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달 건설업계 분양 성적표가 올해 분양시장의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방위적으로 규제가 풀린 상태에서 분양에 나서 그 결과에 따라 분양시장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은 기사와 관계없음.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올해 1분기 건설사의 저조한 분양실적을 뒤로 하고 4월부터 본격 분양에 돌입하는 단지들이 많아지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달 분양 성적이 올해의 분양사업을 이끌어가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규제완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 7일부터 분양권 전매제한이 완화됨에 따라 주춤한 분양시장이 활성화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일부 건설사들은 이달 분양성적을 올해 분양사업을 지속할지에 대한 바로미터로 여기고 있다.
4월 청약 캘린더(한국부동산원 청약홈) | ||||
시공사 | 위치 | 주택명 | 공급 가구 수 | 청약기간 |
대방건설 | 경기 파주 | 파주 운정신도시 디에트르 센트럴에듀 | 292가구(특별 138, 일반 154) | 04.11~04.13 |
계룡건설 등 | 경기 화성 | 동탄 파크릭스 A55BL | 660가구(특별 308, 일반 352) | 04.10~04.12 |
GS건설 | 충남 천안 | 북천안자이 포레스트 | 378가구(특별 244, 일반 134) | 04.10~04.12 |
DL건설 | 광주 |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 | 176가구(특별 81, 일반 95) | 04.10~04.12 |
동일토건 | 충북 청주 | 청주 동일하이빌 파크레인 | 800가구(특별 270, 일반 530) | 04.17~04.19 |
금강주택 | 경기 화성 | 동탄신도시 금강펜테리움 6차 센트럴파크 | 1103가구(특별 500, 일반 603) | 04.17~04.19 |
디에스종합건설 | 부산 | 에코델타시티 대성베르힐 17BL | 1120가구(특별 527, 일반 593) | 04.17~04.19 |
◇ 이번 주 수도권-지방 전방위 분양 속속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먼저 오는 10일에는 현대건설과 계룡건설산업, 동부건설, 대보건설 컨소시엄이 지은 경기 화성시 신동 일원 ‘동탄 파크릭스’ 특별공급이 시작된다.
지상 2층~지상 20층, 44개동 74~110㎡로 2063가구 중 1차 분양분을 제외한 660가구(A55블록)가 2차 분양으로 나왔다. 이 중 특별공급이 308가구, 일반공급이 352가구다. 최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 호재로 인해 인근 동탄2 신도시도 덩달아 호재를 이어받는 분위기다.
같은 날 DL건설은 광주시 남구 봉선동(장미구역 주택재건축) 일원에 건립되는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지난 6일 파주시 동패동 일대에 견본주택을 개관한 대방건설의 ‘파주운정 디에트르 센트럴에듀’도 11일부터 특별공급을 시작한다. 전용면적 84m²A타입, 110m²C타입 등 총 292가구 물량이 준비 중이다.
대방건설은 이번 분양 이후 4월에 또 인천검단신도시5차 디에트르(AA20BL)를 분양할 예정이었으나 실질적으로 5월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직 분양일정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중흥건설그룹 중흥토건이 시공한 경기 화성시 봉담 동화지구 ‘봉담 중흥S-클래스 센트럴에듀’도 있다. 지하 3층~지상 25층 8개동, 전용 72·84·101㎡ 총 80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오는 14일이나 21일 중 견본주택 개관을 준비 중이나 확정이 되지 않았다. 예정이긴 하나 수요자를 견인한 중도금 무이자 혜택 등이 기대되고 있다.
◇ 아파트분양전망지수 13개월만에 80선 회복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지난해 5월 이후 13개월 만에 80선을 넘어섰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 500여 곳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아파트 분양전망지수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85.2포인트(p)로 전달 대비 11.6p 상승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분양시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가 분양심리에 긍정적 신호를 주었다는 분석이다. 7일부터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은 수도권이 최대 10년→3년, 비수도권 최대 4년→1년으로 짧아진다.
다만 주산연은 시장이 완전히 회복됐다고 보기 어려운 바, 정부 정책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시행과 시공을 함께하는 중견건설사 한 관계자는 "자사 분양 캘린더에 이달 분양 물량이 잡혀있지만 지금으로서는 한치 앞도 일정을 내다볼 수 없는 시기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분양시장이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흥행을 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는 지켜봐야 할 것을 시사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조치로 부동산 시장이 가시적으로 활성화될 것인지에 대해 확언할 수 없다"며 "정책목표와 수단은 긍정적이지만 현재로서는 기준금리 인상 상단의 불확실성 등 외부 환경요인으로 정책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다"고 판단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도 "지난 2020년부터 2021년 청약경쟁률(1순위 20:1)을 비교하면 6일 기준 청약 경쟁률은 3.2:1로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며 "미분양 적체가 여전한 상황에서 수분양자를 위한 혜택을 늘려 실수요자를 끌어올리는 자구책은 일부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시장의 빠른 회복은 제한적일 것이다"고 전망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