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LG에너지솔루션, 리튬 공급망·美 IRA 대응력 강화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권역 내 리튬 공급망을 강화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호주 WesCEF와 리튬 정광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리튬 정광은 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로 수산화리튬·탄산리튬의 원료가 된다. WesCEF는 1년간 8만5000t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는 수산화리튬 1만1000t, 1회 충전시 500㎞ 이상 주행 가능한 고성능 전기차 27만 분량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양사는 추가 공급계약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마운흐홀랜드 광산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하는 수산화리튬 5만t를 5년간 납품하는 계약도 체결한 바 있다. WesCEF는 호주 Wesfarmers의 자회사로 2019년 리튬 생산 사업에 진출했다. 칠레 SQM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광산·수산화리튬 생산 시설도 공동 개발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소재 관련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진행 중이다. 미국 외 지역에서는 가격 경쟁력 및 공급 대응력을 비롯한 면에서 강점을 갖는다는 전략이다. 특정국 원재료값 급등을 비롯한 충격이 발생해도 핵심 원재료를 조달 가능한 경영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강열 LG에너지솔루션 구매센터장은 “WesCEF 등 잠재력이 큰 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쉽을 확대해 핵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배터리를 제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자원순환모델, 친환경성·경제성 높인다”

국내 제조업체들이 순환경제 모델 구축으로 지속가능성 향상을 모색하고 있다. 순환경제는 제품을 사용한 뒤 폐기하는 기존 선형경제 구조와 달리 자원을 지속적으로 재활용 등 순환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순환경제 시장 규모는 2030년 4조5000억달러(약 5800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정부가 △철강·비철금속 △석유화학 △배터리 △전자·섬유 △자동차·기계 등 9대 산업별 순환경제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경기도·CJ대한통운·e순환거버넌스와 폐휴대폰 리사이클링에 나섰다. 휴대폰에는 금·은·구리·팔라듐을 비롯한 금속 30여종이 담겼다. 재활용 가치가 높지만 가정에 방치된 경우가 많고, 버려지면 유해물질로 인한 토양오염도 우려된다. HD현대는 유한킴벌리와 손잡고 판교 글로벌R&D센터(GRC)에서 폐핸드타월을 재활용한다. GRC에서 수거·선별된 폐핸드타월은 유한킴벌리에서 핸드타월 원료로 재사용될 예정이다. 양사는 연간 21.8t 규모의 재활용이 온실가스 18.6t 감축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2041그루를 심는 효과를 낼 수 있다. HD현대오일뱅크도 LG화학·금호석유화학·SK지오센트릭·SK인천석유화학·OCI 등과 함께 '한국형 블랙사이클'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들은 폐타이어를 수거해 만든 열분해유를 타이어 생산에 투입할 방침이다. SK지오센트릭은 울산 지역에서 매년 32만t의 폐플라스틱을 처리 가능한 'ARC'를 구축 중이다. 이는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인 열분해·고순도 폴리프로필렌(PP) 추출·PET 해중합을 한 곳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업생산 목표는 2026년이다. SK케미칼은 '에코트리아 CR' 등 순환 재활용 기술이 적용된 소재를 앞세워 북미 의료용 패키징 시장에서 성과를 낸다는 전략이다. 삼다수·오뚜기·한국콜마 등 식품과 화장품 용기 분야 진출도 강화한다. CJ대한통운은 서울시·한솔제지 등과 어린이집 4400여곳에서 나오는 종이팩을 재생스케치북으로 업사이클링한다. CJ대한통운은 2년간 1063만개의 종이팩을 수거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20년생 소나무 6400그루를 심는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CJ대한통운은 영남지역에서 이같은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전국 국립공원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캔도 철강원료로 재활용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순환경제 모델은 탄소배출권 구매에 필요한 비용 및 원료 구입 부담도 줄일 수 있다"며 “친환경성과 경제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두산인베스트먼트, 신기술 투자펀드 결성…1000억원 규모

로보틱스·반도체·AI·그린 에너지 등 그룹 연관산업 및 미래혁신기술 투자…주요 5개 계열사 출자 두산그룹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회사 두산인베스트먼트가 첫번째 펀드를 결성했다. 펀드 명칭은 '두산신기술투자조합 1호'다. 두산인베스트먼트는 ㈜두산·두산에너빌리티·두산밥캣·두산테스나·두산로보틱스 5개사로부터 각 200억원의 출자를 받아 총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두산의 100% 자회사로 출범한 두산인베스트먼트는 두산그룹이 보유한 사업과 중장기적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유망업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설립됐다. 신기술 도입 기회 확보 및 잠재적 인수 기회 발굴도 진행한다. 두산인베스트먼트는 올해부터 △로보틱스 △반도체 △인공지능(AI) △자동화 △그린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신기술·신사업 발굴 및 투자수익이 기대되는 영역 등에 본격적으로 투자한다. 김태식 두산인베스트먼트 대표는 “그룹 연관 산업 및 미래혁신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그룹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미션"이라며 “산업 전반의 변화에 발맞춰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롯데케미칼, 지난해 영업손실 3332억원…전년비 56.3% 개선

글로벌 수요 축소·중국 내 에틸렌 생산력 확대…포트폴리오 고도화·체질 개선 박차 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19조9491억원·영업손실 333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4% 줄어든 반면, 영업손실은 원가 개선 노력에 힘입어 56.3% 개선됐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손실은 각각 4조9079억원·301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7% 감소했으나, 영업손실이 24.7% 축소됐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축소와 중국 내 에틸렌 생산력 향상으로 인한 공급 부담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중 기초소재사업은 지난해 4분기 매출 2조7664억원·영업손실 1664억원을 냈다. 첨단소재 사업은 매출 9673억원·영업이익 364억원을 달성했다. 롯데케미칼타이탄의 매출과 영업손실은 각각 5207억원·612억원으로 나타났다. LC USA는 매출 1408억원·영업손실 90억원을 시현했다. 롯데케미칼은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 확대 △고객 다변화 추진 △전지소재·수소에너지 사업의 전략적 투자와 실행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석유화학 산업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체질개선을 추진 중"이라며 “보통주 1주당 3500원의 결산 현금 배당을 결의했고, 오는 3월 정기주총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롯데정밀화학, 지난해 영업익 1548억원…전년비 61.7%↓

전방수요 감소 등 영향…창립 60주년 맞아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 발판 마련 가속화 롯데정밀화학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1조7686억원·영업이익 154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28.2%, 영업이익은 61.7%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둔화로 전방수요가 감소한 탓이다. 케미칼사업 부문은 매출 1조2710억원을 시현했다. 천연가스 등 원료값 하락이 암모니아 국제값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매출이 하락했다. 건축을 비롯한 염소계열 전방 수요 감소로 가성소다와 ECH(에폭시 도료의 원료) 등 주요 제품 판가도 낮아졌다. 그린소재사업 부문은 매출 4976억원을 달성했다. 펄프 등 원료값 하락으로 판가가 떨어졌으나, 셀룰로스 계열 공장들의 증설 물량 판매가 늘어난 덕분이다. 롯데정밀화학은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 중이다. 2025년까지 790억원을 들여 식의약용 셀룰로스 제품 공장을 증설한다. 식의약용 셀룰로스 유도체 시장에서 생산력 기준 글로벌 1위로 도약하기 위함이다. 올 상반기까지 16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반도체 현상액 원료(TMAC) 공장도 증설한다. 반도체 등 전방산업 수요 증가에 맞춘다는 구상이다. 롯데정밀화학 관계자는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청정 암모니아·수소 사업 및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 신사업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SK케미칼, 지난해 4분기 별도 영업익 164억원…전년비 35.6%↓

일부 주력 제품 판매량 증가·판관비 가중…“고부가 제품 중심 판매 확대로 수익성 개선할 것" SK케미칼은 별도 기준 지난해 4분기 매출 1조3229억원·영업이익 164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5.6% 하락했다. 일부 주력 제품 판매량이 늘어났으나, 판관비를 비롯한 비용이 불어난 탓이다.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316억원·64억원으로 집계됐다. SK케미칼은 보통주 1주당 250원, 우선주 1주당 300원의 현금배당도 결의했다.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31일이다. SK케미칼 관계자는 “올해 글로벌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판매 확대와 운영 최적화·안정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롯데정밀화학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1조7686억원·영업이익 154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8.2%, 영업이익은 61.7%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820억원으로 같은 기간 24.5%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113억원·85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2%, 영업이익은 61.7% 하락했다. 당기순이익은 97억원으로 85.1% 줄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LG화학-GM, 양극재 공급계약 체결…25조원 규모

고성능 EV 500만대 규모 분량·2026년부터 공급…美 테네시 공장서 생산 LG화학이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와 25조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7일 LG화학에 따르면 양사는 50만t 상당의 양극재를 거래할 예정이다. 이는 고성능 순수 전기차(EV) 약 50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LG화학은 미국 테네시 공장이 본격 가동하는 2026년부터 GM에 북미산 NCMA 양극재를 납품한다. 이는 주로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법인(JV) 얼티엄셀즈에서 쓰일 전망이다. GM의 다른 전기차 프로젝트에도 사용될 수 있다. LG화학은 현지 공급망을 통해 GM을 비롯한 고객사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전기차 보조금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대응할 방침이다. 지난해말 착공한 테네시 공장은 연산 6만t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국 최대 규모의 생산시설이 될 것으로 보인다. 라인당 제조 경쟁력은 연산 1만t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프 모리슨 GM 글로벌 구매 및 공급망 담당 부사장은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강력하고 지속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자동차 산업이 변화하는 중요한 시기에 LG화학과 함께 북미 공급망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미국 1위 자동차 기업인 GM과 전략적 협력을 이어가며 북미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과 글로벌 생산 거점 확대 등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솔루스첨단소재, 지난해 영업손실 734억원…전년비 47.8% 악화

전방시장 수요 위축·고정비 증가·중단사업손익 반영…올해 매출 목표 6300억원·전년비 47%↑ 솔루스첨단소재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 4294억원·영업손실 734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47.8% 악화됐다. 당기순이익은 1267억원으로 같은 기간 1700억원 이상 늘어나면서 흑자전환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북미 투자 확대에 따른 고정비 증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전기차·반도체·디스플레이 수요 부진 등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전지박·동박사업 부문은 매출 3182억원을 달성했다. 이 중 동박은 통신장비·반도체 업황 부진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전지박(전기차 배터리용 동박)의 매출은 1546억원으로 37.2% 확대됐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수요 감소에도 공급처를 늘리고 제조를 안정화시킨 덕분이다. 전자소재사업 부문 매출은 1112억원으로 집계됐다. 가전과 TV 등에서 OLED 패널 수요가 하락한 것이 매출 감소로 나타났다. 올해는 기존 발광소재에 이어 지난해 하반기 준공한 비발광 소재 생산공장을 앞세워 수익 모델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올해 매출 목표를 6300억원으로 잡았다. 이는 전년 대비 47% 가량 늘어난 수치다. 유현민 솔루스첨단소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전지박 업계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으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신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로 경쟁 우위를 지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디스플레이 업황 회복도 예상되는 만큼 고부가가치 제품을 통한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배너