국제강 인수 소식에 장 초반 18% 강세

아주스틸이 장 초반 두 자릿 수 강세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5분경 아주스틸 주가는 전일 대비 18.43% 오른 7390원에 거래 중이다. 최근 동국제강 산하 동국씨엠은 아주스틸의 지분 42.5%를 785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후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862만주를 500억원에 인수한다. 동국씨엠은 연내 절차를 거쳐 아주스틸을 종속기업으로 편입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가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동국씨엠의 컬러강판 시장 점유율은 세계 및 내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아모레퍼시픽, 실적 부진에 주가 하락 불가피…목표가↓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7일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실적 부진으로 단기 주가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목표주가를 기존 24만원에서 20만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048억원, 42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3%, 29.5% 줄어들었다"며 “미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실망스러운 실적을 기록한 만큼 단기적인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은 2분기부터 중국 사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해 판매방식을 변경했고 이에 따라 2분기에 큰 매출 감소가 발생했다"며 “중국법인의 영업적자는 지난해 2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쉽게도 3분기에는 그 적자가 소폭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분기 실적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은 코스알엑스 부진"이라며 “2분기 코스알엑스의 매출은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한 1430억원대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가 해외에서도 양호한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고려하면, 매크로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면서 주가는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이노션, 업황 이겨내고 호실적…투자의견 ‘매수’ [메리츠증권]

메리츠증권이 7일 보고서를 통해 이노션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목표가 2만9700원을 유지했다. 이노션의 지난 2분기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344억원, 367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정지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디플랜 360, 이노션에스의 실적 온기 반영과 EV3 등 계열 전기차 캠페인 집행으로 본사 매출총이익은 540억원을 기록했다"며 “해외는 계열과 비계열 모두 매체 대행이 증가한 미주와 유럽 지역 성장으로 매출총이익 180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단 디플랜360 인력 충원과 이노션에스 초기 인력 채용으로 인건비는 전년 대비 15.2% 증가해 영업이익률(15.6%)이 소폭 하락했다. 메리츠증권은 이노션의 올해 매출총이익 9218억원, 영업이익 1568억원을 전망하고 있다. 여전히 쉽지 않은 광고 업황이지만 하반기에는 소비 심리 회복을 위한 광고 집행 확대로 외형 성장 및 이익 개선이 지속될 전망이다. 하반기 EV3 글로벌 출시에 힘입어 미주와 유럽 중심의 성장이 기대되며, 미주 자회사 웰콤(Wellcom)은 월마트, 이솝, 푸드뱅크 등 글로벌 대형 리테일 광고주를 신규 영입해 비계열 부문 확장에 기여할 전망이다. 정 연구원은 “계열 광고주의 신차 대행 및 BTL 캠페인 집행이 실적 개선을 주도하고 있으나, 2024년 상반기 기준 해외에서만 총 40개의 신규 광고주를 영입하는 등 비계열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점 또한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하나투어, 티메프 비용 2분기에 모두 반영…목표가 ‘유지’ [대신증권]

대신증권은 7일 하나투어에 대해 2분기 일회성 비용이 모두 반영되면서 하반기는 성수기 모멘텀에 집중할 시기라고 진단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목표주가는 7만5000원을 유지했다. 임수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티메프 사태로 인한 일회성 비용 63억원(하나투어 48억원·자회사 웹투어 15억원)은 2분기에 반영됐다"며 “항공권 취소 수수료 등 추가로 발생할 비용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제 성수기 모멘텀에 집중할 시기라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티메프 사태의 영향으로 하나투어의 2분기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한 1317억원을, 영업이익은 10% 감소한 37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임 연구원은 “티메프 사태의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99억원으로 당사 추정치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3분기 여행업이 성수기로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임 연구원은 “지난달 패키지 송출객 수는 16만5000명으로 예상치 수준에 부합했다"며 “파리 올림픽에 따라 유럽 송출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지만 이외 지역이 모두 증가세를 보이며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임 연구원은 “7월 패키기 송출객 수가 예상치를 부합했고 9월 추석 연휴로 높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킥스비율 250%대’ 자본적정성 확보한 교보생명

교보생명이 7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하며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을 250%대까지 끌어올렸다. 보험업계 전반적으로 펀더멘털이 안정적인데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교보생명의 후순위채 발행 흥행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최근 7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이 회사는 당초 후순위채를 5000억원 규모로 발행할 예정이었지만, 지난주 수요예측에서 6980억원이 몰리면서 규모를 7000억원으로 확대했다. 후순위채 금리는 공모희망금리(연 3.80~4.3%)의 최상단인 4.3%이며, 10년 만기이나 5년 후 조기상환할 수 있는 콜옵션이 부여됐다. 교보생명은 이번 후순위채 발행으로 K-ICS 비율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재무건전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됐다. 교보생명의 K-ICS 비율은 올해 1분기 238.93%에서 후순위채 발행 후 251.01%로 12.08%포인트(p) 높아진다. 이 회사의 K-ICS 비율은 기초가정위험액 시행에 따른 운영리스크 제도 강화로 요구자본이 늘면서 2023년 265.36%에서 1분기 238.93%로 하락했지만, 자본 확충을 통해 이를 다시 250%대로 끌어올렸다. 교보생명의 K-ICS 비율은 금융감독원 권고치인 150%를 상회한다. K-ICS 비율은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표다. 교보생명은 K-ICS 비율을 선제적으로 관리해 금융환경 변화 등 리스크 요인에 대비하고, 영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교보생명의 후순위채가 시장에서 큰 호응을 이끌어낸 것은 안정적인 펀더멘털과 높은 금리가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나이스신용평가는 교보생명의 후순위채 신용등급에 AA+ 등급을 부여했다. 작년 결산 기준으로 수입보험료가 특별계정 43%, 보장성 보험 26%, 저축성보험 30%로 구성돼 보험 포트폴리오가 안정적이고 자본적정성도 우수하다는 게 신용평가사들의 진단이다. 신종자본증권이 후순위채보다 변제순위가 후순위이기 때문에 금리도 상대적으로 높지만, 만기가 30년으로 후순위채(10년)보다 길고, 후순위채는 5년 뒤 콜옵션으로 상환되는 게 일반적이다. 이에 후순위채는 신종자본증권보다 리스크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보험업계 전반적으로 펀더멘털이 안정적이고, 후순위채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준다는 기대감이 교보생명 후순위채 흥행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시장금리 하락 구간에 진입하다보니 교보생명이 발행한 후순위채의 절대 금리는 낮게 보일 수 있는데, 회사 신용등급을 고려하면 현재 금리 수준은 시장 눈높이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증시 종합] 기아, HD현대중공업·한국조선해양, 에코프로·비엠, 알테오젠 등 주가↑

6일 코스피 지수가 전장 대비 80.60p(3.3%) 오른 2522.15에 마쳤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수는 전장보다 91.79p(3.76%) 오른 2533.34로 출발해 대체로 3%대 상승폭을 유지했다. 코스피는 전날 역대 최저인 234.64p(8.77%)가 빠져 최악의 하루를 보냈지만, 일단 반등하면서 안도감이 돌았다. 전날 11.3% 동반 급락했던 코스닥 지수도 급반등해 41.59p(6.02%) 오른 732.87로 마감했다. 두 지수 모두 지난해 11월 6일 이후 274일 만 최대 상승폭·상승률이다. 이날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개장과 동시에 급반등하면서 9시 6분 00초께 프로그램매수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도 발동됐다.… 양 시장 동시 매수 사이드카는 지난 2020년 6월 16일 이후 4년 2개월 만이다. 전날 코스피·코스닥 폭락으로 매도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연이어 발동된 것과 정반대 흐름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장 초반 순매수세를 보이던 외국인은 2048억원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기관도 3219억원 순매도했고, 개인은 4563억원 순매수했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은 2624억원 순매도 했다. 다만 대규모 자금이 이탈한 전날에 비해선 매도 강도가 누그러졌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547억원, 기관이 1251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4913억원 매도 우위였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8원 오른 1357.6원에 거래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856개 종목이 올랐고, 73개 종목이 하락했다. 코스피 종목 중 91%가 상승한 셈이다. 전날 924개 종목이 내렸던 점과 비교하면 상황이 반전됐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올랐다. 전날 10% 넘게 하락한 삼성전자는 1100원(1.54%) 오른 7만 2500원에 마감했다. SK하이닉스(4.87%), LG에너지솔루션(4.66%), 삼성바이오로직스(4.27%), 현대차(4.91%), 기아(6.65%), KB금융(3.52%), POSCO홀딩스(5.09%), 삼성SDI(4.77%), HD현대중공업(10.22%), HD한국조선해양(10.13%) 등이 올랐다. 셀트리온(-0.27%), 한화에어로스페이스(-1.12%), LG(-0.64%), SK텔레콤(-0.19%), KT(-1.35%) 등이 내렸다. 업종별로는 통신업(-0.35%)을 제외한 의료정밀(6.53%), 화학(5.28%), 기계(5.28%), 운수장비(5.22%), 철강및금속(4.25%), 전기가스업(3.86%) 등이 일제히 올랐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1521개 종목이 올랐고, 115개 종목이 하락했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에코프로비엠(9.76%), 알테오젠(6.69%), 에코프로(12.82%), HLB(4.02%), 삼천당제약(4.39%), 엔켐(7.35%) 등이 올랐다. 이날 상승은 국내 증시가 과매도 구간에 들어섰다는 판단에 따라 저가 매수세가 몰린 결과로 해석된다. 간밤 발표된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업황 확장세를 보이면서 분위기 반전 발판 역할을 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다만 주가가 단기 반등일지, 상승 추세 전환일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시가총액은 2063조 6862억원으로 전날 대비 약 66조원 증가했다. 전날에는 하루 만에 약 192조원이 증발해 시총 2000조원이 깨졌다. 코스닥 시가총액은 358조 7237억원으로 전날 대비 약 20조원이 늘었다. 양 시장 시총을 합치면 이날 약 86조원 자금이 국내 증시로 되돌아왔다. 이날 거래대금은 유가증권시장 15조 2324억원, 코스닥시장 8조 2675억원이었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

카카오페이, 2개 분기 순익 흑자…영업손실은 73억으로 줄어

카카오페이가 2분기 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영업손실은 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2% 감소했다. 카카오페이는 6일 2분기 실적을 이같이 공시했다. 먼저 2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난 41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별 거래액은 결제∙금융∙기타 전 영역에서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 결제 서비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 늘었다. 오프라인 결제는 131% 성장했다. 금융 서비스 거래액은 대출 중개 영역에서 신용대출 실행액이 고르게 증가해 18% 늘었고, 송금 등 기타 서비스 거래액도 19% 확대됐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난 1855억원이었다. 결제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1214억원을 기록했다. 금융 서비스 매출은 552억원으로 60% 성장했다. 금융 서비스 매출은 전체 매출에서의 비중이 30%까지 확대됐다. 광고 매출과 카드추천 서비스 이용자가 늘면서 기타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늘었다. 2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1928억원으로 집계됐다. 오프라인 결제 확장을 위한 프로모션 증가로 광고선전비가 전년 동기 대비 18% 늘었다. 매출액 대비 광고선전비 비율은 9%에 그쳤다. 가장 상승 폭이 큰 기타비용은 카카오페이증권의 해외주식 거래액과 예탁금 증가,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상품 판매 확대에 따른 서비스 비용 증가 등 자회사 성장에 따라 발생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영업손실은 2분기 기준 7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26억원) 대비 42.2% 줄었다. 대출, 보험 등 금융 서비스 매출 약진 등에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1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매출 성장에 금융 수익이 더해지며 카카오페이는 2분기 6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흑자다.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4% 증가한 1542억원으로 나타났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113억원, 순이익은 19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7%, 당기순이익률은 13%로 각각 나타났다. 별도 기준 누적결손금은 직전 분기말 240억원대에서 6월 말 기준 50억원대까지 크게 감소했다. 카카오페이 월간 사용자 수(MAU)는 2465만명을 기록했다. 전체 서비스의 유저당 거래 건수는 101건이다.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결제 이용자는 매년 약 100만명 수준으로 늘었는데, 결제처 확장과 해외결제 성장에 따라 연내 5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톡에서는 카카오페이-삼성페이 결제가 연동될 예정으로, 바코드, QR코드, MST의 결제 방식을 모두 제공한다. 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가입자는 지난달 말 기준 1650만명을 기록했다. 카카오페이증권의 2분기 예탁 자산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해 지난달 말 기준 3조원을 돌파했다. 2분기 주식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12조원 규모다. 주식거래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5% 늘었고, 특히 해외주식 거래건수는 256% 성장했다. 이에 따라 매출은 51% 성장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2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28% 커졌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해외여행보험∙휴대폰보험∙운전자보험의 상품력을 더욱 개선하고 장기보험을 포함한 추가 신규 상품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