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은행 예금·대출금리 3개월째 하락…예대금리차는 두 달 연속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지난달 은행권의 예금·대출금리가 석 달 연속 하락했다. 단 예금 금리 하락 폭이 대출 금리 하락 폭보다 커 예대(대출-예금)금리차는 더 벌어졌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를 보면 2월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4%로 전월 대비 0.29%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12월(-0.07%포인트) 11월 만에 하락한 후 3개월 연속 내렸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연 3.53%)가 0.34%포인트, 금융채 등 시장형금융상품 금리(연 3.57%)가 0.13%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은행 간 수신 경쟁이 완화됐고, 시장 금리가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2월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5.32%로 한 달 새 0.14%포인트 낮아졌다. 역시 석 달 연속 낮아졌다. 세부적으로는 가계대출 금리가 연 5.22%로 0.25%포인트 내렸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연 4.56%)는 0.02%포인트, 신용대출 금리(연 6.55%)는 0.66%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6%대 신용대출 금리는 2022년 9월(6.62%) 이후 처음이다. 기업 대출금리(연 5.36%)는 0.11%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 대출 금리(연 5.45%)는 0.22%포인트 낮아졌고, 대기업 대출 금리(5.24%)는 0.06%포인트 내렸다. 한은 관계자는 "코픽스(COFIX)·은행채 등 지표 금리 하락과 은행들의 가산·우대금리 조정 영향으로 대출금리가 전반적으로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 주택담보대출은 혼합형 상품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의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작고 2월부터 본격적으로 취급된 특례보금자리론 기본금리(4%대 초중반)가 기존 안심전환대출(3%대 후반) 등보다 높아 소폭 낮아지는 데 그쳤다"고 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중 2월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48.3%로 전달 대비 1.1%포인트 늘었다.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고정금리 비중이 커졌고, 고정금리 전세자금대출 취급도 늘었기 때문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1.78%포인트로 전월(1.63%포인트)보다 0.15%포인트 커졌다. 2개월 연속 확대됐다. 예금금리 하락 폭이 대출금리 하락 폭보다 컸기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예금에서는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단기물(1년 미만) 비중이 커진 반면 대출에서는 단기물 비중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잔액 기준으로도 총수신 금리(연 2.51%)는 0.03%포인트, 총대출 금리(연 5.11%)는 0.05%포인트 각각 올라 예대금리차(2.60%포인트)는 0.02%포인트 더 커졌다. 은행 외 금융기관 중 상호저축은행 예금금리(1년 만기 정기예탁금 신규취급액 기준·연 4.14%)와 신용협동조합 예금금리(연 4.85%)는 한 달 새 1.06%포인트, 0.42%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상호금융(연 4.51%), 새마을금고(연 4.95%)도 0.49%포인트, 0.32%포인트 각각 낮아졌다.대출금리는 상호저축은행(연 12.83%) 0.34%포인트, 신용협동조합(연 7.04%) 0.04%포인트, 새마을금고(연 6.89%) 0.13%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상호금융(연 6.35%) 대출금리는 0.01%포인트 높아졌다. dsk@ekn.kr서울의 한 시중은행. 연합뉴스

무협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유럽·미국에 한 단계 이상 뒤쳐져"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이 유럽과 미국에 비해 한 단계 이상 뒤쳐져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1일 한국무역협회는 ‘국내외 기업 디지털 전환 대응 역량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무협은 국내 기업 515개 사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참가한 해외 기업 123개 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수준을 ‘준비 중’·‘도입 시작’·‘적용 중’·‘정착’·‘활발히 진행 중’ 등 다섯 단계로 나눠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조사 결과 해외 기업은 디지털 전환 단계가 정착(36.6%), 적용 중(27.6%), 활발히 진행 중(23.6%)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반면 국내 기업은 적용 중(39.8%), 도입 시작(26.0%), 준비 중(22.9%)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국내 기업 중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5%에 불과했다. 아울러 무협이 디지털 전환 진행 단계를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음’·‘시작은 했으나 진행이 더딘 편’·‘보통’·‘어느 정도 진행’·‘매우 잘 진행’ 5개로 구분해 설문조사한 결과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격차가 1.5∼2단계까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다(43.1%)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기업 규모가 작아질수록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기업의 60.8%는 디지털 전환 전담 조직과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중견기업(44.8%)과 중·소기업(44.2%·55.7%)은 전담 조직과 인력이 전무했다. 무협은 "국내 중견·중소기업은 국내 대기업과 해외 기업에 비해 디지털 전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막대한 자본과 시간이 필요한 만큼 정부의 정책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sj@ekn.kr2022051601010004530

"전국 아파트 전셋값 1위 강남구에서 서초로 전환"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올해3월 서울 3.3㎡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이 지난 1월과 비교해 4.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서도 주거선호도가 높은 지역으로 꼽히는 강남구의 경우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져 전국 전세가격 1위 자리에서도 내려왔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올해 3월 서울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285만5000원으로 지난 1월(2398만3000원)과 비교하면 112만700원 떨어졌고, 4.7%하락했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도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이 가장 큰폭으로 하락한 곳은 강남구로 지난 1월 3.3㎡당 평균 전세가격이 3700.7만원이었지만, 3월에는 3411만3000원으로 289만4000원 떨어져 7.8%의 하락폭을 보였다. 이어 동작구는 3.3㎡당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이 2501만4000원에서 2318만9000원으로 7.3%하락했다. 강북구는 1768만6000원에서 1650만8000원으로 6.7%, 송파구 2896만9000원에서 2751만4000원으로 5.0%, 성동구 2872만원에서 2732만7000원으로 4.8%, 서초구는 3658만원에서 3486만5000원으로 4.7% 하락폭을 보였다. 강남구 아파트 전세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고금리 기조로 전세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입주 물량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입주한 3375가구 규모 개포 자이 프레지던스와 오는 6월 489가구의 대치 푸르지오 써밋, 11월 6702가구 규모인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가 입주를 앞두면서 전세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한솔마을’ 전용면적 84.73㎡의 경우 올해 1월 20일 7억 3000만원(2층)에 신규 전세계약이 이뤄졌지만, 3월 18일에는 5억원(2층)에 전세계약이 체결돼 전세가격이 2억3000만원이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도곡우성’ 전용면적 84.83㎡도 지난 1월 19일 6억 8000만원(13층)에 신규 전세계약이 이뤄졌지만, 3월 7일에는 6억원(10층)에 전세계약이 체결돼 8000만원이나 하락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부동산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된다"며 "신축 아파트 입주물량이 많은 강남구의 경우 지금과 같은 전셋값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1월 4883만3000원에서 3월 4757만7000원으로 2.6% 하락했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자치구는 강북구로 올해 1월 3087만3000원에서 3월 2957만9000원으로 4.2% 내렸다. 강남구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1월 8742만7000원에서 3월 8582만6000원으로 1.8% 하락했으며 서초구는 같은 기간 8570만4000원에서 8262만6000원으로 3.6% 내렸다. kjh123@ekn.kr경제만랩 서울 강북구 ㅁㅁ 전국 아파트 전셋값 1위가 강남구에서 서초구로 바뀌었다. 올해 서울 3.3㎡당 아파트 전셋값 4.7% 하락했다. 경제만랩

현대엔지니어링, 2300억규모 석문국가산업단지 LG화학 당진공장 착공

는 모습[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LG화학 당진공장’ 착공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 LG화학 당진공장은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석문국가산업단지 내에 에어로젤 생산과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해 초임계 스팀을 활용한 열분해유를 생산하는 친환경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약 2300억원 규모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에 필수적인 물과 공기를 생산하는 유틸리티 생산 설비, 부대시설, 수처리시설을 포함하는 UTOS(Utilities& Offsites)와 단지 인프라 설비 건설도 함께 수행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향후 ‘LG화학 당진공장’의 성공적인 완공까지 전사적인 역량을 투입해 발주처 LG화학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친환경 플랜트 EPC 수행 실적 확보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전략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발주처 LG화학과의 긴밀한 소통을 기반으로 지난해 말 EPC 계약 체결 이후 단기간 내에 착공에 돌입하는 결실을 맺었다"라며 "고품질의 친환경 플랜트 준공을 위해 당사가 쌓아온 프로젝트 수행 노하우와 기술력을 총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daniel1115@ekn.kr202303301550222090250-2-364146 LG화학 당진공장 착공식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왼쪽 열 번째),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실장(왼쪽 여섯 번째), 오성환 당진시장(왼쪽 여덟 번째),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왼쪽 일곱 번째). 현대엔지니어링

SH공사, 세곡2지구 사업결과 평가 발표…공공주택 자산가치 증가로 재산 11배 늘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2009년부터 추진 중인 세곡2공공주택사업 결과 공공주택 자산가치 증가 등으로 당초 계획보다 개발이익과 자산이 11배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SH공사는 세곡2지구 사업 착수 전 사업성 검토 내용과 사업 종료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세곡2지구에서 분양주택 1833가구, 임대주택 1962가구 공급 및 민간 택지매각 10만9079㎡(전체면적의 14%)를 통해 2조5771억원의 개발이익을 거뒀다. 세곡2지구 투자비는 건축비 등의 감소로 사업성 검토 당시와 비교해 336억원 감소했다. 또한 임대주택 1962가구의 자산가치 2조4549억원이 추가 반영되면서 개발이익은 사업 착수 당시 목표로 했던 2352억원에서 2조5771억원으로 11배 증가했다. 이익이 증가한 데는 2009년 오세훈 서울시장의 방침으로 공공개발사업의 공공임대주택 의무비율을 25%에서 50% 상향하면서 세곡2지구에 공공임대주택을 많이 공급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곡2지구 택지조성원가는 3.3㎡당 780만원이었다. 하지만 현재 시세는 이보다 크게 올랐다. 세곡2지구 공사 소유 전용 84㎡ 공공주택의 시세는 현재 가구당 약 18억원, 가구당 토지 추정 가격은 약 14억원, 3.3㎡ 기준 토지가격은 7938만원으로 택지조성원가 대비 토지가격이 크게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세곡2지구에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을 공급할 경우 개발이익이 대폭 향상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세곡2지구 분양주택 1833가구를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으로 전환할 경우 현금 사업수지는 3949억원으로 악화되지만 공사소유 토지 자산가치가 증가해 개발이익은 4조3718억원(시세 기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공사는 앞으로도 개발사업 추진 시 시민을 위한 공공자산을 충분히 확보해 공공자산의 가치를 증대한다는 계획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앞으로 주요 사업지구의 사업결과를 계속 공개하여 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공사 경영의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giryeong@ekn.kr세곡2지구 사업성 분석 비교 세곡2지구 사업성 분석 비교. SH공사

공공분양주택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한국토지공사(LH)는 지난해 12월 30일 공고된 윤석열 정부의 공공분양주택 뉴:홈의 첫 사전청약 접수 결과 지난달 6∼17일까지 고양창릉 등 3개 지구 1798가구에 대해 총 2만7153명이 신청해 평균 15.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청년 특별공급 우선공급의 경우 고양창릉과 양정역세권 두 지구 모두 9점(만점)에서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했으며 잔여공급은 12점(만점)에서 추첨으로 결정됐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우선공급의 경우 고양창릉 9점(만점), 양정역세권 8~9점에서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했으며 잔여공급의 경우 고양창릉은 7~11점, 양정역세권은 6~10점에서 추첨으로 결정됐다. 다자녀 특별공급의 경우 남양주진접2 최고 배점 당첨자는 80점이였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우선공급의 경우 최고 배점은 11점이며 잔여공급은 59㎡은 1순위에서, 55㎡의 경우 2순위에서 추첨으로 결정됐다. 노부모 특별공급의 경우 청약저축 최고 불입액은 2000만 원이다. 일반공급 중 우선공급 대상자에 대한 청약저축 총액 당첨선은 평균 1493만원 수준이며 청약저축 최고 불입액은 고양창릉 2520만원, 양정역세권 2340만원, 남양주진접2 2080만원을 기록했다. daniel1115@ekn.kr화면 캡처 2023-03-30 152803 뉴:홈의 첫 사전청약 접수 경쟁률. 한국토지공사(LH)

포스코이앤씨, 친환경 시멘트 ‘포스멘트’ 사용 확대 위해 중소레미콘사와 MOU 체결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포스코이앤씨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에 앞장서면서 중소레미콘사와 협업으로 친환경 시멘트(PosMent) 사용 확대에 나섰다.포스코이앤씨는 30일 인천 송도사옥에서 삼우·㈜수성 등 6개 중소레미콘사와 친환경시멘트인 ‘포스멘트’ 사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을 맺게 된 중소레미콘사들은 그동안 탄소저감 등 ESG 동참 의지는 강했으나 유휴 사일로(시멘트 등의 고체 벌크 화물의 저장고)가 없어 친환경 시멘트를 별도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포스코이앤씨는 이번에 공모를 통해 선정된 6개사에 대해 탄소저감에 우수한 친환경 시멘트 사용 확대를 위한 사일로 설비를 지원하고 중소레미콘사들은 포스멘트 등 친환경 시멘트가 배합된 레미콘을 생산할 전망이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지원하게 되는 범위는 각 회사당 사일로 1기(150~200톤) 설비이며 설비 지원에 사용되는 재원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중소레미콘사들은 설치비 및 부대비용을 담당하게 된다.포스멘트는 포스코그룹이 자체 개발한 친환경 시멘트로 철강 생산공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고로슬래그를 석회석 대신 시멘트 제조에 사용한다. 기존 시멘트는 화합 과정에서 톤당 약 0.8톤의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포스멘트(PosMent)는 원료를 굽는 과정이 필요 없는 고로슬래그를 58%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자극제 2%를 더해 일반 시멘트보다 최대 60%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이번 사일로 지원을 통해 에코·챌린지를 추구하는 회사의 가치를 실현할 뿐 아니라 친환경 시멘트가 건설업계 전반에 쓰일 수 있도록 우수한 중소협력사들과 협업해 포스코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2050 탄소중립 실현’ 활동에 적극 동참하고 ESG경영에 앞장섬으로써 포스코그룹의 ‘기업시민’ 이념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giryeong@ekn.kr포스코건설이 친환경 시멘트인 포스멘트 사용 확대를 위해 6개 중소레미콘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포스코건설

삼성물산, 日 치요다와 SPERA 수소 사업 협력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일본 치요다화공건설과 일본 요코하마에 소재한 치요다 본사에서 ‘SPERA 수소’ 기술을 활용한 수소 사업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삼성물산은 수소 운반·저장 신기술인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 방식의 선두 주자인치요다의‘SPERA 수소’ 플랜트 건설에 참여하고 관련 사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예정이다.삼성물산과 치요다는 액상유기수소운반체방식의 수소 사업 협력과 함께 향후 탈탄소 사업에 대한 협의도계속해 나갈 계획이다.삼성물산은 미래 성장의 한 축으로 친환경에너지 사업에 주목하고, 그린수소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물산은 기존의 그린수소 생산 및 공급 사업뿐만 아니라 실증이 완료된 상온·상압의 안정적인 운송 및 저장 기술까지 사업 범위를 확대하면서 그린수소의 생산·운송·저장·공급 등 전체 과정에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이번 협약식에는 김성준 삼성물산 플랜트영업팀장(상무)와 사쿠라이 기미호 치요다 영업본부장(상무) 등이 참석했다.치요다는 LNG 및 석유화학 분야를 주력으로 하는 일본의 대표 엔지니어링사로 삼성물산은 치요다와 수소 변환·추출 플랜트 건설 협력을 통해 수소운반·저장 분야에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giryeong@ekn.kr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일본 치요다화공건설과 수소 사업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삼성물산

롯데건설, 흙막이 안정성 확보 기술 개발…업계 최초 인공지능(AI) 활용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롯데건설이 인공지능(AI) 기반 흙막이 가시설 배면(인근 건물, 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가시화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 배면부 균열 추적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프로그램 등록 및 특허를 출원했다고 30일 밝혔다.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지하 굴착 시 땅이 무너지거나 지하수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하는데 이 시설은 배면부의 침하와 균열 등으로 붕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발생한 침하나 균열은 지반함몰 등의 큰 재해가 발생한 이후에 육안으로 문제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롯데건설은 업계 최초로 AI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 흙막이 가시설 배면부의 도로 노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딥러닝(심층학습) 방식으로 분석해 관리자에게 위험 경보를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향후 전문 IT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롯데건설 전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흙막이 가시설 배면부 균열 추적 시스템’은 건설현장 근로자가 개인 촬영 장치(액션캠, 휴대폰 카메라 등)로 현장 영상을 취득해 플랫폼에 등록하면 AI 모델이 영상 분석 및 균열 정보를 가시화하며 추출한 균열 정보는 이력 관리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균열 진행 상태 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이 시스템 도입으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줄자로 측정해 관리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데이터화된 균열 이력에 따라 위험 발생 경고 및 사전 대처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오랜 기술 안전관리 경험과 더불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 기술의 자체 개발을 접목한 해당 기술은 실제 현장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롯데건설은 이에 그치지 않고 자체 보유한 기술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DT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 공사 시간 단축 및 공사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속해서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롯데건설이 흙막이 가시설 배면 균열 탐지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롯데건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