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지난 50년간 85배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출은 153배 늘었고, 일자리는 1706만개가 새롭게 생겨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상공의 날 50주년 기념 주간’을 맞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경제와 우리기업의 50년 변화와 미래준비’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은행, 통계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경제 데이터를 통해 ‘제1회 상공의 날’이 개최된 1974년 당시와 현재의 한국경제의 달라진 변화상을 도출해 비교·분석한 것이다. 1970년대는 삼성전자(69년 설립), 현대차(67년 설립), 포스코(68년 설립) 등 대표 기업들이 본격 성장한 시기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한국경제 규모는 지난 50년 전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GDP 규모는 195억4000만달러(1974)에서 1조6643억3000만달러(2022)로 85.2배 상승했다. 1인당 GDP도 563.3달러에서 3만2236.8달러로 57.2배 뛰었다. 전세계 GDP 순위도 30위에서 10위로 상승했다. 1974년 당시 대한민국의 GDP 순위는 베네수엘라(25위), 인도네시아(26위), 나이지리아(29위)보다 낮았다. 성장의 배경에는 기업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다는 게 보고서의 진단이다. OECD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0년간 우리나라 기업 투자가 GDP에 기여한 비중은 평균 20.0%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 10.8%, 일본 16.6%, 영국 10.7%, 독일 12.1%, 프랑스 11.6%, 캐나다 10.7%, 이탈리아 10.3% 등 주요국(G7)보다 높은 수치다. 기업투자가 GDP 성장에 기여한 비중은 전반적으로 우상향 추세를 보였다. 1975년 16.1%에서 2020년 20.3%로 올랐다. 특히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한 1977~78년과 서울올림픽 개최 직후인 1989~90년에 크게 상승했다. 2차 석유파동(1979년), IMF 외환위기(1997~99년) 등 경제위기에는 다소 주춤했지만 바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 경제활동별 성장기여율 데이터를 분석하면 기업의 산업혁신 노력과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우리 산업구조의 고도화 과정을 볼 수 있다. 산업화 초기인 1970년대 초반(1971~75년) 주력산업은 농림어업(13.8%), 종합상사 등 도소매업(13.6%), 섬유(11.6%), 백색가전(4.2%) 등이었다. 최근 5년(2017~21년)은 반도체, 휴대폰 등 컴퓨터전자업종(23.9%), 금융보험(13.7%), 정보통신 및 사업서비스(8.5%) 등이 주도하고 있다. 제1회 상공의 날이 개최된 1974년 당시 우리나라의 수출 총액은 44억6000만달러에 불과했다. 이후 3년 만인 1977년에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했고, 4년 후(1981년)에는 200억달러 고지를 넘어섰다. 6년 후인 1987년에는 그 두 배인 400억달러를 보냈고, 1995년에는 1000억달러를 넘어섰다. 지난해 총 수출액은 6835억8000만달러다. 50년 전과 비교해 153.3배 상승한 수치다. 대한민국의 글로벌 시장점유율도 1974년 0.53%(세계 39위)에서 2021년 2.89%(7위)로 급등했다. 특히 반도체 9.8%(세계 4위), 조선 17.7%(2위), 자동차 5.3%(5위), 석유화학 9.9%(2위), 디스플레이 8.8%(3위), 철강 4.7%(4위) 등 수출 주력산업이 세계무대에서 선전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50년간 주요수출 대상국과 수출상품은 크게 바뀌었다. 1974년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33.4%), 일본(30.9%), 독일(5.4%) 등 냉전시대 우방국에 편중됐으나, 지난해 중국(22.8%), 미국(16.1%), 베트남(8.9%) 등으로 다양해졌다. 주요 수출상품도 섬유(36%), 가전(10%), 철강(5%) 등에서 반도체(13%), 자동차(11%), 석유(9%) 등으로 고도화됐다. 우리 기업은 지난 50년간 기업 본연의 역할로 꼽히는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도 많은 성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혁신투자가 크게 늘었다. 국가 전체 투자총액이 1974년 21조3000억원에서 작년 568조4000억원으로 26.7배 오르는 동안, 민간부문이 지식재산생산물에 투자한 금액은 2545억원에서 120조7000억원으로 474배 뛰었다. 전체 투자액 대비 민간 지재물 투자 비중은 50년 전 1.2%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21.2%를 차지한다. 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비중은 0.42%(1976)에서 4.96%(2021)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2021년 R&D 투자액 102조1000억원 중 민간이 투자한 비중은 76.4%(78조원)였다. 기업은 일자리 창출에도 많은 힘을 보탠 것으로 보인다. 1974년 임금 근로자수는 444만4000명이었으나, 지난해) 2150만2000명으로 늘었다. 기업이 지난 50년간 1706만개, 매년 평균 34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 셈이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지난 50년간 우리 기업들은 국가경제 성장의 주역으로 당당히 역할을 해냈지만, 국민들이 기대하는 기업의 역할도 달라졌다"며 "국민들은 기업이 단순히 세금을 잘 내고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역량을 발휘해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 기업인들도 새로운 기업가 정신을 통해 다가올 100년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yes@ekn.krcatsDDDDDDDDDDDDDD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