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내 한 버스정류장에서 마스크를 쓴 출근길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기사내용과 무관).연합뉴스 |
10일 연합뉴스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20·30대 8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인) 인식 조사‘ 결과를 인용 보도했다.
전체 응답자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은 워라밸이 보장되는 기업(36.6%)이었다. 이어 29.6%는 월급과 성과 보상체계가 잘 갖춰진 기업을 꼽았다.
이밖에 16.3%는 정년 보장 등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 10.4%는 기업과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기업, 3.8%는 기업문화가 수평적이고 소통이 잘되는 기업이라고 답했다.
MZ세대들은 특히 ‘소통’을 중요시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경영진 리더십 유형도 소통형(77.9%)이었다.
강한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카리스마형은 13.9%, 직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업무 처리 시 자율성을 부여하는 위임형은 8.2%로 조사됐다.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필요한 요소 역시 기업 내 조직원 간 소통 강화(37.2%)가 가장 많았다.
이어 적극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29.7%), 좋은 제품과 서비스 생산(24.7%), ESG 적극 실천(5.7%), 기업 역할에 대한 홍보(2.7%) 등이 꼽혔다.
기업 호감도에서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만 호감 보다 비호감이 높았다.
호감도는 대기업(호감 64.4%·비호감 7.1%), 중견기업(호감 51.2%·비호감 7.8%), 공기업(호감 46.6%·비호감 17.4%), 스타트업(호감 38.0%·비호감 15.5%) 순으로 높았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호감 21.1%·비호감 36.1%로 나타났다.
기업이 한국 경제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기여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보다 많았다.
대기업(89.4%), 중견기업(80.0%), 중소기업(50.8%), 공기업(47.4%), 스타트업(47.3%) 순으로 기여했다는 응답자 비율이 높았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